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브랜딩의 기본
2) 브랜드의 종류
3) 브랜딩의 선택
4) 브랜딩 요소의 평가
5) 사례분석
2) 브랜드의 종류
3) 브랜딩의 선택
4) 브랜딩 요소의 평가
5) 사례분석
본문내용
브랜딩의 기본
1) 브랜딩의 기본
- 좋은 브랜드는 시장의 핵심 제품 혹은 서비스, 부가 서비스(wrap-arounds).
-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명료하게 메시지를 전달
브랜딩의 기본
(1) 브랜딩의 요건
브랜딩의 기본
(2) 브랜드 자산의 단순한 개념적 모델
브랜딩의 기본
(3) 브랜드 자산
- 고객과 기업의 관점으로부터 겉으로 드러나는 자산들의 조합
- 브랜드 자산을 고객반응과 이익(기업과 고객의)의 조합으로 본다.
- 브랜드의 이름과 제품 혹은 서비스가 기업과 그 기업의 고객에게 주는 가치를 상징하는 것과 관련된 ‘자산(부채)의 집합’
- 고객 기반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지식이 그 브랜드 시장에 대한 고객 반응을 얻어 내는 것이 어떻게 다르게 효과를 주는지에 의해 정의된다.
브랜딩의 기본
(4) 고객반응
- 브랜드 인지(awareness)와 연상작용(associations)이라는 두가지 형태를 취할수 있다.
- 브랜드 명을 인지한다는 것은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ex. Monster.com)는 아무 도움 없이 떠올려지던지 광고에 의해서 촉발되든지 간에 쉽게 떠올릴 수 있다.
- 연상작용-브랜드에 의해 고객이 연결고리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
(1)강도 – 언급된 연상의 횟수,순위,속도를 포함.
(2) Valence
(3)고유성
브랜딩의 기본
(5) Valence
- 연상작용이 얼마나 긍정적이었는가 OR 얼마나 부정적이었는가를 의미
- Amozon
-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긍정적인 연상
- ‘수익성이 좋지 않다-부정적인 연상
- 책을 파는 회사- 중립적인 연상
- 고유성은 연상이 다른 브랜드와 상대적으로 구분되는 정도를 의미.
- 일관성-브랜드의 각 요소가 브랜드의 의도를 강화하는 정도로 정의 할 수 있다.
(6) 기업과 고객의 이익
- 고객의 이익
- 구매의사 결정 시 확신을 준다.
-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준다.
- 만족감을 준다.
- 기업의 이익
- 최고 수준의 수익과 이익률의 증가
- 낮은 마케팅 비용
- 새로운 분야로 브랜드를 확장 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 줌
브랜드의 종류
브랜드의 종류
경계가 모호해짐 (사이트의 발전과정)
- 야후- 온라인 브랜드로써 자리잡았지만 오프라인광고 활동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
- 야후 매거진 - 실제 세계에서 생산되는 제품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인 브랜드'이다. 그러나 온라인 브랜드가 확장된 형태를 가진다.(혼합형)
- Egghead.com - 제품을 고전적인 오프라인 브랜드에서 순수한 온라인 브랜드로 완전히 전환하였다.
- Wingspanbank – 가상공간에서 확립된 제품이라는 점은 온라인 브랜드 하지만 고전적인 브랜드에 의한 것이었다.
- Schwab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활동의 차이를 성공적으로 극복
- Ragu – 오프라인에서 설립된 브랜드지만 온라인의 광고 활동으로 브랜드의 인지도와 고객 충성도를 높였다.
1) 브랜딩의 기본
- 좋은 브랜드는 시장의 핵심 제품 혹은 서비스, 부가 서비스(wrap-arounds).
-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명료하게 메시지를 전달
브랜딩의 기본
(1) 브랜딩의 요건
브랜딩의 기본
(2) 브랜드 자산의 단순한 개념적 모델
브랜딩의 기본
(3) 브랜드 자산
- 고객과 기업의 관점으로부터 겉으로 드러나는 자산들의 조합
- 브랜드 자산을 고객반응과 이익(기업과 고객의)의 조합으로 본다.
- 브랜드의 이름과 제품 혹은 서비스가 기업과 그 기업의 고객에게 주는 가치를 상징하는 것과 관련된 ‘자산(부채)의 집합’
- 고객 기반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지식이 그 브랜드 시장에 대한 고객 반응을 얻어 내는 것이 어떻게 다르게 효과를 주는지에 의해 정의된다.
브랜딩의 기본
(4) 고객반응
- 브랜드 인지(awareness)와 연상작용(associations)이라는 두가지 형태를 취할수 있다.
- 브랜드 명을 인지한다는 것은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ex. Monster.com)는 아무 도움 없이 떠올려지던지 광고에 의해서 촉발되든지 간에 쉽게 떠올릴 수 있다.
- 연상작용-브랜드에 의해 고객이 연결고리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
(1)강도 – 언급된 연상의 횟수,순위,속도를 포함.
(2) Valence
(3)고유성
브랜딩의 기본
(5) Valence
- 연상작용이 얼마나 긍정적이었는가 OR 얼마나 부정적이었는가를 의미
- Amozon
-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긍정적인 연상
- ‘수익성이 좋지 않다-부정적인 연상
- 책을 파는 회사- 중립적인 연상
- 고유성은 연상이 다른 브랜드와 상대적으로 구분되는 정도를 의미.
- 일관성-브랜드의 각 요소가 브랜드의 의도를 강화하는 정도로 정의 할 수 있다.
(6) 기업과 고객의 이익
- 고객의 이익
- 구매의사 결정 시 확신을 준다.
-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를 높여준다.
- 만족감을 준다.
- 기업의 이익
- 최고 수준의 수익과 이익률의 증가
- 낮은 마케팅 비용
- 새로운 분야로 브랜드를 확장 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해 줌
브랜드의 종류
브랜드의 종류
경계가 모호해짐 (사이트의 발전과정)
- 야후- 온라인 브랜드로써 자리잡았지만 오프라인광고 활동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
- 야후 매거진 - 실제 세계에서 생산되는 제품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인 브랜드'이다. 그러나 온라인 브랜드가 확장된 형태를 가진다.(혼합형)
- Egghead.com - 제품을 고전적인 오프라인 브랜드에서 순수한 온라인 브랜드로 완전히 전환하였다.
- Wingspanbank – 가상공간에서 확립된 제품이라는 점은 온라인 브랜드 하지만 고전적인 브랜드에 의한 것이었다.
- Schwab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활동의 차이를 성공적으로 극복
- Ragu – 오프라인에서 설립된 브랜드지만 온라인의 광고 활동으로 브랜드의 인지도와 고객 충성도를 높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