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유아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아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2. 생태교육의 방향

3. 생태유아교육이 지향하는 세상과 아이의 모습

본문내용

태유아교육의 구체적 목적, 즉 기르자 하는 어린이상은 ‘신명나는 어린이’이다.
‘신명나는 어린이’는 개성과 창의력을 지니면서 흥겨움과 우리 멋이 흘러넘치는 가운데 자연과 하나 되어, 사람과 더불어 행복한 삶을 누리는 어린이다운 어린이를 말한다. 참고로 ‘신명나다’의 사전적 의미는 ‘흥겨운 신과 멋이 나다’이며, ‘신’이란 ‘어떤 일에 정신이 쏠리거나 흥이 나게 되거나 하여 일어나는 흥겨운 기분’을 의미한다. 결국 우리가 키우고자 하는 21세기 어린이상은 ‘신명나는 어린이’이다. 이러한 어린이의 모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신명나는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
즐거운 어린이
스스로 하는 어린이
새로운 것을 생각하는 어린이
예의 바른 어린이
생명을 존중하는 어린이
일을 귀하게 여기는 어린이
우리 것을 아는 어린이
지구를 지키는 어린이
더불어 사는 어린이
‘신명나는 어린이’로 키우려면 아이를 키우는 주변 환경이 ‘신명나는 환경’이어야 한다. 모든 생물이 자라는 데는 생기(生氣)가 왕성해야 하듯이 아이가 잘 크려면 생기(生氣)나 원기(元氣)가 왕성해야 한다. 생기(生氣) 발랄한 아이가 신명나는 아이다. 기(氣)는 만물의 생성과정의 원동력이다. 천지인(天地人)의 일체합일은 기(氣)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사람의 성장과 변화는 천지만물의 기운과의 조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이가 잘 크려면 하늘의 기(天氣)와 땅의 기(地氣)와 교섭해야 한다. 아이는 천지인의 조화와 교섭하면서 자라야 신명나는 아이가 된다. 신명나는 아이는 땅을 밟고 하늘을 이고 놀면서 자라는 아이이다. 아이들의 놀이는 아이들이 지니고 있는 생기의 징표이다.
이처럼 생태유아교육을 통해 신명나는 어린이로 키우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교육프로그램을 계획실천할 수 있다. 그 프로그램들은 농경사회에서 자라난 사람들이 어릴 적 경험한 소위 ‘공터놀이 교육’에서의 프로그램들과 거의 유사하다.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유아교육시설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생태유아교육 적용 프로그램
바깥놀이 프로그램
산책 프로그램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세시풍속 프로그램
전통놀이 프로그래
전래동요동화 프로그램
손끝놀이 프로그램
몸짓놀이 프로그램
동물사육 프로그램
동식물 대화 프로그램
평화교육 프로그램
사상체질 프로그램
명상 프로그램
절제절약 프로그램
도시농촌교류 프로그램
먹거리 프로그램
TV안보기 프로그램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6.12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45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