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르크스는 무엇을 추구하였는가?>
<생애와 저술>
<지적 배경>
<자본주의와 소외>
<변증법적 유물론>
<역사인식 방법으로서의 사적 유물론-이른바 \'사적 유물론의 정식->
<사적 유물론의 여러 개념들>
<러시아혁명 요약>
1. 러시아의 구체제와 개혁
<봉건적 질서와 위로부터의 개혁>
<개혁의 한계>
2. 혁명사상의 전개와 혁명운동의 성장
<인민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수용>
<혁명운동의 전개>
3. 1차 러시아혁명과 정치적 반동
<1905년의 혁명>
<스톨리핀의 반동>
3. 제국주의전쟁에서 사회주의혁명으로
<제국주의전쟁>
<2월혁명>
<레닌과 4월테제>
<10월혁명>
<생애와 저술>
<지적 배경>
<자본주의와 소외>
<변증법적 유물론>
<역사인식 방법으로서의 사적 유물론-이른바 \'사적 유물론의 정식->
<사적 유물론의 여러 개념들>
<러시아혁명 요약>
1. 러시아의 구체제와 개혁
<봉건적 질서와 위로부터의 개혁>
<개혁의 한계>
2. 혁명사상의 전개와 혁명운동의 성장
<인민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수용>
<혁명운동의 전개>
3. 1차 러시아혁명과 정치적 반동
<1905년의 혁명>
<스톨리핀의 반동>
3. 제국주의전쟁에서 사회주의혁명으로
<제국주의전쟁>
<2월혁명>
<레닌과 4월테제>
<10월혁명>
본문내용
력혁명을 구상한다.(이 무렵에 그가 집필한 <국가와 혁명>은 폭력혁명을 통하여 부르조아국가를 프롤레타리아국가로 대체해야할 역사적 필연성과 당위성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후 10월 10일 볼세비키 중앙위원회에서의 무장봉기안 채택, 24일의 봉기, 일련의 급진적인 개혁안 발표 및 시행 (평화에 관한 포고령, 토지에 관한 포고령, 노동자 통제에 관한 규정, 각종 개혁입법 ) 등을 통하여 레닌은 권력을 장악하였다. 11월에는 사회혁명당 좌파가 레닌정권에 참여하여 두 사회주의정당간의 연립임시정권이 수립되었다.
레닌의 혁명정부(인민위원회)는 혁명성공 직후 스스로를 노동자·농민의 임시정부로 규정했었고 인민위원회는 단지 `헌법제정회의'의 소집 때까지만 국가의 행정을 인수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었다. 인민위원회는 그 약속을 이행키로 하고 11월 12일 선거를 실시하였으나, 선거는 옛 쏘비에트 사회주의자들이 대거 진출하는 결과를 낳았다.(의석점유율을 보면, 사회혁명당 우파 58%, 볼세비키 26%, 멘세비키 3%, 부르조아-지주정당 13%) 이제 레닌과 인민위원회는 중대한 결단을 내려야 했다.의회제 민주주의원칙을 존중하여 권력을 이양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평화를 되찾고 반혁명세력의 준동에 대처하며 신생 쏘비에트공화국의 산적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회제 대의기관을 해산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이름 아래,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정권을 그대로 유지할 것인가? 볼세비키정권이 택한 것은 후자였다. 1918년 1월 6일 헌법제정회의는 자진해산이라는 명목으로 강제 해산되었다.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길이 열린 것이다.
레닌의 혁명정부(인민위원회)는 혁명성공 직후 스스로를 노동자·농민의 임시정부로 규정했었고 인민위원회는 단지 `헌법제정회의'의 소집 때까지만 국가의 행정을 인수한다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었다. 인민위원회는 그 약속을 이행키로 하고 11월 12일 선거를 실시하였으나, 선거는 옛 쏘비에트 사회주의자들이 대거 진출하는 결과를 낳았다.(의석점유율을 보면, 사회혁명당 우파 58%, 볼세비키 26%, 멘세비키 3%, 부르조아-지주정당 13%) 이제 레닌과 인민위원회는 중대한 결단을 내려야 했다.의회제 민주주의원칙을 존중하여 권력을 이양해야 할 것인가? 아니면 평화를 되찾고 반혁명세력의 준동에 대처하며 신생 쏘비에트공화국의 산적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회제 대의기관을 해산하고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이름 아래,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정권을 그대로 유지할 것인가? 볼세비키정권이 택한 것은 후자였다. 1918년 1월 6일 헌법제정회의는 자진해산이라는 명목으로 강제 해산되었다.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길이 열린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마르크스의 자본론
마르크스주의 (Marxism)
[마르크스주의][막시즘]마르크스주의(막시즘) 심층 분석(마르크스주의(막시즘)와 계급투쟁, ...
[마르크스][마르크스사상][마르크스주의]마르크스와 마르크스사상 및 마르크스주의(마르크스 ...
[레닌][국가론][파업론][레닌 국가론][레닌의 파업론][레닌의 실현이론][레닌의 제국주의론][...
[마르크스 '자본론']잉여가치의 형성과정과 그것이 부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이유[마르크스 '...
[레닌][레닌주의][마르크스주의][레닌 사상][레닌 이론][레닌 민주주의][레닌 독재][레닌 파...
마르크스주의 국가관
마르크스주의 국가관의 관점에서 본 한국사회의 계급 분석
[무신론][신론][신][마르크스][막스][맑스][사르트르][신론의 존재][신과 무신론][마르크스의...
「자본」에서 마르크스의 독점(가격/이윤)에 대한 이해 - 네오마르크스주의 독점가격론 및 독...
마르크스주의의 배경과 사상 및 마르크스 문화론
안토니오 그람시의 역사, 사상핵심, 안토니오 그람시와 헤게모니론(헤게모니이론), 마르크스...
[철학] 마르크스의 사상, 이론, 학설(마르크스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