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 생애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탄생과 집안 배경
2. 유년시절
3. 일본유학 생활
4. 사회생활(기자와 작가)
5. 만주국 안동에서 삶
6. 서울 생활과 6.25전쟁
7. 가톨릭 입교와 임종

Ⅲ.결론

본문내용

3명, 부상자 700여 명의 희생자가 발생하였으며, 수많은 학생들이 체포·구속되었다. 이들의 궐기를 배후조종하거나 교사하였다는 죄목으로, 많은 애국지사와 민족 진영의 간부 및 종교인들이 체포·구금되었으며, 시베리아로 끌려가기도 하였다.
을 직접 체험한다. 염상섭은 그 사건을 경험한 후 「그 초기」라는 작품을 쓴다. 「그 초기」는 신의주 학생사건을 체험한 작가 염상섭의 소설이자, 그것을 문학작품으로 형상화한 유일한 것이다.
6. 서울 생활과 6.25전쟁
1946년 6월 중순 아내, 두딸과 함께 사리원을 거쳐 38선을 넘어 서울에 돌아온다. 그는 돈암동 295의 3호에 거주를 정하였다. 그의 가족은 부인(39), 장남(15), 장녀(14), 삼녀(9), 막내(4) 모두 6명이었다. 차녀는 1937년 만주에서 잃었다. 서울에 왔을 때 염상섭의 나이는 49세였다. 그가 문단에 다시 등장하여 공적인 활동을 시작한 것은 그해 9월부터이다. 염상섭의 공적활동, 사회에의 복귀는 가톨릭계 신문인 경향신문 창간(1946.10.6)과 더불어 시작된다. 이 신문은 사장 양기섭, 부사장 윤형중 신부, 주간은 시인 정지용이었다. 염상섭은 경향신문 창간 편집국장이 된다. 그러나 1947년 7월 9일 정지용과 동시에 퇴사한다. 다음해에 경향신문을 사퇴하고 성균관대에 출강하면서 창작에 전념하였다.
1950년 6.25전쟁이 반발한다. 피난을 가지 못 한 염상섭과 그의 가족들은 9.28수복때까지 숨어서 산다. 그 해 12월에 이무영, 윤백남과 함께 해군에 입대한다. 피난을 가지 못해서 갇혀 지내 답답했던 염상섭은 신문이나 잡지일을 하려 하였다. 그러나 신문사를 새로 만들기에서 실패하였고, 또한 모신문의 경영 속에 참여하여 그것을 인수하고자 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는다. 북행하는 국군 따라 수복지구에 가서 그 곳 인쇄소를 인수하여 새로운 신문사나 잡지 사를 차리는 방법을 생각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해군에 입대한 것으로 보인다. 입대한 뒤 석달 만인 3월 1일 소령으로 임관하여 해군본부 정훈감실에서 편집과장으로 근무한다. 윤백남은 얼마 뒤에 제대를 하였으며 이무영과 염상섭은 중령으로 승진하였다.
서울 환도(1953.8.15) 뒤엔 염상섭이 해군본부 서울분실 정훈실장으로 있다가 제대하였다. 제대 후에도 염상섭은 작품활동을 계속하였으며, 1954년에 취우로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하였고, 같은 해에 서라벌 예술대학 학장에 취임하였다. 1956년에는 자유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다음해 7월에는 예술원 공로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7. 가톨릭 입교와 임종
1961년 염상섭은 윤형준 신부와 김돌로로사 수녀의 인도로 가톨릭에 입교한다. 염상섭의 가톨릭 영세명은 바오로이다. 그가 왜 가톨릭에 입교한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염상섭은 1963년 3월 11일에 직장암으로 예술원 주선으로 메디칼 센터에 입원한다. 그러나 차도가 없고 더 악화되자 의사의 허락을 받아 3월 13일 저녁에 자택으로 돌아간다. 둘째딸이 신부를 모셔 왔고 14일 아침 9시에 운명하였다. 그의 나이 66세였다. 문단장은 1963년 3월 18일 오전 10시 명동 천주교회 앞 뜰에서 거행 되었고 장례위원장은 박종화였다. 박종화의 식사, 홍영민의 약력보고, 전영택, 유광열, 윤봉춘 등의 조사가 있었다. 사회는 시인 이인석이었다. 염상섭은 방학동 천주교 묘지에 묻혔다.
Ⅲ.결론
이상 우리는 염상섭의 생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염상섭을 설명함에 있어서 첫째 보수주의자, 둘째 점진적 개량주의자. 셋째 소시민적 서민, 넷째 휴머니스트, 다섯째 민족주의자, 여섯째 철저한 개인주의자·자유주의자, 일곱째 항일·반공주의자 등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이렇게 염상섭의 삶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 되어진다.
우리가 알아 본 발표문 몇 장으로 염상섭의 생애가 어떻고 그가 어떤 사람이다라고 확실한 결론을 내리지 못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염상섭의 작품를 통해서 그의 작품 속에 들어간 그의 삶이 어떠했으며 그의 생각이 어떠한지 어느정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염상섭 한 작가의 생애에 대한 평가와 그에 대한 판단은 그의 작품을 읽고 공부하는 우리들의 개개인 학생들의 몫이 아닐까 생각된다.
<참고문헌>
권영민 외, 『염상섭문학 연구』, 1987, 민음사
김윤식, 『염상섭 연구』, 1999,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종균, 『염상섭 소설연구』, 1999, 국학자료원
이용남 외, 『한국현대작가론』,1997, 민지사
백철 외,『염상섭연구』, 1987, 새문사
  • 가격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7.17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1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