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접미사와 어간 강세
2. 접미사와 어간 모음변화
3. 단어형성과 관련하여
2. 접미사와 어간 모음변화
3. 단어형성과 관련하여
본문내용
lass의 접미사가 나오든지, class I, II의 순서로 접미사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bounti-ful-ity와 *piti-less-ity 같이 옳지 못한 예에는 어간 뒤에 class II, I의 순서로 접미사가 연결되어 있다.
(14)어간 + class II + class II (예: bounti-ful-ness)
* 어간 + class II + class I (예: *bounti-ful-ity)
어간 + class I + class II(예: univers-al-ness)
어간 + class I + class I(예: univers-al-ity)
이러한 예들을 바탕으로, 영어에서의 접미사 연결 순서는 같은 class의 접미사가 계속되든지, class I, class II 순서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리는 이상에서 영어의 접미사에는 class I, class II로 명명되어지는 두 부류의 접미사가 있으며, 이러한 두 부류의 접미사는 강세, 삼음절 단모음화와 같이 발음에 관계된 현상뿐만 아니라 단어 형성에도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지면 관계상 여기서 다루지 못한 접미사가 어떤 class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일은 이제 독자 여러분의 몫으로 남긴다.
[주1]여기서 논의되는 내용은 Siegel(1974), Kiparsky(1982), Mohanan(1986) 등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주2]여기서 [iy], [ey], [ow], [a], [ay], []로 나타내는 모음은 영한사전에 각각 [i:], [ei], [ou], [], [ai], [i]로 기록되기도 한다.
(14)어간 + class II + class II (예: bounti-ful-ness)
* 어간 + class II + class I (예: *bounti-ful-ity)
어간 + class I + class II(예: univers-al-ness)
어간 + class I + class I(예: univers-al-ity)
이러한 예들을 바탕으로, 영어에서의 접미사 연결 순서는 같은 class의 접미사가 계속되든지, class I, class II 순서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우리는 이상에서 영어의 접미사에는 class I, class II로 명명되어지는 두 부류의 접미사가 있으며, 이러한 두 부류의 접미사는 강세, 삼음절 단모음화와 같이 발음에 관계된 현상뿐만 아니라 단어 형성에도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지면 관계상 여기서 다루지 못한 접미사가 어떤 class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일은 이제 독자 여러분의 몫으로 남긴다.
[주1]여기서 논의되는 내용은 Siegel(1974), Kiparsky(1982), Mohanan(1986) 등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주2]여기서 [iy], [ey], [ow], [a], [ay], []로 나타내는 모음은 영한사전에 각각 [i:], [ei], [ou], [], [ai], [i]로 기록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