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함께 변화하며, 함께 살아가는 창조적·능산적 자아이다. 이러한 인격은 협소한 자아를 탈피하고 자아와 타아를 일치시킨 개방적 자아이기도 하다. 이기적 욕망을 제거하였으므로 오히려 모든 것을 소유하며, 道와 같이 영원한 존재이다. 이렇게 하여 자유로운 인간은 편협한 소아를 초극하고 보편적 대아를 성취한 인간, 즉 天人合一을 이룩한 인간으로 드러나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자의 도덕경
노자철학 이것이다
노자의 사상과 도교
현대 정보화 사회의 이상적인 인간형
노자'도덕경'을 읽고서(부제:얻음이 잃음보다 못하다)
[영미문학배경의 이해][A+받은 독후감]오이디푸스를 읽고서-오이디푸스에 담긴 고대 그리스인...
연암 박지원, 序論 : 전통의 계승과 사회의 발전 , 穢德先生傳과 사회분업사상 , 許生傳과 이...
노자의 사상
이황과 이이의 교육사상 비교 - 교육 목적, 방법론적 성격, 교육동기, 이상적 인간상.
노자의 도덕경을 읽고서..
인간에게 이상적인 식품
성경적 인간 이해(Image of God and the Fall) - 존재론적 이해(육체적 의미, 이상적 의미, ...
인격도야의 원리와 방법_노자
윤리의 원리(윤리과학, 이상적 인간, 도리의 근원과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