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성 훈련
1) 조화로운 호흡과 발성하기
2) 소리를 낼 수 있게 자극하기
3) 소리의 강약 조절하기
4) 소리의 높낮이 조절하기
5) 억양 조절하기
6) 문장 내쉼 조절하기
7) 말의 속도 조절하기
8) 발성 유도하기
1) 조화로운 호흡과 발성하기
2) 소리를 낼 수 있게 자극하기
3) 소리의 강약 조절하기
4) 소리의 높낮이 조절하기
5) 억양 조절하기
6) 문장 내쉼 조절하기
7) 말의 속도 조절하기
8) 발성 유도하기
본문내용
① /아가 아가 아가/를 박자기에 맞춰 말하기
② 점차적으로 박자기의 속도를 빨리 하여 말하기
③ 자모음을 대치하여 속도를 달리하며 말하기
(3) 구나 문장에서 적절한 속도로 말할 수 있다.
① 손뼉 장단에 맞추어 적절한 속도로 말하기
② 박자기에 맞추어 적절한 속도로 말하기
③ 문장을 한 음절, 한 단어씩 적절한 속도로 말하기
④ 주어진 200자 정도의 문장을 1분 동안 말하기
8) 발성 유도하기
(1) 최적의 발성 자세로 /아~/음을 연장 발성할 수 있다.
① 등을 대고 누운 자세에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② 배를 대고 누운 자세에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③ 몸을 팔꿈치로 지지한 채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④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⑤ 몸을 등받이에 대고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⑥ 고개를 바로 하여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⑦ 고개를 뒤로 젖혀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2) 흉복부에 압력을 주어 생리적인 발성을 할 수 있다.
① 누운 자세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② 앉은 자세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③ 선 자세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④ 몸을 팔꿈치로 지지하여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3) 몸체나 벽을 이용해 자연스러운 발성을 할 수 있다.
① 몸체나 벽을 밀면서 발성하기
② 서서 손을 잡아당기면서 발성하기
③ 의자에 앉아서 손을 잡아당기면서 발성하기
④ 의자 바닥을 밀면서 발성하기
(4) 주어진 자극에 의해 생리적인 발성을 할 수 있다.
① 촉각적 자극을 통한 생리적 발성하기
② 청각적 자극을 통한 생리적 발성하기
③ 시각적 자극을 통한 생리적 발성하기
(5) 입 안 가시기 접근법을 익혀 발성을 할 수 있다.
① 입안에 물 머금고 있기
② 점차적으로 물 머금고 있는 시간 늘이기
③ 소량의 물을 머금고 고개를 뒤로 젖혀 입 안 가시기
④ 입 안 가시기를 통한 발성 연장하기
(6) 하악을 올려 입을 다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① 하악을 상악 쪽으로 올리기
② '합죽이'의 손 유희를 통해 입을 다물기
③ 비스킷 물고 있기
④ 치아를 사용하여 설압자 물고 있기
⑤ 입술을 사용하여 설압자 물고 있기
9) 후두 부위의 긴장 이완하기
(1) 목부위 긴장을 풀어 이완된 상태로 발성할 수 있다.
① 음악이나 이야기를 들으며 몸의 긴장 풀기
② 목 주변의 후두 마사지하기
③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숙이고 /아~/를 길게 발성하기
② 점차적으로 박자기의 속도를 빨리 하여 말하기
③ 자모음을 대치하여 속도를 달리하며 말하기
(3) 구나 문장에서 적절한 속도로 말할 수 있다.
① 손뼉 장단에 맞추어 적절한 속도로 말하기
② 박자기에 맞추어 적절한 속도로 말하기
③ 문장을 한 음절, 한 단어씩 적절한 속도로 말하기
④ 주어진 200자 정도의 문장을 1분 동안 말하기
8) 발성 유도하기
(1) 최적의 발성 자세로 /아~/음을 연장 발성할 수 있다.
① 등을 대고 누운 자세에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② 배를 대고 누운 자세에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③ 몸을 팔꿈치로 지지한 채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④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⑤ 몸을 등받이에 대고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⑥ 고개를 바로 하여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⑦ 고개를 뒤로 젖혀서 /아~/음 연장하여 발성하기
(2) 흉복부에 압력을 주어 생리적인 발성을 할 수 있다.
① 누운 자세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② 앉은 자세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③ 선 자세에서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④ 몸을 팔꿈치로 지지하여 압력을 가했을 때 발성하기
(3) 몸체나 벽을 이용해 자연스러운 발성을 할 수 있다.
① 몸체나 벽을 밀면서 발성하기
② 서서 손을 잡아당기면서 발성하기
③ 의자에 앉아서 손을 잡아당기면서 발성하기
④ 의자 바닥을 밀면서 발성하기
(4) 주어진 자극에 의해 생리적인 발성을 할 수 있다.
① 촉각적 자극을 통한 생리적 발성하기
② 청각적 자극을 통한 생리적 발성하기
③ 시각적 자극을 통한 생리적 발성하기
(5) 입 안 가시기 접근법을 익혀 발성을 할 수 있다.
① 입안에 물 머금고 있기
② 점차적으로 물 머금고 있는 시간 늘이기
③ 소량의 물을 머금고 고개를 뒤로 젖혀 입 안 가시기
④ 입 안 가시기를 통한 발성 연장하기
(6) 하악을 올려 입을 다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① 하악을 상악 쪽으로 올리기
② '합죽이'의 손 유희를 통해 입을 다물기
③ 비스킷 물고 있기
④ 치아를 사용하여 설압자 물고 있기
⑤ 입술을 사용하여 설압자 물고 있기
9) 후두 부위의 긴장 이완하기
(1) 목부위 긴장을 풀어 이완된 상태로 발성할 수 있다.
① 음악이나 이야기를 들으며 몸의 긴장 풀기
② 목 주변의 후두 마사지하기
③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숙이고 /아~/를 길게 발성하기
추천자료
아동(유아) 언어장애의 종류와 원인, 한의학적 접근 및 치료방안
OJJDP-가족치료기관 Competency Training (적성 훈련)
[지적장애][지적장애아]정신지체(정신지체아)의 정의, 정신지체(정신지체아)의 원인, 정신지...
특수 치료교육 감각, 운동, 지각훈련 요약본(교육청 특수학교 치료교육 지도사 교재바탕 작성)
영유아 수면 훈련법과 의사소통의 비포력적 대화 그리고 ADHA의 증상 진단방법 원인과 치료법
초등학교 1학년의 발달심리적 특성, 초등학교 1학년의 언어적 특성, 초등학교 1학년의 학년교...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일반적 특성과 목표,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언어사용능력...
정신지체아교육의 목표와 교육기관, 정신지체아교육의 CAI, 정신지체아교육의 묘화학습, 정신...
언어장애의 유형과 치료방법
작업치료 개요 와 일상생활 동작 훈련
특수 치료교육 감각, 운동, 지각훈련 요약본(교육청 특수학교 치료교육 지도사 교재바탕 작성)
영유아 수면 훈련법과 의사소통의 비포력적 대화 그리고 ADHA의 증상 진단방법 원인과 치료법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학습자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음악치...
장애유형별 미술치료 접근(시각장애아동, 청각장애아동, 정신지체아동, 지체부자유아동, 정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