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생각하는 시 교육 - 정지용의 <유리창>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가 생각하는 시 교육 - 정지용의 <유리창>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현재 시교육의 문제점
2. 시교육을 위한 국어교사의 역할
3. 대화적 차원에서 접근
4. 수용이론을 적용한 시교육
5. 시 수업 모형 만들기
6. 정지용의 유리창을 가르친다면?
1) 내가 배운 유리창
2) 구체적 시 수업 모형

본문내용

의견을 수용해야 한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 의견을 충분히 존중하는 자세를 지녀야 하며,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는 임무를 맡아야 한다.
학생들의 의견을 충분히 파악하고 학생들의 반응을 전체적인 흐름으로 유도했다면 강의식으로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학생들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부분들, 작품 밖의 지식들을 설명하고 시인의 전기에 관해서도 언급할 수 있겠다.
③ 텍스트에 대한 의미 확장 단계
이 단계는 기대 지평의 재조정 단계로서 독자인 학습자의 입장에서 해석적 의미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학습자가 자신의 체험과 융합된 시적 감동을 체험함으로써 초기에 형성되었던 기대 지평이 새롭게 조정되고 전환점을 맞게 될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이 작품을 통해 느꼈던 감흥을 자신의 체험과 관련시켜 글로 표현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유리창에 나타난 슬픔의 절제, 죽음 등은 학생들의 삶 속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을 것이므로, 이를 부담 없이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④ 텍스트에 대한 내면화 단계
이 단계에서는 '유리창'과 주제면에서 비슷한 이성교의 '밤배', 허난설헌의 '곡자', 김광균의 '은수저', 김승현의 '눈물' 등의 작품을 학생들에게 제시해 주고, 비교해 볼 수 있다. 또한 같은 주제나 제재로 시 작품을 써보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창작 의욕을 불어넣고, 창의력을 기르도록 자극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학습 독자의 시적 체험을 넓히고, 삶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내면에 수용된 작품은 그들의 내면에서 역동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고, 삶에 대한 또 하나의 스키마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참고문헌의 도움을 받아 현대 시 교육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업 계획을 세워 보았다. 국어교사의 꿈을 가지고, 막연하게나마 문학교육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고 있었음에도 '그것을 어떻게 바꾸어볼까'하는 진지한 고민을 해본 적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자세로 나중에 교단에 선다면, 내가 지금껏 비판해왔던 국어교사들과 무슨 차이가 있겠는가? 나 역시 시를 분석하고 쪼개서 시를 틀 안에 가두고, 입시에 알맞은 학생들만 만들어 낼 것이 뻔하다.
비록 레포트를 작성하기 위해 자료를 찾고, 나름의 생각을 정리해보았지만, 어떤 일보다 소중한 경험이었고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내가 나중에 가르칠 아이들만큼은 내가 걸었던 길을 걷게 만들지 말아야겠다는 의지가 생겼다. 입시 위주의 꽉 막힌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성이 존중되는, 학생들이 주도하는 시 수업을 만들고 싶다. 그러기 위해선 아직 내가 많이 부족하다는 걸 알고 있다. 교사가 변해야 수업이 변하고 학생이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자신은 있다. 변화란 항상 작은 부분에서 시작되는 것이니까. 나의 작은 말 한마디가 가져올 변화의 힘을 알기에, 나를 기다리는 수십 명의 학생들을 떠올리기에 오늘도 나의 어깨는 무겁다.
※ 참고 문헌
노 철, 『시 교육 방법과 실제』, 보고사, 2002
김은전, 『현대시 교육의 쟁점과 전망』, 도서출판 월인, 2001
윤여탁, 『시교육론』, 태학사, 1996
김은전, 『현대시교육론』, 시와 시학사, 1996
이남호, 『교과서에 실린 문학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현대문학, 2001
차호일, 『현장 중심의 문학교육론』, 푸른 사상, 2003
강현재, "시 교육의 수용론적 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1
문영희, "시 교육의 수용론적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2001
『고등학교 국어(상)』- 6차 교과서, 서울사대 국어교육 연구소, 교육부, 1997

키워드

,   교육,   정지용,   유리창,   교사,   수업,   모형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9.2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