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전 호흡의 자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단전 호흡의 자세
1)누운자세(臥法)
2)앉은 자세(坐法)
3)선자세(立法)
①단배공(丹拜功)

②내가신장(內家神掌)

③개운기공(開雲氣功)

④반장(攀掌)

⑤범도법(汎 法)
⑥소도법(小 法)
⑦대도법(大 法)
⑧허공법(虛功法)

⑨금계독립법(金鷄獨立法)
⑩금계화장법(金鷄華掌法)
①대도역권(大跳易拳)
]②육합단공(六合丹功)

본문내용

한다(사진②). 이러한 손동작을 하반장(下攀掌)이라 한다.
①대도역권(大跳易拳)
대도역권은 대도법의 자세에서 역근을 한 주먹으로 찌르는 동작으로 큰 공력을 기르기 위한 수련법이다. 이 자세는 전신을 뒤틀어 놓고 서 있어야 하므로 상당한 인내심을 요하는 동작중의 하나이다.
대도법 자세(⑦대도법 참조)에서 밑에 있던 손은 주먹을 말아 쥐면서 머리 위로 올려서 손목을 역근하여 방어자세를 취하고 동시에 위에 있던 손은 안쪽으로 내려서 주먹을 쥐어 옆구리에 대었다가 측면을 향해 손목을 역근한 상태로 주먹 끝에 氣를 모아 천천히 찌른다(사진①). 찌른 상태로 정지하여 단전호흡을 하면서 전신에 힘을 준 상태로 오래 참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원래 氣天門에서는 이 대도역권을 수련할 때 앞발 뒷발에 각각 사람을 2명 태우고 옆으로 뻗은 주먹에는 무거운 돌을 올려놓고 오래 참는 수련을 하였다.
방향을 바꿀 때에는 사진①의 상태에서 대도법 기본자세로 손을 바꾸어 옆으로 뻗은 손이 위로, 위에 있던 손이 밑으로 반장의 자세를 취하였다가 (대도법 사진① 참조) 그대로 두발을 90˚뒤로 돌려서 다시 반장의 자세를 취한다.(대도법 설명 및 대도법 사진② 참조)
이 상태에서 다시 반장을 하고 있는 두손 가운데 밑에 있던 손은 주먹을 쥐어 머리 위로, 위에 있던 손은 주먹을 쥐어 옆구리를 찌른다(사진②).
②육합단공(六合丹功)
육합단공이란 입법(立法)의 6가지 기본자세를 연속적으로 취함으로써 丹田行功을 하는 고도의 수련법이다. 각 동작 하나하나마다 최대한 인내로 오래 참아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수련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좀 더 세련된 자세로 각 동작에서 머무는 시간을 늘여 나가도록 하며 다소 변형된 몇가지 자세를 덧붙이기도 한다. 육합단공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마법 준비자세(내가신장 사진①)에서 하나, 둘, 셋, 넷으로 발을 벌리고(내가신장 사진②) 마법자세로 앉으면서 서서히 손을 돌려 손끝으로 氣를 느끼면서 반장자세를 취한다(반장 사진①). 여기서 오른쪽으로 돌면서 오른발을 앞으로 한 상태로 범도법을 한다(범도법 사진①). 다시 ‘법(法)-’ 하는 구령과 함께 180˚뒤로 돈다(범도법 사진①②).
다음에는 뒤로 돌며 앞발을 들어서 뒷꿈치로 정면을 향해 땅을 찍듯이 밟으며 90˚옆으로 틀고 동시에 뒷발을 당겨서 소도법의 자세를 취한다(소도법 사진①). 다음에는 ‘법-’하는 구령과 함께 몸을 180˚뒤로 돌려서 다시 앞발로 찍으며 뒷발을 당겨서 소도법의 자세를 취한다(소도법 사진②).
다음에는 뒤로 돌며 앞발을 90˚옆으로 튼 상태로 앞으로 쭉 딛어서 대도법의 자세를 취한다(대도법 사진①). 그러다가 발은 그대로 두고 손을 바꾸어서 대도역권의 자세를 취한다(대도역권 사진②). 이 상태에서 최대한 오래 참았다가 ‘법-’하는 구령과 함께 다시 반장으로 바꾸고(대도법 사진①) 뒤로 돌아서 대도법(대도법 사진②)을 취한 후 대도역권을 한다(대도역권 사진①).
다시 반장으로 하였다가 자세를 가만히 오른발 쪽으로 낮추면서 왼발을 펴고 손은 하반장을 하여 허공법의 자세로 들어간다(허공법 사진②). ‘법-’하는 구령과 함께 몸을 180˚뒤로 돌려서 왼발 쪽으로 낮추면서 허공법을 다시 취한다(허공법 사진①).다음에는 앞으로 나간 오른발을 서서히 끌어당겨서 들어올리며 왼발을 축으로 금계화장법의 자세를 한다(금계화장법 사진①). 다시 ‘법-’하는 구령과 함께 들었던 오른발 쪽으로 펄쩍 뛰면서 오른발을 축으로 왼발을 들고 손의 자세도 바꾸며 다시 금계화장법을 한다(금계화장법 사진②).
다음에는 6합단공을 마무리 지으면서 고요히 호흡을 조절하여 단배공을 일배(一拜)하도록 한다.(단배공 사진①-⑦ 참조)

키워드

단전,   호흡,   자세,   기공,   ,   체육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9.17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