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의 기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GO의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NGO의 개념과 등장배경
1) NGO의 개념
2)NGO의 등장배경

2. NGO의 기능
1)NGO의 보완적 기능
2)NGO의 감시 통제적 기능

본문내용

이 정부의 권력형태가 중앙집권적인가, 지방분권적인가에 따라 NGO의 기능이 다르다.
따라서 정부의 집권화와 분권화에 따른 시민과 NGO의 기능적 양상을 살펴보면, ①먼저 중앙집권화 된 정부의 경우, 시민개인은 의사결정과정에 참여가 불가능하고, 시민들이 집합적으로 결사체를 만들어 활동하는 NGO 역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가능성이 희박하며, 이때 문제해결의 효과성과 효율성은 낮다. ②반면에 지방분권화 된 정부의 경우, 시민개인은 정책결정과정에 참여 가능성이 비록 낮더라도, 시민들이 집합적으로 시민조직을 구성하여 정책변화를 요구하는 NGO의 의사결정과정의 참여가능성은 높으며 이때 시민에 의한 문제해결의 효율성이나 효과성은 보통이나 NGO에 의한 문제해결의 효과나 효율성은 매우 높다, 특히 어떤 의제에 부합하고 사회적 효과가 인정되는 NGO일 경우 정책수립과정에 적극 참여하게 되고, 정부측에서도 전문성을 확보한 NGO의 정보와 연구결과들을 검토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 점에서 NGO에 기반을 둔 새로운 시민사회의 형성과 시민운동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주는 정치제도는 지방자치제이고, 대부분 지방자치가 실현된 나라에서 NGO활동이 더욱 활발함을 알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06.29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7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