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절대식별
2. 상대식별
3. 단기기억
4. 선택반응
2. 상대식별
3. 단기기억
4. 선택반응
본문내용
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다른 것은 제외시키는 경우이다. 이를 응시주의(focused attention)라 하는데, 옆에서 다른 사람이 전화를 거는 동안에 책을 읽거나, 붐비고 시끄러운 나이트에서 어떤 사람의 말을 듣는 활동과 같은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은 분할주의(devided attention)아 하는데, 두가지 이상의 별도과업을 동시에 실행하면서 두 과업에 모두 주의를 기울이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승객과 이야기하면서 차를 운전하거나, 저녁을 먹으면서 뉴스를 듣는 것 등이다.
네 번째 종류의 과업은 간헐적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장시간 동안 쉬지 않고 계속 주의하는 경우이다. 이를 지속주의(sustained attention), 감시(monitoring), 경계(vigilence)라 한다. 예컨대, 침입자가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TV모니터를 보고 있는 경비원, 미사일이 날아오는지를 감시하는 대공 레이더 조작자, 무한회전 조립라인에서 움직이는 제품의 결함을 찾아내는 검사원 등을 들 수 있다.
◆ [선택주의]-선택력 강화
선택주의에서는 단일 과업을 실행하는 몇 개의 정보채널을 감시해야 한다. 가령 감시 중인 다이얼에 이상한 읽음(신호)이 분당 25회 나타난다고 하자. 이 25개의 신호가 모두 한 다이얼에 나타날 수도 있고 5개의 다이얼에 분당 5개의 신호씩 나뉘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때 놓치는 신호를 최소화하려면 어떤 방법이 좋을까? 답은 한 다이얼에 분당 25개의 신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신호의 총발생율이 일정하더라도 정보채널의 수가 증가하면 퍼포먼스가 감소한다. Conrad(1951)는 이를 부하스트레스라 하였는데, 정보채널의 증가 때문에 생기는 스트레스라는 뜻이다. 또 신호 표시속도와 관계되는 속도스트레스도 검토하였다. Goldstein과 Dorfman(1978)은 속도스트레스보다는 부하스트레스가 퍼포먼스를 나쁘게 함을 발견하였다. 가령 실험자가 한 다이얼에서 분당 72개의 신호를 처리하는 편이 세 다이얼에서 분당 24개의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보다 좋다.
여러채널에서 정보를 취할 때는 신호가 뜸하게 나타나는 채널보다는 자주 나타나는 채널에서 채취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 기억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보원이 여러 개 이면 어떤 것은 잊기도 하고, 또 마지막으로 채취한 정보원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으면 필요 이상으로 자주 채취하는 경향이 있다.(Moray 1981). 스트레스가 강한 조건에서는 몇가지 정보원만을 채취하며. 이채취한 정보원이 가장 중요하고 두드러진 것이라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선택주의 과업의 지침
1. 복수 채널을 주사하면서 신호를 보아야 할 때는 한 채널에서의 신호 발생율이 증가하더라도 가능한한 채널의 수를 줄인다.
2. 여러 채널의 상대적 중요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주의하도록 한다.
3. 총괄스트레스 수준을 낮추어서 보다 많은 채널에서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4. 앞으로 신호가 나타날 곳에 관한 예비 정보를 제공한다.
5. 효과적으로 정보채널을 주사하도록 한다. 훈련시키고 최적 주사패턴을 개발한다.
6. 여러 시각 채널을 주사할 때는 서로 가까이 설치하여 주사 요구량을 줄인다.
7. 여러 청각 채널을 주사할 때는 차폐되지 않도록 한다.
8. 가능하면 개별적 응답이 필요한 자극은 개별적 응답속도에 맞추어서 임시로 분리하여 나타낸다. 아주 짧은 간격은 피하고 사람이 자극 입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 [응시주의]-집중력강화
응시주의는 한 두 가지 정보채널에만 계속 주의하고 다른 채널에는 한눈을 팔지 않도록 한다. 사람의 응시주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하나는 물리적 공강에서 정보원의 근접성(proximity)이다. 예컨대 시각 정보원이 서로 1°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면, 바로 옆의 정보원은 완전히 무시하고 한 정보원에만 주의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Broadbent, 1982). 정보원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면 응시주의에 도움이 된다. 예컨대 동시에 나는 여러 음성메시지 중에서 한가지에만 주의하도록 하려면, 메시지의 강도를 달리하거나(대개 클수록 주의를 끈다) 소리를 달리 하거나(남자와 여자 목소리) 소리방향을 바꾼다.
1) 가능하면 경쟁채널(주위 산만하게 하는 것들)과 구별하여 대상채널(기억실험)에만 주의하도록 한다.
2) 물리적 공간에서 경쟁채널을 대상채널과 분리해야 한다. - 집중력강화
3) 경쟁 채널의 수를 줄인다.
4) 대상 채널을 경쟁채널보다 크고 밝으며 큰 소리를 하거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세 번째 유형은 분할주의(devided attention)아 하는데, 두가지 이상의 별도과업을 동시에 실행하면서 두 과업에 모두 주의를 기울이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승객과 이야기하면서 차를 운전하거나, 저녁을 먹으면서 뉴스를 듣는 것 등이다.
네 번째 종류의 과업은 간헐적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장시간 동안 쉬지 않고 계속 주의하는 경우이다. 이를 지속주의(sustained attention), 감시(monitoring), 경계(vigilence)라 한다. 예컨대, 침입자가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TV모니터를 보고 있는 경비원, 미사일이 날아오는지를 감시하는 대공 레이더 조작자, 무한회전 조립라인에서 움직이는 제품의 결함을 찾아내는 검사원 등을 들 수 있다.
◆ [선택주의]-선택력 강화
선택주의에서는 단일 과업을 실행하는 몇 개의 정보채널을 감시해야 한다. 가령 감시 중인 다이얼에 이상한 읽음(신호)이 분당 25회 나타난다고 하자. 이 25개의 신호가 모두 한 다이얼에 나타날 수도 있고 5개의 다이얼에 분당 5개의 신호씩 나뉘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때 놓치는 신호를 최소화하려면 어떤 방법이 좋을까? 답은 한 다이얼에 분당 25개의 신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신호의 총발생율이 일정하더라도 정보채널의 수가 증가하면 퍼포먼스가 감소한다. Conrad(1951)는 이를 부하스트레스라 하였는데, 정보채널의 증가 때문에 생기는 스트레스라는 뜻이다. 또 신호 표시속도와 관계되는 속도스트레스도 검토하였다. Goldstein과 Dorfman(1978)은 속도스트레스보다는 부하스트레스가 퍼포먼스를 나쁘게 함을 발견하였다. 가령 실험자가 한 다이얼에서 분당 72개의 신호를 처리하는 편이 세 다이얼에서 분당 24개의 신호를 처리하는 경우보다 좋다.
여러채널에서 정보를 취할 때는 신호가 뜸하게 나타나는 채널보다는 자주 나타나는 채널에서 채취하는 경향이 있다. 인간 기억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보원이 여러 개 이면 어떤 것은 잊기도 하고, 또 마지막으로 채취한 정보원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으면 필요 이상으로 자주 채취하는 경향이 있다.(Moray 1981). 스트레스가 강한 조건에서는 몇가지 정보원만을 채취하며. 이채취한 정보원이 가장 중요하고 두드러진 것이라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
선택주의 과업의 지침
1. 복수 채널을 주사하면서 신호를 보아야 할 때는 한 채널에서의 신호 발생율이 증가하더라도 가능한한 채널의 수를 줄인다.
2. 여러 채널의 상대적 중요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주의하도록 한다.
3. 총괄스트레스 수준을 낮추어서 보다 많은 채널에서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4. 앞으로 신호가 나타날 곳에 관한 예비 정보를 제공한다.
5. 효과적으로 정보채널을 주사하도록 한다. 훈련시키고 최적 주사패턴을 개발한다.
6. 여러 시각 채널을 주사할 때는 서로 가까이 설치하여 주사 요구량을 줄인다.
7. 여러 청각 채널을 주사할 때는 차폐되지 않도록 한다.
8. 가능하면 개별적 응답이 필요한 자극은 개별적 응답속도에 맞추어서 임시로 분리하여 나타낸다. 아주 짧은 간격은 피하고 사람이 자극 입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 [응시주의]-집중력강화
응시주의는 한 두 가지 정보채널에만 계속 주의하고 다른 채널에는 한눈을 팔지 않도록 한다. 사람의 응시주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하나는 물리적 공강에서 정보원의 근접성(proximity)이다. 예컨대 시각 정보원이 서로 1°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면, 바로 옆의 정보원은 완전히 무시하고 한 정보원에만 주의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Broadbent, 1982). 정보원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면 응시주의에 도움이 된다. 예컨대 동시에 나는 여러 음성메시지 중에서 한가지에만 주의하도록 하려면, 메시지의 강도를 달리하거나(대개 클수록 주의를 끈다) 소리를 달리 하거나(남자와 여자 목소리) 소리방향을 바꾼다.
1) 가능하면 경쟁채널(주위 산만하게 하는 것들)과 구별하여 대상채널(기억실험)에만 주의하도록 한다.
2) 물리적 공간에서 경쟁채널을 대상채널과 분리해야 한다. - 집중력강화
3) 경쟁 채널의 수를 줄인다.
4) 대상 채널을 경쟁채널보다 크고 밝으며 큰 소리를 하거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
추천자료
기억술[시연,조직화,약호화,핵심단어주제어기억술,시각적 심상
주기억장치,보조기억장치,캐쉬메모리
[심리학과 기억이론] 심리학과 기억이론
인간의 정보처리 기억시스템, 장기기억화, 보고서작성, 경력계발
효과적인 나만의 기억법을 심리학의 기억법과 비교 논의
기억촉진을 유발시키는 광고분석과 소비자의 기억촉진을 증대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자료
기억의 유형과 과정 기억방법
미녀는석류를좋아해,기억인출마케팅,기억마케팅,소비자지각마케팅,지각마케팅
유아의 기억발달에 도움이 되는 기억책략을 유아에게 학습시키기에 적합한 방안을 논하시오.
유아기의 기억발달(유아의 기억발달)
[유아의 기억발달] 유아기 기억발달
[정보처리이론] 정보처리과정, 피아제이론과 정보처리이론의 비교, 기억능력의 발달, 상위기...
기억증진전략(기억향상법)
기억전략(시연 구조화 기억보조술의 활용 정교화와 의미망 조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