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습장애의 정의
2. 오늘날의 학습장애에 대한 정의
3.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정의의 유사점과 차이점
○ 능력-성취 불일치에 대한 논의
4. 학습장애 정의의 미래
5. 학습장애의 특성
1) 다양한 개인간 차
2) 다양한 개인내 차
3) 다른 장애와의 관련
6. 요약
1) 학습장애란 무엇인가?
2) 학습장애는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가?
○ 오늘날의 학습장애 정의
2. 오늘날의 학습장애에 대한 정의
3.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정의의 유사점과 차이점
○ 능력-성취 불일치에 대한 논의
4. 학습장애 정의의 미래
5. 학습장애의 특성
1) 다양한 개인간 차
2) 다양한 개인내 차
3) 다른 장애와의 관련
6. 요약
1) 학습장애란 무엇인가?
2) 학습장애는 어떻게 정의되어 왔는가?
○ 오늘날의 학습장애 정의
본문내용
가졌으나 반응이 부정적으로 나타나자 미 공법에서 공식을 삭제한다.
그렇다고 공식에 대한 생각을 포기한 것은 아니고 진단하는데 필요한 기준으로 공법을 규칙에 포함시켰다.
특정학습장애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준거 121a.541절
a) 팀에서는 아래와 같은 경우 특정 학습장애를 갖고 있는 아동으로 본다.
(1) 아동의 나이와 능력 수준에 적합한 학습경험이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절의 참조표 (a) (2)에 명시된 분야에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능력 수준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그리고
(2) 팀에서 아래 영역의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에서 성취와 지적 능력 사이의 심각한 불일치를 가진 아동을 발견하는 경우,
(ⅰ) 구어 표현;
(ⅱ) 듣고 이해하기
(ⅲ) 문어 표현;
(ⅳ) 기초적인 읽기 기능;
(ⅴ) 독해력;
(ⅵ) 수학 계산;
(ⅶ) 수학 추론.
(U.S. Office of Education, 1977, p. 65083)
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의 정의 (1981)-
학습장애에 관한 국가 공동위원회
학습장애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수학적 능력에 심각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이질적인 장애집단을 가리키는 총체적인 용어이다. 이러한 장애는 개인에게 본질적이며, 중추 신경계의 기능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록 학습장애가 다른 장애(예를 들어, 지각손상, 정신지체, 사회적 정서적인 장애)나 환경적인 영향(예를 들어, 문화적 차이, 교육기회의 결핍이나 부적절한 교육, 심인성 요소)을 수반하며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러한 조건이나 영향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다. (Hammill, Leigh, McNutt, & Larsen, 1981, p.336)
▶국가 공동위원회는 학부모 기구에서 나온 대표들로 구성된 기구로 몇몇 일원들은 미 교육국의 정의 중 심리적인 과정을 강조하면서 기하학적인 모양 추적하기, 여러 분산된 선 안에 숨겨진 모양 찾기, 외형상 비슷한 여러 모양 사이의 차이점 찾아내기 등을 통해 학습장애를 교정한다고 주장했다(Hallahan & Cruickshank, 1973과 Hammill & Larsen, 1974).
Learning Disabilities Association of America의 정의 (1986) - 미국의 학습장애연합회
특정학습장애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능력의 발달, 통합, 표현에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신경학적 요인에 그 기원이 있다고 추정되는 만성적인 것이다. 특정 학습장애는 뚜렷한 장애 상태로 존재하는데, 그 징후와 심각한 정도는 다양하다. 그것은 자긍심, 교육, 직업, 사회화, 일상생활에 일생동안 영향을 미칠 수 있다(Association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1986, p. 15).
▶USOE와 NJCLD의 정의와의 차이점
1. 학습장애가 평생 지속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2. 원인 요소로서 다른 장애조건과 환경적인 영향을 배제하지 않았다.
3. 직업적인 기술, 일상생활 기술, 사회적 활동과 같은 적응 행동을 잠재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본다.
Interagency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의 정의 (1987)-학습장애에 관한 부처간 합동 위원회
학습장애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수학능력, 사회적 기능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이질적인 장애 집단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이러한 장애는 개인에게 본질적이며, 중추 신경계의 기능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록 학습장애가 다른 장애(예를 들어, 지각 손상, 정신 지체, 사회적 정서적 장애)나 사회 환경적인 영향(예를 들어, 문화적 차이, 부적절한 교육, 심인성 요소), 특히 주의력 결핍에 의한 장애를 수반하며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학습 장애는 그러한 조건이나 영향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다.(Interagency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 1987, p.222)
▶NJCLD의 정의를 수용했으나 변화된 점이 있다.
1. 학습장애의 사회적 기술 결함에 관해 언급했다.
2.학습장애의 원인은 아니나 학습장애와 함께 나타 나는 주의력 결핍에 의한 장애를 추가했다.
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의 개정된 정의 (1988)
학습장애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수학적 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중대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이질적인 장애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러한 장애는 개인에게 본질적이고, 중추 신경계의 기능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되며, 일생동안 일어날 수 있다. 학습장애와 함께 자기 규제 행동, 사회적 지각,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문제가 존재할 수도 있지만, 이들 요소 단독으로는 학습장애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비록 학습장애가 여타의 장애(예를 들어, 지각손상, 정신지체, 중증정서 장애)나 외부의 영향(예를 들어, 문화적 차이, 부적절한 교육)을 수반하여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학습장애는 그러한 조건이나 영향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다(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 1988, p. 1).
▶LDA와 ICLD의 정의에 대한 반응으로 개정 하였는데 LDA의 학습장애가 평생 지속 된다는 것은 일치하게 받아들였고 ICLD의 사회적기능의 결핍부분에 대해서는 학습장애아에게 그러한 기술결함이 수반될 수는 있지만 ICLD의 정의처럼 단독으로 학습장애를 구성하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참고 문헌 ------------------------------------------------
1. 김승국외 14명(1997). 학습장애아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2. 박태희(1998). 신 특수교육학. 서울 : 형설출판사.
3. 정대영(1998). 학습장애의 개념, 분류, 진단. 현장특수교육.
4. 김동일(2001). 학습장애와 학습부진. 교육마당.
5. 박천수(1995). 학습장애아의 지도방법. 교육경북.
그렇다고 공식에 대한 생각을 포기한 것은 아니고 진단하는데 필요한 기준으로 공법을 규칙에 포함시켰다.
특정학습장애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준거 121a.541절
a) 팀에서는 아래와 같은 경우 특정 학습장애를 갖고 있는 아동으로 본다.
(1) 아동의 나이와 능력 수준에 적합한 학습경험이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절의 참조표 (a) (2)에 명시된 분야에서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능력 수준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
그리고
(2) 팀에서 아래 영역의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에서 성취와 지적 능력 사이의 심각한 불일치를 가진 아동을 발견하는 경우,
(ⅰ) 구어 표현;
(ⅱ) 듣고 이해하기
(ⅲ) 문어 표현;
(ⅳ) 기초적인 읽기 기능;
(ⅴ) 독해력;
(ⅵ) 수학 계산;
(ⅶ) 수학 추론.
(U.S. Office of Education, 1977, p. 65083)
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의 정의 (1981)-
학습장애에 관한 국가 공동위원회
학습장애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수학적 능력에 심각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이질적인 장애집단을 가리키는 총체적인 용어이다. 이러한 장애는 개인에게 본질적이며, 중추 신경계의 기능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록 학습장애가 다른 장애(예를 들어, 지각손상, 정신지체, 사회적 정서적인 장애)나 환경적인 영향(예를 들어, 문화적 차이, 교육기회의 결핍이나 부적절한 교육, 심인성 요소)을 수반하며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그러한 조건이나 영향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다. (Hammill, Leigh, McNutt, & Larsen, 1981, p.336)
▶국가 공동위원회는 학부모 기구에서 나온 대표들로 구성된 기구로 몇몇 일원들은 미 교육국의 정의 중 심리적인 과정을 강조하면서 기하학적인 모양 추적하기, 여러 분산된 선 안에 숨겨진 모양 찾기, 외형상 비슷한 여러 모양 사이의 차이점 찾아내기 등을 통해 학습장애를 교정한다고 주장했다(Hallahan & Cruickshank, 1973과 Hammill & Larsen, 1974).
Learning Disabilities Association of America의 정의 (1986) - 미국의 학습장애연합회
특정학습장애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능력의 발달, 통합, 표현에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신경학적 요인에 그 기원이 있다고 추정되는 만성적인 것이다. 특정 학습장애는 뚜렷한 장애 상태로 존재하는데, 그 징후와 심각한 정도는 다양하다. 그것은 자긍심, 교육, 직업, 사회화, 일상생활에 일생동안 영향을 미칠 수 있다(Association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1986, p. 15).
▶USOE와 NJCLD의 정의와의 차이점
1. 학습장애가 평생 지속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2. 원인 요소로서 다른 장애조건과 환경적인 영향을 배제하지 않았다.
3. 직업적인 기술, 일상생활 기술, 사회적 활동과 같은 적응 행동을 잠재적으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본다.
Interagency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의 정의 (1987)-학습장애에 관한 부처간 합동 위원회
학습장애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수학능력, 사회적 기능에서 심각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이질적인 장애 집단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이러한 장애는 개인에게 본질적이며, 중추 신경계의 기능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록 학습장애가 다른 장애(예를 들어, 지각 손상, 정신 지체, 사회적 정서적 장애)나 사회 환경적인 영향(예를 들어, 문화적 차이, 부적절한 교육, 심인성 요소), 특히 주의력 결핍에 의한 장애를 수반하며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학습 장애는 그러한 조건이나 영향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다.(Interagency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 1987, p.222)
▶NJCLD의 정의를 수용했으나 변화된 점이 있다.
1. 학습장애의 사회적 기술 결함에 관해 언급했다.
2.학습장애의 원인은 아니나 학습장애와 함께 나타 나는 주의력 결핍에 의한 장애를 추가했다.
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의 개정된 정의 (1988)
학습장애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 수학적 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중대한 어려움을 나타내는 이질적인 장애 집단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러한 장애는 개인에게 본질적이고, 중추 신경계의 기능장애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되며, 일생동안 일어날 수 있다. 학습장애와 함께 자기 규제 행동, 사회적 지각,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문제가 존재할 수도 있지만, 이들 요소 단독으로는 학습장애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비록 학습장애가 여타의 장애(예를 들어, 지각손상, 정신지체, 중증정서 장애)나 외부의 영향(예를 들어, 문화적 차이, 부적절한 교육)을 수반하여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학습장애는 그러한 조건이나 영향에 의한 직접적인 결과는 아니다(National Joint Committee on Learning Disabilities, 1988, p. 1).
▶LDA와 ICLD의 정의에 대한 반응으로 개정 하였는데 LDA의 학습장애가 평생 지속 된다는 것은 일치하게 받아들였고 ICLD의 사회적기능의 결핍부분에 대해서는 학습장애아에게 그러한 기술결함이 수반될 수는 있지만 ICLD의 정의처럼 단독으로 학습장애를 구성하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참고 문헌 ------------------------------------------------
1. 김승국외 14명(1997). 학습장애아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2. 박태희(1998). 신 특수교육학. 서울 : 형설출판사.
3. 정대영(1998). 학습장애의 개념, 분류, 진단. 현장특수교육.
4. 김동일(2001). 학습장애와 학습부진. 교육마당.
5. 박천수(1995). 학습장애아의 지도방법. 교육경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