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의 개요와 효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영의 개요와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영의 개요
1-1. 수영의 정의
1-2 수영의 역사
▶ 수영의 유래
▶ 경기의 역사
▶기술의 역사
1-3. 수영의 특성
1-4. 영법
▶ 자유형
▶ 평영
▶ 배영
▶접영

2. 수영의 효과
[ 부록 ]
A. 인물들과 함께 하는 수영의 역사
B. 수영 용어

본문내용

거리에서 전력으로 역영하며 완전휴식을 취한 후 다시 반복 훈련으로 산소부채능력 및 스피드 향상을 위한 훈련방법
(바)
바디 포지션(Body position): 수영시 몸의 수면에 유선형으로 떠 있는 상태인 모든 영법에서 요구되는 기본 자세
백스트로크(Back stroke): 배영 백크롤스크로크(back crawl stroke)라고 불림
버블링(Bubbling): 머리를 수중으로 잠겼다 밖으로 들어올렸다 하면서 리듬감 있는 호흡을 연습하는 방법
버터플라이 스토로크(Butterfly stroke): 접영 나비가 날아가는 형태와 같이 몸을 상하로 굽이 치면서 하는 영역
브레스트 스트로크(Breast stroke): 평영 수면상 양쪽 어깨가 평행을 이루면서 수영 하는 영법
브로큰 스윔(Broken swim): 일정한 거리를 몇 개로 구분하여 짧은 휴식을 가지며 하는 훈련방법
블라인드(Blind): 자유형에서 호흡을 하기 위해 얼굴을 도리는 방향의 반대쪽
비트(Beat):자유형 접영 배영에서 다리차기의 수를 의미
(사)
서킷 트레이닝(circuit training) :근력이나 지구력 발달을 목적으로 여러 가지 운동을 여러 번 반복하는 지상훈련방법
스쿠터 드릴(Scooter drill) :킥보드를 한 손으로 잡고 한 손으로 풀을 번갈아 가며 하는 연습방법
스트레칭(Stretching): 수영에 필요한 유연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근육을 신장시키는 체조의 한 방법
스크림 라인(Stream line): 몸의 흐름선 수중에서 몸의 전진 되는 흐름과 같게 하기 위해 유선형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물의 저항을 줄이는 데 관심
스프린터(Sprinter): 단거리 선수 즉 50m 100m가 주종목인 선수
스프린트(Sprint): 수영에서 단거리 경기로 분류되는 50m 100m 200m를 주종목으로 하는 것을 의미
(아)
아메리칸 크롤(American crawl): 오스트리아 원주민으로부터 유래된 영법으로서 미국에서 발전된 크롤영법의 현대적 용어
에이지 그룹(Age group): 일정한 연령별로 집단을 구분한 경기제도로 주로 청소년 이하의 연령대를 대상으로 함
엔트리(Entry): 풀 동작에서 손이 입수하는 자세 또는 경기출전 신청
앵커맨(Anchor man): 4명이 한 팀이 되어 하는 계영 경기에서 마지막 영자를 가리키는 말
오버 디스턴스 트레이닝(Over distance training): 영자의 경기출전 종목의 거리보다 긴 거리로 연습하는 훈련방법(100m 출전선수라면 연습 시 200m 이상을 반복연습)
워밍업(Warming up): 수영훈련을 시작할 때 몸을 풀기 위한 준비운동으로서 가볍게 하는 수영
윕킥(Whip kick): 평영 킥을 할 때 휘돌려 차는 방법, 현대 평영의 다리차기. 발을 엉덩이 쪽으로 끌어왔을 때 뭄을 중심으로 발의 위치가 무릎보다 바깥방향으로 벌어짐.
웨지킥(Wedge kick): 평영 킥을 할 때 가위차기 형태로 차는 방법. 발을 엉덩이 쪽으로 끌어왔을 때 몸을 중심으로 무릎의 위치가 발보다 바깥 방향으로 벌어짐
이지 스윔(Easy swim): 가볍게 쉬면서 수영, 보통 강도 높은 수영연습 사이에 행함
익스플로시브 브레싱(Explosive breathing): 호흡방법으로서 내쉬기를 할 때 폭발적으로 강력하게 짧게 하는 방법
(카)
캐치 포인트(Catch point): 물을 당기기 위해 시작되는 시점
캐치(Catch): 물을 당기기 직전 손으로 물을 잡는 동작
코스로프(Course rope): 코스를 구분하기 위해 수면상에 떠 있는 로프를 색깔로 일정한 거리를 주어 역영에 도움이 되도록 표시함
코스라인(Course line): 수영장 바닥에 그어진 선으로 영자의 역영 행로와 턴을 할 때 도움을 줌
크로스오버 킥(Crossover kick): 발차기를 할 때 양쪽 다리를 엇갈리게 차는 동작
킥(kick): 수영시 다리차기 동작으로 각 종목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음
(타)
타임 레이스(time race): 등위 선정을 착순에 의하지 않고 영자의 수행기록에 근거하여 정함. 보통 예선경기에 많이 이용
턴(turn): 수영장 끝에서 턴하는 것을 뜻하며, 각 종목에 따라 다양한 턴 방법이 있음.
테퍼링(tapering):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습량을 줄여 가면서 연습의 질에 중점을 두는 방법
(파)
패들(Paddle): 핸드 패들이라고 하며, 풀 동작을 연습할 때 사용
페이스(Pace): 역영거리에 대해 속도를 안배하는 것을 의미
푸시(Push): 팔동작의 마지막 단계에서 손으로 물을 밀어내는 동작
풀(Pull): 수영의 팔젓기 동작 중 물을 잡아당기는 동작
프록 킥(Frog kick): 평영에서 다리동작의 한 방법으로 개구리 다리차기와 같이 휘돌려 차는 방법
프로그레시브 셋(Progressive set): 거리는 변화를 주지 않고 반복할 때마다 점점 속도를 증진시켜 나가는 훈련방법
프리스타일(Free style): 말 그대로 자유형, 크롤영법으로 대표되지만 어떤 영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 다는 뜻.
피나(FINA): 국제수영연맹(Federation International Natation Amateur)의 약자로 사용
피니쉬(Finish): 풀 동작에서 손이 물 밖으로 나오는 마지막 순간, 또는 경영시 역영을 마침
피치(Pitch): 풀을 할 때 팔이 움직이는 횟수, 다리동작의 횟수를 비트라고 하는 것과 같음.
(하)
하이엘보(High elbow): 풀 동작을 할 때 팔꿈치를 손보다 높게 하여 추진력을 높게 발생시키고 리커버리 때는 팔이 휴식을 취하고 회전거리를 작게 해줌으로써 비효율적인 에너지 낭비를 막기 위한 것
하이폭식 트레이닝(Hyposic training): 수영 중 스트로크 수에 맞추어 호흡수를 제한하는 연습방법
하이엘보(High elbow): 풀 동작을 할 때 팔꿈치를 손보다 높게 하여 추진력을 높게 발생시키고 리커버리 때는 팔이 휴식을 취하고 회전거리를 작게 해줌으로써 비효율적인 에너지 낭비를 막기 위한 것
하이폭식 트레이닝(Hyposic training): 수영 중 스트로크 수에 맞추어 호흡수를 제한하는 연습방법
  • 가격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6.12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2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