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제비원과 성주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사무가(敍事巫歌)
Ⅱ. 성주풀이
1. 성주(城主)란 무엇인가
2. 성주의 어원
Ⅲ. 기본 줄거리
1. 성주양반
2. 황우양씨(경기 남부 지역 전승)
3. 성조푸리(경남 동래 지역 전승)
Ⅳ. 제비원과 성주풀이
1. 각 지방의 무가(巫歌)비교
2. 제비원
3. 제비원의 전설(연(燕)처녀의 애화(哀話))
4. 제비원 성주풀이의 기원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가거든 연에게 갚도록 하여라.” 대왕의 말을 들은 부자는 연의 재물을 빌려쓰기로 하고 다시 세상에 돌아오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까지 살아온 자신의 생활을 크게 반성하고 뉘우쳤다. 다음날 부자는 연을 찾아가서 저승에서 있었던 일을 모두 이야기하고, 저승에서 연의 재물을 빌린 대가로 자신의 재물을 연에게 많이 나누어주었다. 뜻하지 않는 재물을 많이 받은 연은 그 재물을 모두 부처님을 위해 쓰리라 마음먹었다. 평소 언덕 위에서 비바람을 맞으며 서 있는 부처님을 늘 안타깝게 여기던 터라, 당시 유명한 도선국사(道詵國師)를 찾아가서 석불을 중심으로 큰 법당을 짓도록 재물을 몽땅 바쳤는데, 이 공사가 막대하여 5년이란 긴 세월이 걸렸다고 한다. 그리하여 불상을 덮는 6칸의 전각이 완성되어 공중에 나래를 편 것처럼 찬연한 모습을 자랑하게 되었다. 그런데 역사를 다 마치는 마지막 날, 밥을 이고 그 높은 바위 위로 오르던 연은 그만 미끄러져 열 길 벼랑 아래로 떨어지고 말았다. 그러자 그녀는 홀연히 한 마리의 제비가 되어 하늘 높이 오르더니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 그리하여‘제비가 날아갔다’라는 연비사(燕飛寺) 혹은 연미사(燕尾寺)라 하고, 그 여관을 연원(燕院) 혹은 연비원(燕飛院)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제비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4. 제비원 성주풀이의 기원
여러 가지 고증으로 미루어 볼 때, 성주신앙의 기원은 삼국시대 후반 또는 통일신라시대 이전으로 추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그 근거로는 첫째, 제비원의 전설인 연자루와 연(燕)처녀의 이야기가 성주 신앙의 시초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연자루의 창건 연대가 당(唐)정관(貞觀)8년(선덕여왕 3년, 서기634년)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연대를 추정하면 대략1400년 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둘째, 연자루를 만들기 이전이라야 미륵불 어깨에 자생한 솔씨를 받을 수 있으므로, 이로 미루어 생각하면 성주풀이 가사는 연자루를 짓기 이전이라고 단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주 신앙은 1400년 이전에 이미 있었다고 생각된다. 섯째,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무가(巫歌)의 서곡(序曲)에는 한결같이 성주의 본향은 안동의 제비원이라고 노래하고 있으니, 이는 제비원의 성주풀이가 오랜 전통을 갖지 못했다면 이토록 전국 방방곡곡에서 제비원의 기원설을 노래할 리 없다. 그러므로 성주의 본향이 안동의 제비원으로 일원화되기까지에는 실로 장구한 세월이 흘렀다고 볼 때 위의 설명을 뒷받침하고도 남음이 있다.
그리고 성주신을 모시게 된 것은 유랑의 생활을 청산하고 한 곳에 정착해서 농경을 주업으로 삼고 가족 단위의 생활을 하게 될 때부터이다. 농사를 짓게 되면 풍년을 기원하게 되고 자연과 환경에 대해 간절히 갈구하는 마음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그러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신에게 감사의 제물을 바치는 것은 자연발생적인 현상이라고 본다. 그래서 농경 문화의 꽃을 피우던 신라 선덕여왕 이전부터 성주 신앙이 싹튼 것이라고 본다.
♠ 참고 문헌 ♠
김광언, 한국의 집 지킴이, 다락방, 2000.
김태곤, 한국의 무속 신화, 집문당, 1985.
오숙자, 제비원 성주풀이, 전원문화사, 1995.
구비문학의 세계 http://myhome.netsgo.com/ouroboros/
목 차
Ⅰ. 서사무가(敍事巫歌)
Ⅱ. 성주풀이
1. 성주(城主)란 무엇인가
2. 성주의 어원
Ⅲ. 기본 줄거리
1. 성주양반
2. 황우양씨(경기 남부 지역 전승)
3. 성조푸리(경남 동래 지역 전승)
Ⅳ. 제비원과 성주풀이
1. 각 지방의 무가(巫歌)비교
2. 제비원
3. 제비원의 전설(연(燕)처녀의 애화(哀話))
4. 제비원 성주풀이의 기원
♠ 참고 문헌 ♠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10.06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6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