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락제와 명조 전기의 정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연왕과 건문정권

(1) 황자(皇子)의 분봉

(2) 정난의 변

3. 영락제의 정책

(1) 황제전제정치의 강화

(2) 북경천도

(3) 대외원정

(4) 영락대전 편찬

4. 홍희 ・ 선덕의 시대

5. 영락정권의 성격

참고자료

본문내용

권 강화, 이갑제의 시행 등은 모두 국가측에서 볼 때 정치적, 경제적인 통제력을 확보한 것이었다. 영락제 시기에는 이러한 홍무정권의 성향을 이어받아 전제체제가 강화되어 그 기반을 갖추어 나갔다. 『성리대전』,『영락대전』과 같은 대편찬사업을 통해서 지식인에 대한 사상의 통제력까지 확보해 나갔으며 황제의 최측근이라 할 수 있는 환관을 내세우거나 동창과 같은 감찰기관을 통해 전제권력의 기반을 강화하였다. 이는 후세에 가면서 명왕조의 정상적인 통치체제에 악영향을 끼치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홍무제 이래의 전제체제가 영락제 시기에 이르러 정착될 수가 있었다.
대외관계에 있어서 영락제는 이전의 홍무제나 이후의 정권들과는 달리 적극적이고 대외팽창적인 면모를 보이는데 이는 우선 명왕조의 국위선양에도 기여했음은 두말할 나위 없지만 명 중심의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형성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하였다. 명의 대외정책인 책봉조공체제는 이 시기를 거치면서 정착 영락제 시기의 대외정책이 그 전후와 비교할 때 적극적이라는 것은 단순히 대규모 대외원정 때문만이 아니라 주변국을 명의 책봉체제 안으로 편입되도록 강제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 무로마치(室町)막부의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滿)처럼 자발적으로 편입된 예도 있지만, 정화의 대외원정 자체가 南海 諸國에 조공을 권하고 듣지 않으면 무력을 행사하여 요구를 관철시킨 점(비록 대다수의 국가가 중국의 문물 및 교역의 이익 때문에 무력을 행사할 필요도 없이 요구에 응했을지라도)은 영락제 이후 이러한 책봉체제를 주변국에 강제한 예가 없다는 점을 상기해보면 영락제 시기에 명의 책봉, 조공체제와 같은 대외정책이 완전히 정착되었다고 해도 별 무리는 없을 것이다.
되었고 영락제의 대외원정은 이러한 명 중심의 국제질서를 확대해나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산물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참고자료
宮崎市定 著, 조병한 譯, 『中國史』, 역민사, 1983.
徐連達 외, 중국사연구회 옮김, 『中國通史』, 청년사, 1989.
서울대 동양사학연구실 편, 『講座中國史 4. 帝國秩序의 完成』, 지식산업사, 1989.
白壽彛 외, 임효섭임춘성 옮김, 『中國通史綱要』, 이론과 실천, 1991.
伊藤道治 외, 이근명 編譯, 『中國歷史』下, 신서원, 1993.
檀上寬 외, 정성일 譯, 『중국사-근세2』(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4), 신서원, 1997.
宮崎正勝 著, 이규조 譯, 『정화의 남해 대원정』, 일빛, 1999.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19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6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