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目 次
序論 정화의 남해 대원정과 그 의미
本論 Ⅰ. 황제 독재체제 강화와 영락제의 등장
1. 명의 건국과 독재체제
2. 영락제와 환관
Ⅱ. 중화 질서의 확대와 환관 파견
1. 확대되는 명나라
2. 환관 파견
Ⅲ. 정화의 생애와 남해 원정
1. 색목인 정화의 삶
2. 정화 함대의 항해
3. 북경 천도와 남해 원정의 포기
結論 정화의 원정과 바다의 시대
序論 정화의 남해 대원정과 그 의미
本論 Ⅰ. 황제 독재체제 강화와 영락제의 등장
1. 명의 건국과 독재체제
2. 영락제와 환관
Ⅱ. 중화 질서의 확대와 환관 파견
1. 확대되는 명나라
2. 환관 파견
Ⅲ. 정화의 생애와 남해 원정
1. 색목인 정화의 삶
2. 정화 함대의 항해
3. 북경 천도와 남해 원정의 포기
結論 정화의 원정과 바다의 시대
본문내용
단행한 영락제가 환관을 각지에 파견한 것은 세계 질서를 '중화사상'이라는 이데올로기로 재편하기 위해서였다. 특히 정화는 대함대를 이끌고 남지나해, 자바해, 벵골만, 아라비아 해를 연결하는 항해를 7차례나 시도해 예전의 정크 교역권을 명 제국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적 네트워크로 변모시키려고 시도했다. 이는 경제적 요인 중심에서의 정치적 요인 중심으로의 결집요인의 대변환 이었다. 그러나 이 항해는 막대한 재정적 부담을 강요했고 몽고인과의 장기간의 항쟁, 북경의 건설이 겹치면서 중단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정화의 원정을 통해 명대의 정치·경제적 성격을 알 수 있고 시대의 대전환기를 살아간 색목인이자 환관이었던 정화의 생애를 통해 명대의 사회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대는 아직도 결집요인으로써 해양에 대한 관심이 중요한 바다의 시대이다. 특히 무역이 국가 경제의 중요한 발판이 되는 우리 나라의 조건에서 해양에 대한 관심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 그래서 정화의 원정은 해양에 대한 국가적 투자와 그 성격을 규정하고 계획하는 데 있어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그것이 국가적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치밀한 준비가 필요하고 적극적 지원이 바탕이 되어야함을 우리는 정화의 원정을 통해 알 수 있다. 21세기 바다의 시대에 사는 우리에게 환관 정화 생애는 슬픈 모범으로써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參考書目
1. 정화의 남해 대원정, 미야자키 마사가쓰(宮崎正勝)저 / 이규조 옮김 / 일빛
2. 리오리엔트, 안드레 군더 프랑크저 / 이희재 옮김 / 이산
3. 서양사 강의 / 배영수편 / 한울 아카데미
參考書目
1. 정화의 남해 대원정, 미야자키 마사가쓰(宮崎正勝)저 / 이규조 옮김 / 일빛
2. 리오리엔트, 안드레 군더 프랑크저 / 이희재 옮김 / 이산
3. 서양사 강의 / 배영수편 / 한울 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