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혈-진액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방 혈-진액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축하게 하고, 코는 폐와 통하는 곳이기 때문에 콧물을 폐의 진액이라 한다. 폐에 열이 있거나 폐가 마르면 콧물이 적어 코가 마르고, 폐기가 퍼지지 못하면 코가 막히거나 콧물이 흐르게 된다.
침(唾)은 腎(신)의 진액이다.
신의 경맥은 혀뿌리(舌根)을 끼고 혀 아래에(舌下)로 통하여 있기 때문에 침을 신의 진액이라 한다. 腎陽(신양)이 허하여 水氣(수기)가 위로 넘치면 흔히 입과 혀가 미끄럽고, 腎陰(신음)이 부족하면 흔히 입과 혀가 마른다.
五液(오액)은 오장과 대체로 이와 같은 관계가 있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땀은 심의 진액인데 肺 腎 胃(폐, 신, 위)와도 관계가 있고, 눈물은 肝(간)에 속하지만 心 肺(심폐)와도 관계가 있으며, 침은 腎(신)의 진액이지만 脾(비)와도 관계가 있다.

키워드

한방,   ,   진액,   오장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4.10.06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