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troduction : Transitionalism, Localization and Fast Foods in East Asia
1.McDonald’s in Beijing(베이징의 맥도날드) : The Localization of Americana
2.McDonald’s in Hong Kong(홍콩의 맥도날드) : Consumerism, Dietary Change, and the Rise of a Children’s Culture
3.McDonald’s in Taipei(대만의 맥도날드) : Hamburgers, Betel Nuts, and National Identity
4.McDonald’s in Seoul(한국의 맥도날드) : Food Choices, Identity, and Nationalism
5.McDonald’s in Japan(일본의 맥도날드) : Changing Manners and Etiquette
1.McDonald’s in Beijing(베이징의 맥도날드) : The Localization of Americana
2.McDonald’s in Hong Kong(홍콩의 맥도날드) : Consumerism, Dietary Change, and the Rise of a Children’s Culture
3.McDonald’s in Taipei(대만의 맥도날드) : Hamburgers, Betel Nuts, and National Identity
4.McDonald’s in Seoul(한국의 맥도날드) : Food Choices, Identity, and Nationalism
5.McDonald’s in Japan(일본의 맥도날드) : Changing Manners and Etiquette
본문내용
서 문
다섯명의 인류학자가 모여 만든 민족지적 연구가 왜 “fast food” 인가? 우선 이 프로젝트의 계기를 밝히고자 한다. 나(Watson)는 1960년대 후반부터 홍콩의 신시가지에서 혈연, 상속, 제사, 종교 등의 전통적 인류학 현지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었으며 방문때마다 함께 지내는 가족들과 代子들에게 식사 대접하는 것을 즐기곤 했다. 1989년 1월, 그 가족들이 나를 안내한 곳은 거대한 3층 건물에 위치한 맥도날드 가게였고 순간 나는 내가 어디에 와 있는지 혼동스러웠다. “맥도날드를 먹기위해 보스톤에서 날아오다니!” 그 후 매년 우리는 맥도날드를 방문하게 되었고 패스트 푸드 체인이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설명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어떤 사람들(주로 지식층)은 문화적 다양성을 파괴하는 맥도날드를 악의 상징으로 여기는가 하면, 어떤 사람들(주로 노동계급)은 10달러로 한 가족이 외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늘에서 내려준 축복으로 여긴다.
현지 조사에서 인류학자는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 함께 살고, 그들과 같이 행동하며, 그들이 가는 곳에 함께 간다. 이제 세계 어디에서나 사람들은 맥도날드로 간다. 지금까지 글로벌 이슈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 현상의 외형을 주로 다룸에 따라 그 현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생략해왔다. 이 책은 일상 생활에 대한 연구로서 “인류학”을 재정의하는 커다란 움직임의 일부로서 진행되었다. 또한 “지역” 속의 “세계화”를 연구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대표한다. 이전까지 패스트푸드 회사에 대한 연구는 경영과 노동에 중심을 둔 “제품”에 포커스를 맞추었으며 따라서 맥도날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라는 측면과 자원 및 노동의 착취라는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하지만 이 책은 소비자가 맥도날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소비자의 인식이 제품의 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같은 “소비”의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으며 주로 개인적 대화 및 인터뷰로 진행되었다.
Introduction : Transitionalism, Localization and Fast Foods in East Asia
맥도날드는 단순한 회사 이상의 회사이며, 음식 그 이상을 판매한다. 베이징에서 맥도날드는 중국과 세계가 연결되는 지점을, 한국에서는 문화적 경제적 매국행위가 발생하는 곳을 의미할 수도 있다. 대만인이 맥도날드에서 식사를 하는 것은 정치적 중립을 의미하며, 일본과 홍콩에서 맥도날드는 더 이상 외국 음식이 아닌 한 끼의 일상적 식사를 의미할 수 있다. 1995년 현재, 100여개국의 2만여 매장에서 3천만명 이상이 맥도날드를 이용하고 있으며 매 3시간마다 새로운 가게가 개점을 하고 있다. 이 통계의 의미는 받아들이기에 따라 자유 시장 가치의 확산을 나타낼 수도 있고 미국,일본,유럽의 문화를 수입하는 문화 제국주의의 확산을 나타낼 수도 있다. 미국의 한 언론인은 “과거의 정복자는 복종만을 강요했지만, 지금 헐리웃과 맥도날드를 앞세운 미국은 우리와 똑같아지기를 강요하고 있다”며 문화 제국주의를 경고했다.
다섯명의 인류학자가 모여 만든 민족지적 연구가 왜 “fast food” 인가? 우선 이 프로젝트의 계기를 밝히고자 한다. 나(Watson)는 1960년대 후반부터 홍콩의 신시가지에서 혈연, 상속, 제사, 종교 등의 전통적 인류학 현지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었으며 방문때마다 함께 지내는 가족들과 代子들에게 식사 대접하는 것을 즐기곤 했다. 1989년 1월, 그 가족들이 나를 안내한 곳은 거대한 3층 건물에 위치한 맥도날드 가게였고 순간 나는 내가 어디에 와 있는지 혼동스러웠다. “맥도날드를 먹기위해 보스톤에서 날아오다니!” 그 후 매년 우리는 맥도날드를 방문하게 되었고 패스트 푸드 체인이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설명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어떤 사람들(주로 지식층)은 문화적 다양성을 파괴하는 맥도날드를 악의 상징으로 여기는가 하면, 어떤 사람들(주로 노동계급)은 10달러로 한 가족이 외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늘에서 내려준 축복으로 여긴다.
현지 조사에서 인류학자는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 함께 살고, 그들과 같이 행동하며, 그들이 가는 곳에 함께 간다. 이제 세계 어디에서나 사람들은 맥도날드로 간다. 지금까지 글로벌 이슈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 현상의 외형을 주로 다룸에 따라 그 현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를 생략해왔다. 이 책은 일상 생활에 대한 연구로서 “인류학”을 재정의하는 커다란 움직임의 일부로서 진행되었다. 또한 “지역” 속의 “세계화”를 연구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대표한다. 이전까지 패스트푸드 회사에 대한 연구는 경영과 노동에 중심을 둔 “제품”에 포커스를 맞추었으며 따라서 맥도날드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라는 측면과 자원 및 노동의 착취라는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하지만 이 책은 소비자가 맥도날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소비자의 인식이 제품의 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같은 “소비”의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으며 주로 개인적 대화 및 인터뷰로 진행되었다.
Introduction : Transitionalism, Localization and Fast Foods in East Asia
맥도날드는 단순한 회사 이상의 회사이며, 음식 그 이상을 판매한다. 베이징에서 맥도날드는 중국과 세계가 연결되는 지점을, 한국에서는 문화적 경제적 매국행위가 발생하는 곳을 의미할 수도 있다. 대만인이 맥도날드에서 식사를 하는 것은 정치적 중립을 의미하며, 일본과 홍콩에서 맥도날드는 더 이상 외국 음식이 아닌 한 끼의 일상적 식사를 의미할 수 있다. 1995년 현재, 100여개국의 2만여 매장에서 3천만명 이상이 맥도날드를 이용하고 있으며 매 3시간마다 새로운 가게가 개점을 하고 있다. 이 통계의 의미는 받아들이기에 따라 자유 시장 가치의 확산을 나타낼 수도 있고 미국,일본,유럽의 문화를 수입하는 문화 제국주의의 확산을 나타낼 수도 있다. 미국의 한 언론인은 “과거의 정복자는 복종만을 강요했지만, 지금 헐리웃과 맥도날드를 앞세운 미국은 우리와 똑같아지기를 강요하고 있다”며 문화 제국주의를 경고했다.
추천자료
영화 패왕별희 감상문
[어바웃 스미츠] 인생이란 무엇일까?
영화 피고인을 통해본 성폭력 피해여성의 인권
백화점의 성공 경영전략
영화 굿윌헌팅 감상문
엘리자베스 Elizabeth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 조사 ppt 자료 전략분석
2010년 1학기 고급일본어활용1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1학기 고급일본어활용1 기말시험 핵심체크
2)국어-7.따뜻한 눈길로-말의 재미를 느끼며 ‘수수께끼 놀이’하기(중안)
[게이샤][게이샤 정의][게이샤 역사][게이샤와 영화 게이샤의 추억][게이샤와 소설 게이샤][...
제조업체와 대리점의 유통갈등,유통갈등,유통경로갈등,유통갈등의개념및해결방안
오프라윈프리 리더십
STX조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