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수군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 수군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으로 퇴각합니다.
이후 명-일본간의 강화 협상으로 왜군은 한성을 버리고 퇴각합니다.
권율은 퇴각하는 왜군의 후미를 쫓아 한강까지 갔지만 명군이 이를 제지하고 훼방하여
더이상 쫓지 못합니다.
4.임진왜란의 결과
1.정치 군사적인면
* 비변사의 강화와 훈련도감을 비롯한 군사기구의 개편(각종무기제작)
* 전화로 인한 농촌의 황폐, 은결의 증가, 국가질서 문란 등의 문제
->대동법 실시, 면세전 확대의 방지, 균역법 시행, 환곡모곡의 회수책등의 제도화
* 속오군제도, 공명첩의 발행은 조선시대의 신분제도의 붕괴에 영향
2.문화적인면
* 불국사, 경복궁, 역대왕조의 실록, 서적 등의 소실. 많은 문화재 약탈
* 전쟁으로 인한 질병퇴치를 위한 의학서 『동의보감』편찬
3.사상적인면
* 의병승병을 통한 애국심의 발로와 자아반성
* 명의 내원에 대한 사대사상의 고조
* 왜에 대한 재인식과 적개사상이 더욱 강해짐
 
이로써 전후 7년간에 걸쳤던 왜란은 조선 명 일본 3국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고 특히 싸움터였던 조선은 국토가 황폐화되고 백성은 도탄에 빠졌으며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사상 등 각 방면에 걸쳐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따라서 위정자들의 급선무는 전란으로 인한 문물의 파괴, 재력의 탕진을 복구하는 것이었다. 정치 군사적인 면에 있어서는 비변사(備邊司)의 강화와 훈련도감을 비롯한 군사기구의 개편이 시작되었다. 또한 난중에는 각종 무기가 제작되어 이장손(李長孫)은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변이중(邊以中)은 화차(火車)를 각기 발명하였고 왜의 조총과 명군이 사용한 서양식 대포인 불랑기포(佛郞機砲)도 모조하여 사용하였다. 전화로 인한 농촌의 황폐, 은결(隱結)의 증가, 국가질서의 문란 등으로 대동법(大同法)의 실시, 면세전(免稅田) 확대의 방지, 균역법(均役法)의 시행, 기민(饑民)을 위한 환곡(還穀) 모곡(耗穀)의 회수책 등이 제도화되었다.
한편 혼란한 사회와 민심의 흉흉함을 틈타 이몽학(李夢學)의 난 등 사방에서 일어나는 민란과 함께 시행된 속오군(束伍軍)제도, 공명첩(空名帖)의 발행 등은 조선의 신분제도 붕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하였다. 문화적 손실로는 왜병의 방화로 불국사 경복궁 등의 건물과 사고(史庫)에 보관 중이던 역대 왕조의 실록 서적 등이 소실되고 많은 문화재를 약탈당하였다. 한편 전쟁으로 인한 질병의 만연으로 질병퇴치를 위한 의학서인 《동의보감(東醫寶鑑)》이 편찬되었고 사상적인 측면으로는 의병 승병을 통한 애국심의 발로와 자아반성과 함께 명의 내원(來援)에 대한 사대사상이 고조되는 반면에 왜에 대한 재인식과 적개사상이 더욱 강해졌다. 전란 중에 대두하기 시작한 여진의 청(淸)나라에 의해 명나라가 망하고 일본에서도 도요토미 대신 도쿠가와[德川]의 막부(幕府) 정권이 들어서게 되었다. 일본은 조선침략의 결과로 조선으로부터 금속활자에 의한 인쇄술을 처음으로 도입하게 되었고 포로로 잡아간 도자기 기술자에 의해 획기적으로 요업(窯業)을 일으키게 되었으며, 약탈하여 간 많은 서적은 성리학(性理學) 등 그들의 학문에 크게 기여하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9.0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4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