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인간발달이론
1. 발달의 개념
2. 발달의 원리
3. 발달단계
II. 성격이론
1. 정신분석이론
2. 자아심리이론
3. 행동주의 이론
4. 인지이론
III. 사회체계와 인간행동
1. 발달의 개념
2. 발달의 원리
3. 발달단계
II. 성격이론
1. 정신분석이론
2. 자아심리이론
3. 행동주의 이론
4. 인지이론
III. 사회체계와 인간행동
본문내용
정
4. 자기발견-가족 등 이성애자-자기수용과 자아통합-다른 동성애자-공식적인 인정
5. 자기발견-다른 동성애자-가족 등 이성애자-자기수용과 자아통합-공식적인 인정
37. 하나의 체계로 집단을 볼 때 집단의 구조적 측면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4)
1. 집단경계
2. 집단의 자율성
3. 집단의 위계질서
4. 집단의 사회화
5. 집단 구성원 역할
= 집단의 사회화, 사회적 통제, 적응, 집단내 의사소통 등은 집단의 행동적 측면이다.
38. 사회복지사로서 클라이언트의 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2)
1. 그 사회의 법적인 측면
2. 발달단계의 과제
3. 문화적 측면
4. 경제적 측면
5. 정치적 측면
= 발달단계의 과제는 개인적 측면임
39. 다음은 인간의 발달에 있어 지역사회의 기능에 e한 설명이다. 적절치 않은 것은? (1)
1. 개별화
2. 생산-분배 -소비 기능
3. 사회통제
4. 사회적 참여
5. 상호지지
= 1. 지역사회의 기능은 사회화, 사회통제, 사회참여, 상호지지, 생산-분배 -소비 등이다.
40. 다음 중 Weber의 관료주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3)
= 직업과 개인 생활의 분리
1. 노동의 분화
2. 권위의 위계
3. 직업 생활과 개인생활의 합치
4. 규칙과 일관성
5. 훈련과 경험에 의한 배치
41. 인간의 행동과 역할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다음 중 적절하지 않은 설명은? (4)
1. 학생수가 많은 학교보다 적은 학교 출신들이 역할이 다양하다
2. 사람의 행동은 때와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익명성을 누릴 수 있는 것은 중소도시보다 대도시에서이다
4. 직업으로부터의 은퇴는 역할모호성으로 인한 부적응을 가져올 수 있다
5. 역할기대는 그 역할을 수행할 사람과 제3자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역할모호성보다 역할상실로 인한 부적응이다
42. 다음은 Maslow의 인간욕구위계에서 다루는 개념이다. 이중 성장욕구에 해당하는 것은? (5)
1. 자존감의 욕구
2. 생리적 욕구
3. 안전욕구
4. 소속과 애정의 욕구
5. 자아실현의 욕구
= 기본적 욕구: 생리적 욕구-안전욕구-소속과 애정의 욕구-자존감 욕구 성장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43. 다음 중 생태학적 이론의 적합성(goodness of fit) 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1)
1. 인간의 적합성은 유전적 진화에 의해 결정된다
2. 적합성은 개인의 적응적 욕구와 환경의 질의 부합성에 관한 개념이다
3. 적합성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교류를 통해 이루어진다
4. 적합성은 상호작용이 적응적이고 성공적일 때에만 이루어진다
5. 적합성의 발달을 통해 인간과 환경이 변화하고 발달할 수 있다
= 인간의 적합성은 유전적 진화에 의한 다른 종의 적합성과 달리 일생을 통해 이루어진다
44. 다음에 묘사된 역할 중 성취된 역할(achieved)에 속하는 것은? (2)
1. 아버지의 역할
2. 교사의 역할
3. 남자의 역할
4. 성인의 역할
5. 아들의 역할
= 나머지는 주어진(ascrived) 역할임
45. 역할이란 사회체계와 개인간의 일련의 상호교류(transacti0n)에 의하여 성취되고 지속된다. 개인과 사회체계 간에 볼 수 있는 상호교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5)
1. 사회화(socializati0n)
2. 상호작용(interaction)
3. 개혁(innovati0n)
4. 사회통제 (scoial control)
5. 협상(negotiati0n)
= 역할이론
46. 인류역사를 통해 많은 전쟁과 갈등이 빚어져왔다.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 유고의 세르비아인 학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지속적인 갈등과 같은 예들을 인간행동의 측면에서 볼 때 결정요인이 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4)
1. 인간의 물질 소유욕
2. 인간의 공격본능
3. 계층간 갈등
4. 자기민족중심주의(ethnocentricism)
5. 이기주의
= 자기민족중심주의
47. 다음 중 가족의 기능이 아닌 것은? (4)
1. 애정적 기능
2. 소비기능
3. 재생산기능
4. 노동기능
5. 사회화기능
48. 다음 역할갈등에 관한 설명 중 개념과 설명이 서로 잘 연결된 것은? (5)
1. 다중역할-어머니, 임시교사, 배우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가 어렵게 생각되는 것
2. 역할간 갈등- 남편과 자녀가 원하는 어머니의 역할이 서로 다를 때 어머니의 역할
3. 역할내 갈등-교사이며 어머니일 때 교장과 자녀가 각기 다른 역할을 요구하여 갈등하는 것
4. 역할과중-한사람에게 어머니, 자원봉사자, 교사, 배우자, 딸, 언니의 역할이 주어지는 것
5. 이중메시지로 인한 갈등-언어적 수준에서의 메시지와 비언어적 수준에서의 메시지가 서로 다른 것일 때.
= 1. 역할과중, 2. 역할내 갈등, 3.역할간 갈등, 4.다중역할
49.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정상성(nomality)을 사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2)
1. 그 사람 개인
2. 조건
3. 문화적 영향
4. 대인관계의 영향
5. 역사(시간)의 영향
= 정상성이란 건강한 상태, 평균적 상태, 이상적 상태로 표현할 수 있는데,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한가지 기준은 없다. 정상, 비정상은 그 사회의 문화와 시대와 인간관계와 개인의 특징을 고려하여 사정해야 한다
50. 머튼(Mert0n)은 아노미(anomie)상태를 성공이라는 목표와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회의 불일치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아노미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다음 다섯 가지 방법으로 적응한다고 하는데 잘못 설명된 것은? (3)
1. 일치-가능한 합법적 기회를 이용하여 성공을 추구함
2. 혁신-가능한 비합법적 기회를 이용하여 성공을 추구함
3. 의식화(ritualism)-성공을 포기하고 합법적 기회를 이용하려는 노력은 포기하지 않으면서 대안적 목표와 기회를 추구하는 것
4. 후퇴(retreatism)- 성공을 포기하고 합법적 기회를 이용하려는 노력도 포기하는 것
5. 반역(rebellion)-성공과 합법적 기회 이용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대안적 목표와 기회를 추구함
= 아노미 이론
의식화: 성공을 포기하되, 합법적 기회를 이용하려는 노력은 계속함.
4. 자기발견-가족 등 이성애자-자기수용과 자아통합-다른 동성애자-공식적인 인정
5. 자기발견-다른 동성애자-가족 등 이성애자-자기수용과 자아통합-공식적인 인정
37. 하나의 체계로 집단을 볼 때 집단의 구조적 측면에 들어가지 않는 것은? (4)
1. 집단경계
2. 집단의 자율성
3. 집단의 위계질서
4. 집단의 사회화
5. 집단 구성원 역할
= 집단의 사회화, 사회적 통제, 적응, 집단내 의사소통 등은 집단의 행동적 측면이다.
38. 사회복지사로서 클라이언트의 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2)
1. 그 사회의 법적인 측면
2. 발달단계의 과제
3. 문화적 측면
4. 경제적 측면
5. 정치적 측면
= 발달단계의 과제는 개인적 측면임
39. 다음은 인간의 발달에 있어 지역사회의 기능에 e한 설명이다. 적절치 않은 것은? (1)
1. 개별화
2. 생산-분배 -소비 기능
3. 사회통제
4. 사회적 참여
5. 상호지지
= 1. 지역사회의 기능은 사회화, 사회통제, 사회참여, 상호지지, 생산-분배 -소비 등이다.
40. 다음 중 Weber의 관료주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3)
= 직업과 개인 생활의 분리
1. 노동의 분화
2. 권위의 위계
3. 직업 생활과 개인생활의 합치
4. 규칙과 일관성
5. 훈련과 경험에 의한 배치
41. 인간의 행동과 역할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다음 중 적절하지 않은 설명은? (4)
1. 학생수가 많은 학교보다 적은 학교 출신들이 역할이 다양하다
2. 사람의 행동은 때와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익명성을 누릴 수 있는 것은 중소도시보다 대도시에서이다
4. 직업으로부터의 은퇴는 역할모호성으로 인한 부적응을 가져올 수 있다
5. 역할기대는 그 역할을 수행할 사람과 제3자 사이에서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역할모호성보다 역할상실로 인한 부적응이다
42. 다음은 Maslow의 인간욕구위계에서 다루는 개념이다. 이중 성장욕구에 해당하는 것은? (5)
1. 자존감의 욕구
2. 생리적 욕구
3. 안전욕구
4. 소속과 애정의 욕구
5. 자아실현의 욕구
= 기본적 욕구: 생리적 욕구-안전욕구-소속과 애정의 욕구-자존감 욕구 성장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43. 다음 중 생태학적 이론의 적합성(goodness of fit) 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1)
1. 인간의 적합성은 유전적 진화에 의해 결정된다
2. 적합성은 개인의 적응적 욕구와 환경의 질의 부합성에 관한 개념이다
3. 적합성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교류를 통해 이루어진다
4. 적합성은 상호작용이 적응적이고 성공적일 때에만 이루어진다
5. 적합성의 발달을 통해 인간과 환경이 변화하고 발달할 수 있다
= 인간의 적합성은 유전적 진화에 의한 다른 종의 적합성과 달리 일생을 통해 이루어진다
44. 다음에 묘사된 역할 중 성취된 역할(achieved)에 속하는 것은? (2)
1. 아버지의 역할
2. 교사의 역할
3. 남자의 역할
4. 성인의 역할
5. 아들의 역할
= 나머지는 주어진(ascrived) 역할임
45. 역할이란 사회체계와 개인간의 일련의 상호교류(transacti0n)에 의하여 성취되고 지속된다. 개인과 사회체계 간에 볼 수 있는 상호교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5)
1. 사회화(socializati0n)
2. 상호작용(interaction)
3. 개혁(innovati0n)
4. 사회통제 (scoial control)
5. 협상(negotiati0n)
= 역할이론
46. 인류역사를 통해 많은 전쟁과 갈등이 빚어져왔다.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 유고의 세르비아인 학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지속적인 갈등과 같은 예들을 인간행동의 측면에서 볼 때 결정요인이 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4)
1. 인간의 물질 소유욕
2. 인간의 공격본능
3. 계층간 갈등
4. 자기민족중심주의(ethnocentricism)
5. 이기주의
= 자기민족중심주의
47. 다음 중 가족의 기능이 아닌 것은? (4)
1. 애정적 기능
2. 소비기능
3. 재생산기능
4. 노동기능
5. 사회화기능
48. 다음 역할갈등에 관한 설명 중 개념과 설명이 서로 잘 연결된 것은? (5)
1. 다중역할-어머니, 임시교사, 배우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가 어렵게 생각되는 것
2. 역할간 갈등- 남편과 자녀가 원하는 어머니의 역할이 서로 다를 때 어머니의 역할
3. 역할내 갈등-교사이며 어머니일 때 교장과 자녀가 각기 다른 역할을 요구하여 갈등하는 것
4. 역할과중-한사람에게 어머니, 자원봉사자, 교사, 배우자, 딸, 언니의 역할이 주어지는 것
5. 이중메시지로 인한 갈등-언어적 수준에서의 메시지와 비언어적 수준에서의 메시지가 서로 다른 것일 때.
= 1. 역할과중, 2. 역할내 갈등, 3.역할간 갈등, 4.다중역할
49.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정상성(nomality)을 사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2)
1. 그 사람 개인
2. 조건
3. 문화적 영향
4. 대인관계의 영향
5. 역사(시간)의 영향
= 정상성이란 건강한 상태, 평균적 상태, 이상적 상태로 표현할 수 있는데,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한가지 기준은 없다. 정상, 비정상은 그 사회의 문화와 시대와 인간관계와 개인의 특징을 고려하여 사정해야 한다
50. 머튼(Mert0n)은 아노미(anomie)상태를 성공이라는 목표와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회의 불일치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아노미를 경험하는 사람들은 다음 다섯 가지 방법으로 적응한다고 하는데 잘못 설명된 것은? (3)
1. 일치-가능한 합법적 기회를 이용하여 성공을 추구함
2. 혁신-가능한 비합법적 기회를 이용하여 성공을 추구함
3. 의식화(ritualism)-성공을 포기하고 합법적 기회를 이용하려는 노력은 포기하지 않으면서 대안적 목표와 기회를 추구하는 것
4. 후퇴(retreatism)- 성공을 포기하고 합법적 기회를 이용하려는 노력도 포기하는 것
5. 반역(rebellion)-성공과 합법적 기회 이용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대안적 목표와 기회를 추구함
= 아노미 이론
의식화: 성공을 포기하되, 합법적 기회를 이용하려는 노력은 계속함.
추천자료
프로이트의 성격발달이론과 융의 성인기 발달 이론에 대하여
성격구조이론과 인지발달이론
성격발달이론과 정신분석이론, 정신분석치료, 정신분석의 평가 [프로이드]
[프로이드][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프로이트이론][자아][본능][초자아][성격발달이론][정신...
[발달심리학][프로이드][에릭슨][피아제]인간발달의 원리, 발달심리학의 출현, 발달심리학을 ...
성격발달이론정리 이론중 내가 공감하는 부분에대해 써라.
★프로이드의 성격발달이론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비교 분석★
프로이드Freud, 분석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인지발달이론, 행동주의이론, 행동주의적 성격...
영아기 발달과 보육교사의 역할 (발달의 개념과 주요 영역, 주요 발달심리학 이론-피아제(Pia...
프로이트의 성격발달이론(프로이드의 성격발달단계, 프로이드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이론(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 에릭슨 심리사회발달이...
프로이드(Freud)의 성격발달이론 - 성격의 구조와 발달단계, 프로이드이론에 대한 비판
[성격이론] 성격의 유형론, 특성론, 발달론(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
[성격발달과 사회성발달] 애착형성과 발달, 성격발달이론(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성격발달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