목차
1. 유아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2. 생태교육의 방향
3. 생태유아교육이 지향하는 세상과 아이의 모습
2. 생태교육의 방향
3. 생태유아교육이 지향하는 세상과 아이의 모습
본문내용
태유아교육의 구체적 목적, 즉 기르자 하는 어린이상은 ‘신명나는 어린이’이다.
‘신명나는 어린이’는 개성과 창의력을 지니면서 흥겨움과 우리 멋이 흘러넘치는 가운데 자연과 하나 되어, 사람과 더불어 행복한 삶을 누리는 어린이다운 어린이를 말한다. 참고로 ‘신명나다’의 사전적 의미는 ‘흥겨운 신과 멋이 나다’이며, ‘신’이란 ‘어떤 일에 정신이 쏠리거나 흥이 나게 되거나 하여 일어나는 흥겨운 기분’을 의미한다. 결국 우리가 키우고자 하는 21세기 어린이상은 ‘신명나는 어린이’이다. 이러한 어린이의 모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신명나는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즐거운 어린이
스스로 하는 어린이
새로운 것을 생각하는 어린이
예의 바른 어린이
생명을 존중하는 어린이
일을 귀하게 여기는 어린이
우리 것을 아는 어린이
지구를 지키는 어린이
더불어 사는 어린이
‘신명나는 어린이’로 키우려면 아이를 키우는 주변 환경이 ‘신명나는 환경’이어야 한다. 모든 생물이 자라는 데는 생기(生氣)가 왕성해야 하듯이 아이가 잘 크려면 생기(生氣)나 원기(元氣)가 왕성해야 한다. 생기(生氣) 발랄한 아이가 신명나는 아이다. 기(氣)는 만물의 생성과정의 원동력이다. 천지인(天地人)의 일체합일은 기(氣)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사람의 성장과 변화는 천지만물의 기운과의 조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이가 잘 크려면 하늘의 기(天氣)와 땅의 기(地氣)와 교섭해야 한다. 아이는 천지인의 조화와 교섭하면서 자라야 신명나는 아이가 된다. 신명나는 아이는 땅을 밟고 하늘을 이고 놀면서 자라는 아이이다. 아이들의 놀이는 아이들이 지니고 있는 생기의 징표이다.
이처럼 생태유아교육을 통해 신명나는 어린이로 키우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교육프로그램을 계획실천할 수 있다. 그 프로그램들은 농경사회에서 자라난 사람들이 어릴 적 경험한 소위 ‘공터놀이 교육’에서의 프로그램들과 거의 유사하다.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유아교육시설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생태유아교육 적용 프로그램
바깥놀이 프로그램
산책 프로그램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세시풍속 프로그램
전통놀이 프로그래
전래동요동화 프로그램
손끝놀이 프로그램
몸짓놀이 프로그램
동물사육 프로그램
동식물 대화 프로그램
평화교육 프로그램
사상체질 프로그램
명상 프로그램
절제절약 프로그램
도시농촌교류 프로그램
먹거리 프로그램
TV안보기 프로그램
‘신명나는 어린이’는 개성과 창의력을 지니면서 흥겨움과 우리 멋이 흘러넘치는 가운데 자연과 하나 되어, 사람과 더불어 행복한 삶을 누리는 어린이다운 어린이를 말한다. 참고로 ‘신명나다’의 사전적 의미는 ‘흥겨운 신과 멋이 나다’이며, ‘신’이란 ‘어떤 일에 정신이 쏠리거나 흥이 나게 되거나 하여 일어나는 흥겨운 기분’을 의미한다. 결국 우리가 키우고자 하는 21세기 어린이상은 ‘신명나는 어린이’이다. 이러한 어린이의 모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신명나는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즐거운 어린이
스스로 하는 어린이
새로운 것을 생각하는 어린이
예의 바른 어린이
생명을 존중하는 어린이
일을 귀하게 여기는 어린이
우리 것을 아는 어린이
지구를 지키는 어린이
더불어 사는 어린이
‘신명나는 어린이’로 키우려면 아이를 키우는 주변 환경이 ‘신명나는 환경’이어야 한다. 모든 생물이 자라는 데는 생기(生氣)가 왕성해야 하듯이 아이가 잘 크려면 생기(生氣)나 원기(元氣)가 왕성해야 한다. 생기(生氣) 발랄한 아이가 신명나는 아이다. 기(氣)는 만물의 생성과정의 원동력이다. 천지인(天地人)의 일체합일은 기(氣)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사람의 성장과 변화는 천지만물의 기운과의 조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이가 잘 크려면 하늘의 기(天氣)와 땅의 기(地氣)와 교섭해야 한다. 아이는 천지인의 조화와 교섭하면서 자라야 신명나는 아이가 된다. 신명나는 아이는 땅을 밟고 하늘을 이고 놀면서 자라는 아이이다. 아이들의 놀이는 아이들이 지니고 있는 생기의 징표이다.
이처럼 생태유아교육을 통해 신명나는 어린이로 키우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교육프로그램을 계획실천할 수 있다. 그 프로그램들은 농경사회에서 자라난 사람들이 어릴 적 경험한 소위 ‘공터놀이 교육’에서의 프로그램들과 거의 유사하다.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유아교육시설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생태유아교육 적용 프로그램
바깥놀이 프로그램
산책 프로그램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세시풍속 프로그램
전통놀이 프로그래
전래동요동화 프로그램
손끝놀이 프로그램
몸짓놀이 프로그램
동물사육 프로그램
동식물 대화 프로그램
평화교육 프로그램
사상체질 프로그램
명상 프로그램
절제절약 프로그램
도시농촌교류 프로그램
먹거리 프로그램
TV안보기 프로그램
키워드
추천자료
평화교육의 내용과 특징 및 평화교육의 과제에 대한 논의(유아사회교육)
[부모교육 B형]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의 목적, 필요성, 내용, 유형 등에 관한 분석
비교유아교육(일본의 유아교육)
[유치원교사][유아교육][유치원교육]유치원교사(유아교사)의 특성, 유치원교사(유아교사)의 ...
생태교육 프로그램
[유아수/과학지도] 유아과학교육의 목적과 유아과학교육의 연구 동향에 대한 이해와 정리
문화와 교육 -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여기에 어떤 문화가 개입되...
유아교육개론1B)유아교육의 특수성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사의 교수행동에 대하여 보고 느낀...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A형]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A형]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2018 교육과정]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것을 유아교육에 실제로 적용한다면...
생태교육에 기반한 에듀테인먼트 행복공장 만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