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파 (EEG:Electroencephalogram)란?
2) 뇌파의 종류
3) 뇌파계(Electroencephalograph)
4) 뇌파측정을 위한 전극 (Electrode)
5) 뇌파전극 배치방법
6) 뇌파 분석 장치
2) 뇌파의 종류
3) 뇌파계(Electroencephalograph)
4) 뇌파측정을 위한 전극 (Electrode)
5) 뇌파전극 배치방법
6) 뇌파 분석 장치
본문내용
선을 따라 Fp1 부터 O1까지 25% 간격으로 F3, C3, P3 를 표시한다. 그리고 C4를 통과하고 Fp2과 O2 사이 거리를 측정하고 이 선을 따라 Fp2 부터 O2까지 25% 간격으로 F4, C4, P4 를 표시한다.
step 5
: Fz 과 F7 사이 중간 지점에 F3, Fz 와 F8 사이 중간 지점에 F4를 표시한다. 그리고 Pz 와 T5 사이 중간 지점에 P3, Pz 와 T6 사이 중간 지점에 P4를 표시한다.
위에서 표시한 모든 지점에 전극을 붙힌다. 귀 위치 A1, A2에 전극을 붙히거나 하악골각위치 M1, M2를 붙혀 단극기록시 기준전극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머리 중앙부나 한쪽 mastoid 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접지전극으로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전극을 위에 부착한 전극 사이의 중간 지점에 붙힐수 있다.
6) 뇌파 분석 장치
: 앞에서 언급된 뇌파계는 입력부분증폭부분기록부분으로 구성되어져 있는데, 분석장치는 기록부분에 포함된다. 사람으로부터 뇌파를 측정하여 분석을 하는 경우 분석장치의 종류에는 주파수 분석장치, 상관관계 분석장치, 유발전위가산장치, 자동진단장치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산화를 통해 분석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장치들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주파수 분석장치 : 뇌파에 포함되는 주파수의 성분을 필터외 신호처리를 통해 여러 대역으로 분리하거나 특정주파수를 꺼내어 표시한다.
상관관계 분석장치 : 뇌파의 자기및 상호상관함수를 계산한다.
유발전위가산장치 : 특정한 자극에 대한 뇌의 응답을 얻어낸다.
자동진단장치 : 뇌파의 파형을 해석하여 간단한 진단을 한다.
step 5
: Fz 과 F7 사이 중간 지점에 F3, Fz 와 F8 사이 중간 지점에 F4를 표시한다. 그리고 Pz 와 T5 사이 중간 지점에 P3, Pz 와 T6 사이 중간 지점에 P4를 표시한다.
위에서 표시한 모든 지점에 전극을 붙힌다. 귀 위치 A1, A2에 전극을 붙히거나 하악골각위치 M1, M2를 붙혀 단극기록시 기준전극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머리 중앙부나 한쪽 mastoid 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접지전극으로 사용된다. 필요한 경우 전극을 위에 부착한 전극 사이의 중간 지점에 붙힐수 있다.
6) 뇌파 분석 장치
: 앞에서 언급된 뇌파계는 입력부분증폭부분기록부분으로 구성되어져 있는데, 분석장치는 기록부분에 포함된다. 사람으로부터 뇌파를 측정하여 분석을 하는 경우 분석장치의 종류에는 주파수 분석장치, 상관관계 분석장치, 유발전위가산장치, 자동진단장치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산화를 통해 분석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장치들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주파수 분석장치 : 뇌파에 포함되는 주파수의 성분을 필터외 신호처리를 통해 여러 대역으로 분리하거나 특정주파수를 꺼내어 표시한다.
상관관계 분석장치 : 뇌파의 자기및 상호상관함수를 계산한다.
유발전위가산장치 : 특정한 자극에 대한 뇌의 응답을 얻어낸다.
자동진단장치 : 뇌파의 파형을 해석하여 간단한 진단을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