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의 구조와 기능, 대장질환, 대장질환 식이요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장의 구조와 기능, 대장질환, 대장질환 식이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대장의 구조와 기능
1. 대장의 구조
2. 대장의 기능

Ⅲ. 대장질환의 원인 및 식이요법
1. 변비
2. 설사
3. 장염

Ⅳ. 대장질환의 식단
1. 변비
2. 만성설사
3. 만성장염

Ⅴ. 결론

본문내용

참 기 름
꽃 게
90
20
40
1개
70
2.5
1/4마리(1토막)
간 식
토 스 트
우 유
식 빵
버 터
딸 기 잼
3쪽
9
15
200ml
점 심
흰 밥
시금치된장국
두 부 조 림
호 박 나 물
양배추 나물

시 금 치
두 부
호 박
참 기 름
양 배 추
참 기 름
120
40
60
70
5
50
5
간 식
복숭아통조림
저 녁
흰 밥
쇠고기양송이국
참 치 전 골
감 자 조 림
쑥 갓 나 물

쇠 고 기
양 송 이
참 치
당 근
양 파
감 자
쑥 갓
식 용 유
90
20
50
40
15
15
60
70
5
영양소 섭취량
열량 2,200 kcal, 당질 355 g , 단백질 84 g, 지방 50 g
구 분
음 식 명
재 료 명
분량(g)
아 침
쌀 밥
양 송 이 탕
달걀 명란찜
시금치 나물
과 일

양송이 버섯
달 걀
명 란 젓
시 금 치
프루츠통조림
90
20
50
40
50
100
간 식
타 락 죽

우 유
30
130
점 심
쌀 밥
근대 된장국
부 세 조 림
양상추샐러드
나박김치(국물만)
과 일

근 대
부 세

양 상 추
당 근
오 이
맛 살
마 요 네 즈
토마토 케첩
귤 통 조 림
90
10
80
10
30
10
10
20
7
7
100
100
간 식
크 림 수 프
수 프
우 유
30
70
저 녁
쌀 밥
무 쇠고기국
고 기 볶 음
잡 채
나박김치(국물만)
과 일


쇠 고 기
양 파
참 기 름
시 금 치
당 근
당 면
돼 지 고 기
참 기 름
백 도
90
약간
60
10
2
5
5
5
20
2
100
100
간 식
카 스 테 라
카 스 테 라
50
영양소 섭취량
열량 2,220 kcal, 당질 357 g, 단백질 88 g, 지방 43 g
2. 만성설사(저섬유 상식)
3. 만성장염 (저섬유 연식)
구 분
음 식 명
재 료 명
분량(g)
아 침
흰 죽
달걀 실파탕
닭 야채볶음
숙 주 색 채
죽 간 장
과 일

실 파
달 걀
닭 정 육
당 근
감 자
식 용 유
숙 주
당 근
오 이
쇠 고 기
황 도
60
약간
20
60
10
10
2
40
5
5
10
100
간 식
혼 합 죽

혼 합 가 루
30
4
점 심
흰 죽
어묵 맑은국
연 두 부 찜
호박고기볶음
죽 간 장
나박김치(국물만)
과 일


어 묵
연 두 부
참 기 름
호 박
쇠 고 기
식 용 유
쇠 고 기
백 도
60
약간
20
150
3
50
20
2
10
100
100
간 식
식 빵 죽
식 빵
우 유
탈지 분유
35
130
9
저 녁
흰 죽
아 욱 국
굴린 만두찜
오이뱃두리볶음
죽 간 장
나박김치(국물만)
과 일

아 욱
쇠 고 기
숙 주
달 걀
오 이
쇠 고 기
귤 통조림
60
약간
60
10
20
50
10
100
100
영양소 섭취량
열량 1,760 kcal, 당질 263 g, 단백질 82 g, 지방 39 g
Ⅴ. 결론
변비는 대장 내에 내용물이 정체되어 통과가 지연된 상태로서 대변이 2∼3일 이내에 배출되지 않은 경우를 말하며, 이완성 변비와 경련성 변비가 있다. 이완성 변비의 원인은 운동부족, 식사량의 감소나 소식습관, 부적당한 음식 섭취, 불충분한 수분의 섭취와 배변을 억제하는 습관 등이 있다. 이완성 변비의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생활습관을 개선하면서 전형적인 고섬유소 식사를 필요로 한다. 경련성 변비는 이완성변비와 반대로 비정상적으로 대장조직이 과민반응을 보이며, 경련성 수축을 일으킴으로써 대장 내용물의 통과가 어려워 변비가 일어나는 경우이다. 그 원인으로는 매우 거친 음식의 섭취, 많은 양의 커피ㆍ홍차, 알코올의 과음, 다량의 하제 복용, 지나친 흡연 습관, 긴장이나 정서적인 혼란, 전에 앓았던 위장병, 항생적인 치료, 장의 감염과 나쁜 환경 등이다. 경련성 변비를 위한 식이요법은 되도록 물에 잘 녹는 섬유질 식품을 사용하거나 섬유질이 적은 식품을 사용하되 부드럽게 조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사는 대장에 장애가 일어나 장의 내용물이 신속히 통과되거나, 대장점막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수분이 많은 대변이 배설되는 경우를 말한다. 여기에는 소화성 설사와 만성 설사가 있다. 먼저 소화성 설사의 원인은 여러 가지 식이요인,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의 감염, 약물 복용에 따른 부작용 등이 있다.소화성 설사의 치료는 기본적으로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만성설사의 원인은 폭음, 폭식, 복부의 냉각, 부적당한 음식물 섭취, 바이러스, 약제 및 알레르기 등이 있다. 만성설사를 위한 식이요법은 소화가 잘 되고 자극성이 없는 저섬유질식이, 저잔사식이를 적용한다.
장염이란 회장이나 결장에 염증이 생긴 것으로 급성장염과 만성장염이 있다. 급성장염은 폭음ㆍ폭식, 병원체, 약물ㆍ중금속의 중독 등에 의해 발병하며 식욕이 없으면 장관의 안정을 위하여 24∼36시간을 절식하다가 식욕의 회복과 동시에 미음이나 지방분이 적은 수프 등의 유동식에서 차츰 죽ㆍ삶은 국수ㆍ토스트ㆍ비스킷 등의 반유동식(연식), 경식으로 이행한다. 만성 장염은 불규칙한 식습관, 약물의 상용, 만성질환, 비타민 결핍증 등이 그 원인이 되며 식이요법이 중요하므로 증상에 따라 유동식, 반유동식, 경식 등을 식사 내용으로 하며 병의 기간이 긴 만큼 영양이 풍부한 식품을 선택해야 한다.
궤양성 장염은 대장 점막의 감염과 궤양이 생긴 경우의 질병으로 그 원인은 전염성 병균, 비타민 특히 비타민 B와 고생물가의 단백질 결핍 증세, 알레르기, 정신 상태의 혼란 등이 있다. 식이요법은 저섬유소로 충분한 양을 공급하고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도 충분히 공급하며 비타민은 약제로 보충되어야 한다.
대장질환은 영양결핍의 원인이 되므로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그 원인을 정확히 찾아내고 질병에서 오는 영양장애의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시급할 것이다.
☆ 참고문헌 ☆
ㆍ모수미 외, \"식사요법\", 교문사, 1996.
ㆍ김병구 외, \"식이요법실습서\", 수학사, 1999.
ㆍ이기열, \"식이요법\", 수학사, 1992.
ㆍ구재옥 외, \"식이요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2.
ㆍ김상보 외, \"식이요법\", 지구문화사, 1997.
ㆍ이정윤 외, \"임상영양 식이요법\", 광문각, 1998.
  • 가격6,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6.1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