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논리학의 의의
2. 형식논리학의 의의와 종류
(1) 역사
(2) 판단
(3) 주연(周延)·부주연(不周延)
(4) 추리
(5) 정언적삼단논법
(6) 제약적 삼단논법
3. 형식논리학의 근본원리
(1) 동일률
(2) 모순률
(3) 배증률
(4) 충족이유률
2. 형식논리학의 의의와 종류
(1) 역사
(2) 판단
(3) 주연(周延)·부주연(不周延)
(4) 추리
(5) 정언적삼단논법
(6) 제약적 삼단논법
3. 형식논리학의 근본원리
(1) 동일률
(2) 모순률
(3) 배증률
(4) 충족이유률
본문내용
그리고 가 아니다)는 가 어떤 명제라 할지라도 성립하지 않는다>라고 정식화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명제도 참인 동시에 거짓일 수는 없다>라고 나타내어도 된다. 배중률과 마찬가지로 모순율도 논리학 분야에서 엄밀하게 다루어지게 된 것은 근대논리학이 성립된 이후의 일이다. 이로써 모순율은 정리로서 유도되도록 현대의 명제논리에서는 정식화된 것이다. 그러나 부정을 구성적으로 이해한다면, 모순율도 배중률과 마찬가지로 반드시 성립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3) 배증률
배증률의 원리는 동일한 대상에 관하여 동일한 사실을 동시에 긍정하고 또한 부정할 수 없다는 원리이다. 다시말하면 배증률은 긍정하면 부정할 수없고 부정하면 긍정할 수없다는 원리이다. 그러므로 배증률에 있어서 A는 B이든가 B아니든가 양자 중의 하나이어야만 하며 B도 아니고 B 아닌 것도 아닌 제 삼자일 수 없다.
(4) 충족이유률
사유(思惟)법칙의 하나. 모든 사물의 존재·진리는 그것이 존재할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동일률·모순율·배증률과 함께 형식논리학 전체의 기초로 간주되었다. G.W. 라이프니츠는 특히 모순율과 충족이유율을 논리학의 2대 원리로 규정하고, 충분한 이유가 없으면 어떠한 사실도 성립하지 않으며 어떠한 판단도 참일 수 없다고 하였다. 그는 또한 진리를 2가지로 구별하고, 모순에 기인한 진리를 추리의 진리(또는 필연적 진리)라 하는 데 비해 사실의 진리(또는 우연적 진리)는 충족이유율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한편, A. 쇼펜하우어는 생성의 충족이유율, 인식의 충족이유율, 존재의 충족이유율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3) 배증률
배증률의 원리는 동일한 대상에 관하여 동일한 사실을 동시에 긍정하고 또한 부정할 수 없다는 원리이다. 다시말하면 배증률은 긍정하면 부정할 수없고 부정하면 긍정할 수없다는 원리이다. 그러므로 배증률에 있어서 A는 B이든가 B아니든가 양자 중의 하나이어야만 하며 B도 아니고 B 아닌 것도 아닌 제 삼자일 수 없다.
(4) 충족이유률
사유(思惟)법칙의 하나. 모든 사물의 존재·진리는 그것이 존재할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원리이다. 동일률·모순율·배증률과 함께 형식논리학 전체의 기초로 간주되었다. G.W. 라이프니츠는 특히 모순율과 충족이유율을 논리학의 2대 원리로 규정하고, 충분한 이유가 없으면 어떠한 사실도 성립하지 않으며 어떠한 판단도 참일 수 없다고 하였다. 그는 또한 진리를 2가지로 구별하고, 모순에 기인한 진리를 추리의 진리(또는 필연적 진리)라 하는 데 비해 사실의 진리(또는 우연적 진리)는 충족이유율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한편, A. 쇼펜하우어는 생성의 충족이유율, 인식의 충족이유율, 존재의 충족이유율로 나누어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