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환자 간호사례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암 환자 간호사례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현병력
·과거력
·가족력
·각 기간별 문진
3) 간호력
4) 신체검진
5) 진단을 위한 검사
6) 치료 및 경과
2. 간호과정 적용

V. 결론

본문내용

장내에 흘러 들어감으로써 생기는 것인데 식후 30분에 빈맥, 식은 땀, 현기가 일어나고 이어서 복통과 설사를 나타낸다. 치료로서는 첫째 식사에 주의한다. 당질, 전분류를 피한다. 보리밥과 국물로 단숨에 흘려 내린다든가 우동, 메밀국수, 라면을 서둘러 먹으면 일어나기 쉽다. 고단백, 고지방의 식사를 천천히 들도록 한다.
③ 우유불내증 : 우유를 마시면 30 60분 후에 설사를 하는 것으로 우유가 별안간 소장내에 유입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상대적 유당분해 효소저하증이며 유전적인 것과는 다르다.
④ 역류성 식도염 : 위액, 담즙, 췌액등이 식도내로 역류해서 일어나는 것이며, 산, 펩산 기타의 화학적 자극에 의해서 발적, 미란, 궤양 등이 생긴다.
⑤ 기타 : 빈혈은 여러 가지에 의해 일어난다. BillothⅡ법 수술후에는 먹은 것이 십이지장을 통해 내려가지 않으므로 철의 흡수가 저하되어 철결핍성 빈혈이 되고, 전체 위를 절제한 후에는 vit. B12결핍 등에 의해 고색전성 대혈구 빈혈이 일어난다. 이때에는 B12를 투여한다. 골병변은 칼슘흡수장애에 의한 것인데 골연화증이 나타날 수 있다.
위절제 환자의 식이
수술 후 병원 환자 식이 순서(수술 후의 첫 식사 퇴원)
-1단계 : 물=시간당 30cc
30cc짜리 조그마한 컵에 그 양 만큼만 섭취. 섭취 후 이상이 없으면 하루 이틀 후 다음 단계로 이행한다.
-2단계 : 미음50cc 6회
아침, 간식, 점심, 저녁, 간식 순서로 6회에 걸쳐 섭취.
-3단계 : 미음100cc 6회
2단계와 순서와 같으며 이 시기부터는 물이나 음료수(이온음료나 주스 등) 조금씩 추가로 섭취가 가능.
-4단계 : 미음300cc 3회
싱겁거나 간이 입에 맞지 않는 경우, 된장국이나 동치미국 등 섭취 가능.
-5단계 : 묽은 죽, 3회
원하는 과일 섭취가능. 그 외 음료수 자유롭게 섭취.
-6단계 : 된죽
이시기부터는 환자 스스로 식사의 양과 속도를 조정하여야 하며 너무 과식할 우려가 있는 시기로 주의할 것. 또한 여러 반찬의 섭취가 가능하나 맵고 짜고 자극적이지 않으며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섭취한다.
-7단계 : 밥
대게 퇴원 후 식이요법이나 항암요법 시행 시 섭취 가능하며 이 또한 소화가 잘 될 수 있도록 여러번 씹어서 삼키도록 한다.
위절제술 후 식이조절과 관련된 간호
간호진단 :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부족
모호한 상복부 불편감 혹은 소화불량, 구토, 트림 또는 식후 포만감, 체중감소, 쇠약감의 증상을 보인다.
간호중재 및 합리적 근거 - 식사에서 변호가 요구되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섭취 열량
(종류와 양,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의 함량)을 사정한다.
- 음식, 영양 대체물 및 수분으로 빨리 중재하기 위해 체중감소와 탈수의 징후를 관찰한다.
- 열량 소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환자가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가능한 많이 알아내어 입에 맞는 식사를 제공한다.
- 적절한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의 식사 대용물을 제공한다.
- 복부 팽만과 고창을 완화하기 위해 투약을 한다. 이러한 증상은 식욕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 매일 소량의 잦은 식사를 제공한다.
주의사항 - 모든 음식은 맵고짜지 않게 하되, 소화되기 쉽고, 묽게 조리한다.
- 고단백, 채소류 담백한 음식(두부, 생선위주)이 좋으며 동물성 지방을 피한다.
- 식사는 소량씩 자주(과식은 절대금지) 나누어 드시고 식사후 비스듬히 앉아 30분후 쉬지 않고 운동한다.
- 자극적인 음료나 식사중의 다량의 수분의 섭취는 피한다.
-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한 과일을 충분히 섭취하여 암재발 방지에 기여한다.
위암으로 인하여 부분 위절제술 또는 위절제술을 받은 후에는 수술전 상태로 돌아오거나 복구되는 능력이 느리고(6 12개월) 그 동안 장유착, 장폐색 등의 위험이 있다. 식사는 소량씩 자주 여러번에 나누어 충분히 씹어 섭취. 입으로 씹어서 삼키는 것이 위의 부담을 줄이므로 TV시청이나 물 섭취는 삼간다.
-피해야 할 음식 : 맵고 짜며 자극적인 음식.
-소화가 잘 안되는 음식 : 견과류, 종실류.
위절제술 후 합병증 간호
간호진단 : 위장폐쇄 혹은 천공과 관련된 체액부족
과다한 위장출혈, 통증의 강도 증가 및 확산, 반동 압통, 복부조임, 흑변. 토혈 증상 등을 나타낸다.
간호중재 및 합리적 근거
- 수분과 혈액 성분 요법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구토와 대변
의 양, 특성을 관찰한다.
- 쇽을 빨리 발견하기 위해 출혈 동안 잦은 간격으로 활력징후를
모니터한다.
- 상실된 체액을 보충하기 위해 처방된 대로 IV수액을 투여한다.
- 빈혈의 발생을 발견하기 위해 검사결과를 모니터한다.
- 다량의 IV수액과 혈액 성분의 속도를 사정하기 위해 수분 섭취량보다 더 많은 배설량, 농축된 뇨, 감소된 요량을 포함하여 쇠약감, 정신상태의 변화, 구토와 대변에서의 혈액, 심한 혹은 확산된 복부 통증, 반동압통과 같은 체액량 결핍이 더 심화되는 증상 및 징후를 관찰한다.
Ⅴ. 결론
이번 실습을 통해 실제적 간호가 무엇인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환자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가 이번 실습의 관건이라 생각한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에서 환자가 어떤 종류의 간호를 요구하는지 정확한 사정이 필요함을 절실히 배우게 되었다. 처음 실습했던 때와는 달리 환자에게 다가가 신뢰감을 형성하고 환자와의 친밀감을 유지하는 과정을 통해 환자의 심적 상태까지 면밀히 관찰하게 되었고 간호수행시 신뢰감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지 배우게 되었다.
◈ 참고 문헌
­ 최신치료 위암, 서만정, 도서출판 고려의학 1991년 (51 55, 68, 82, 91, 114, 118 119)
­ 소화기질환, 고려의학 편집부, 도서출판 고려의학, 1990년 (106 110, 112 114)
­ 암등록 Cancer registry, 이성란, 도서출판 진우, 1997년 (62 67, 151, 179 182)
­ 암간호 원리와 실제, 홍근표 이원희 이영희 편역, 수문사, 1997년 (314, 315, 350, 351 354, 355, 357, 358)
­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42인, 수문사, 2000년 (136, 137)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4.08.27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3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