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제인간 찬성 입장의 한계와 난점 (멀티플리시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제인간 찬성 입장의 한계와 난점 (멀티플리시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복제 인간에 대한 막연한 바램

II. 복제 인간을 통해 얻게 되는 것
1. 영화 「멀티플리시티(Multiplicity)」의 스토리 전개
2. 더글라스가 복제 인간을 통해 얻게된 이점

III. 복제 인간을 통한 인간의 행복 증진을 주장하는 입장의 난점
1. 복제 인간의 행복이 감소되는 경우
2. 복제되지 않은 인간의 행복이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
3. 복제 인간을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가의 문제

IV. 과학기술의 발달과 인간의 인격성의 문제
1. 인간의 인격 복제에 대한 전망
2. 과학기술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인간의 인격성의 문제

V. 복제 인간 시대의 윤리

본문내용

복제되지 않은 원본의 인물의 성격 중에서 한 쪽으로 편중되거나 치우친 성격을 가질 수 있다. 인간의 성격을 복사하는 것은 유전공학의 범위가 아니다. 인간 복제의 유전공학기술의 발달은 외양이 같은 인간을 만들어 낼 수 있지만 완전히 똑같은 인격을 가진 인간을 만들어내지 못한다.
2. 과학기술로는 해결할 수 없는 인간의 인격성의 문제
한 인간은 자신이 아닌 다른 인간과는 달리 자신만의 인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신의 인격을 사회 속에서 살아가면서 키워가고 다듬어가며 성장시켜 나간다. 그리고 그러한 인격의 발달은 자신이 바라는 삶의 방향과 그 방향을 같이하는 것이며 자신의 행복의 추구와도 무관한 것이 아니다. 인간은 자신의 인격의 격상을 비롯한 자신이 이루어낸 일을 통해 행복을 얻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전공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한 사람의 외양을 똑같이 만들어 낼 수 는 있어도 그 사람의 인격을 똑같이 만들어 낼 수 없는 상황에서, 복제된 인간과 복제되지 않은 인간의 인격은 서로 다를 수 밖에 없으며 복제된 인간과 복제되지 않은 인간의 행복은 일치하지 않는다.
복제된 인간이 어떤 일을 성취해 내거나 자신의 인격을 격상시켰을 경우에 이는 복제되지 않은 인간이 그 일의 성취물의 결과를 취득함으로써 자신의 부를 증대시킬 수는 있다.
) 그러나 여기에는 해결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복제 인간을 복제되지 않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봉사할 수 있도록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의 문제는 아직 미결의 과제로 남아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복제된 인간을 복제되지 않은 인간의 이익을 위해 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생각하기로 한다.
그러나 복제된 인간이 어떤 일을 성취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성취감이나 힘든 일을 참고 견디고서 얻어지는 인격의 고양 등은 복제된 인간이 복제되지 않은 인간에게 전해주려고 해도 전해줄 수 없는 것이며, 복제되지 않은 인간이 복제된 인간의 그것을 아무리 빼앗으려고 해도 빼앗을 수 없는 복제된 인간의 행복이다. 이는 결국 복제된 인간을 통하여 인간은 자신의 인격성을 지켜나가는 데에 있어서 어려운 국면에 봉착할 수 밖에 없으며 복제되지 않은 인간은 복제된 인간을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한 한에서 단지 복제된 인간이 행한 결과물을 취득할 뿐이요, 자신의 전체적인 행복의 증대는 보장받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복제된 인간이 성취한 일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물은 복제되지 않은 인간에게 항상 이득이 되는 것만도 아니라는 데에 그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앞서 제 II 장 제 1 절과 제 III 장 제 2 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복제된 더글라스와 복제되지 않은 더글라스가 각기 다른 인격을 띠는 것에 대하여 더글라스의 아내는 상당히 혼란스러워하며 어찌할 바를 모르다가 아이들을 데리고 집을 나가 친정으로 간다. 인간의 인격이란 한 사람을 다른 사람과 구분 짓고 차별화 하는 데에 있어서 한 사람의 외모와 함께 그 기준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혼란을 그녀는 감당하기가 어려웠던 것일 것이다. 아내가 보는 더글라스의 다중인격적인 모습으로 인하여 본래의 더글라스는 자신이 사랑하는 아내가 집을 나간 것을 알게되고 이는 더글라스에게 고통으로 다가온다.
V. 복제 인간 시대의 윤리
유전공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간은 자신과 외양이 똑같은 복제 인간을 만들어 자신의 행복 추구를 극대화하려고 한다. 「멀티플리시티」라는 영화에서는 주인공 더글라스는 자신의 복제 인간을 만들어 자신의 복제 인간에게 자신이 해야할 일의 일부를 대행하게 하고 자신은 그 동안 하고 싶었지만 시간이 없어서 하지 못했던 일들을 하면서 자신의 행복을 극대화하려고 한다. 그러나 복제 인간에게 자신이 해야할 일을 시키고 자신은 하고 싶었던 일을 함으로써 행복을 증진시키려고하던 생각에는 무리가 있음을 알게된다. 그리하여 결국 복제 인간들은 주인공 더글라스의 곁을 떠나고, 더글라스는 자신이 직접 자신의 일을 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끝을 맺는다.
복제 인간이 자신이 해야할 일을 대신해서 해 줄 수는 있으나 복제 인간이 하는 일이 반드시 자신의 행복을 증대시켜주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자신의 행복을 감소시키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복제 인간이 복제되지 않은 인간의 행복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에 동의하지 않고 복제 인간 자신의 이익을 챙기려고 하는 경우에 그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다. 그렇다면 복제 인간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복제 인간에 대하여 찬성하는 사람들은 복제 인간은 인간의 행복의 증대를 위해서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지만 복제 인간이 과연 복제되지 않은 인간의 행복을 위해 행동할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고 복제된 인간이 자신도 인간이라면서 인간의 권리를 누리려고 하여 본래의 목적에 어긋나는 상황이 생겼을 경우 이를 제어할 수단이 없다. 생활의 향상을 담보로 하여 엄청난 일이 일어날 수도 있으며 예기치 못한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다.
인간 복제는 인간의 고유한 인격을 빼앗아 버리는 사태를 촉발하고 이는 결국 복제되지 않은 본래의 인간의 행복에 위협을 가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복제 인간을 통하여 인간은 보다 행복해지기를 희망하지만 이는 언제나 그렇게 실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누구나 한 번 쯤은 막연히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자신의 복제 인간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면 보다 행복할 것이라고 꿈을 꿀 수는 있느나 이는 사실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그러므로 복제 인간을 통한 인간의 행복의 증대를 꿈꾸는 것은 복제 인간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깊이 고려하지 않은 생각이다.
* 參考文獻
. 일차자료
「멀티플리시티(Multiplicity)」
주연 : Michael Keaton, Andie Macdowell
감독 : Harold Ramis
1996. Columbia Pictures Industries, Inc.
. 이차자료
김형철.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평가」. 『연세학술논집 제 26 집』.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1997.
이인경. 「인간 유전자 복제·조작 시대의 윤리」. 『연세학술논집 제 26 집』.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199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9.07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