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배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사회는 좋든 싫든 대중사이에서 살아가야 하는데 그로 인해 개인이기주의라든지 특정집단의 집단이기주의가 팽배하게 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 가운데서도 홀로 있다는 생각이 불현듯 들곤 한다. 인도의 승려 용수는 연기 무자성 (無自性) 공(空) 으로 연기를 해석하였다. 단순히 원인과 결과의 이어짐 뿐만 아니라 아집의 소멸로 '모든 것이 함께 존재함'까지 확대시켰다. 이러한 용수의 사상은 갈수록 착한 사마리안의 법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현대인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지금까지 나의 좁은 소견으로 대학자들의 사상을 비판, 긍정해 보았다. 그 분들의 사상에 대해 쥐꼬리만한 지식으로 어줍짢은 비평을 한 것 같아 선인들께 죄송한 마음이 앞선다. 아직도 그 분들의 사상에 대하여 배울 점이 많겠지만 예전에도 그랬고 현재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 확실한 한 가지가 있다. 고도의 문화를 많이 가진다고 하여 그것이 우위의 문명이고 그렇지 않다고 하여 하위의 문명이라 함은 그르다는 것이다. 오랑캐라 손가락질 받는 민족 또는 국가일지라도 백성(국민)이 억압받지 않고 국가의 주인으로서 대우받는 사회가 진정으로 고도의 문명이라고 믿는다.
지금까지 나의 좁은 소견으로 대학자들의 사상을 비판, 긍정해 보았다. 그 분들의 사상에 대해 쥐꼬리만한 지식으로 어줍짢은 비평을 한 것 같아 선인들께 죄송한 마음이 앞선다. 아직도 그 분들의 사상에 대하여 배울 점이 많겠지만 예전에도 그랬고 현재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 확실한 한 가지가 있다. 고도의 문화를 많이 가진다고 하여 그것이 우위의 문명이고 그렇지 않다고 하여 하위의 문명이라 함은 그르다는 것이다. 오랑캐라 손가락질 받는 민족 또는 국가일지라도 백성(국민)이 억압받지 않고 국가의 주인으로서 대우받는 사회가 진정으로 고도의 문명이라고 믿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