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휴게의 의의
2.구체적인 사례의 경우
(1) 근로대기의 경우
(2) 전화대기의 경우
(3) 유인물 배포행위
① 일반적 정치행위를 취업규칙에서 금지하는 경우
② 조합 활동을 위한 유인물 배포행위
③ 조합 활동을 위한 유인물 배포행위가 기업시설을 이용한 경우
④ 기업시설 내의 유인물 배포행위를 규제하는 취업규칙의 효력
⑤ 휴게시간 중 조합행위의 전면적 금지
3.휴게시간 자유이용에 대한 제약의 문제
4.휴게시간을 부여하는 방법
2.구체적인 사례의 경우
(1) 근로대기의 경우
(2) 전화대기의 경우
(3) 유인물 배포행위
① 일반적 정치행위를 취업규칙에서 금지하는 경우
② 조합 활동을 위한 유인물 배포행위
③ 조합 활동을 위한 유인물 배포행위가 기업시설을 이용한 경우
④ 기업시설 내의 유인물 배포행위를 규제하는 취업규칙의 효력
⑤ 휴게시간 중 조합행위의 전면적 금지
3.휴게시간 자유이용에 대한 제약의 문제
4.휴게시간을 부여하는 방법
본문내용
제1항)
근 로 시 간
휴 게 시 간
4시간 미만
0분
4시간 이상 8시간 미만
30분
8시간 이상 12시간 미만
1시간
또한 육아시간은 휴게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독자적으로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근로기준법 제73조 (육아시간) 생후 1년 미만의 유아를 가진 여성근로자의 청구가 있는 경우에는 1일 2회 각각 30분이상의 유급수유시간을 주어야 한다.
근 로 시 간
휴 게 시 간
4시간 미만
0분
4시간 이상 8시간 미만
30분
8시간 이상 12시간 미만
1시간
또한 육아시간은 휴게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독자적으로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다.
근로기준법 제73조 (육아시간) 생후 1년 미만의 유아를 가진 여성근로자의 청구가 있는 경우에는 1일 2회 각각 30분이상의 유급수유시간을 주어야 한다.
추천자료
근로계약의 의의.법적성질.기능 및 특색과 체결과정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도급근로자의 임금채권 보호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시간의 신축적 운용 전반에 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기준법상 여자와 연소근로자의 보호
임금의 보호 전반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기준법상 근로계약체결에 따른 근로자의 근로제공의무
연장근로에 관한 근로기준법 전반 검토
기간제 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적용법
근로기준법상 질병으로 인한 근로계약해지의 정당성 검토
간주근로시간제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특별사업에 대한 근로시간특례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청소년복지론 과제] 법률상 청소년의 기준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 형법상 형사 미성년자,...
여성 노동관련법(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 인정을 위한 사용종속관계의 판단 기준 (노동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