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리데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여는 글

Ⅱ. 바리데기의 서사적 구조
1. 출생부터 버려지기까지
2. 생명수를 찾기 위한 시련
3. 생명수의 의미

Ⅲ. 바리데기가 전하고자 하는 것
1. 북한문제
2. 민족문제
3. 종교문제

Ⅳ.닫는 글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압둘 할아버지의 “아가야, 우리 옷과 음식이 서로 조금씩 다르듯이 그건 살아온 방식이 다를 뿐이다. 우주의 섭리는 하나로 모인단다.”라는 말을 통해 타 종교 간의 화합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종교관은 결말에 바리가 저승여행 하는 부분에서 “서로 양보해서 차례차례 말하든지, 목청을 합쳐 서로의 말을 해주든지, 아니면 그냥 침묵하면 좋을 텐데.”라고 주장하며 다시 확인된다. 종교와 이념 대립으로 서로 자기주장만 떠들어대면서 불협화음을 이루는 지도자들을 향한 바리의 이 말은 쉬우면서도 강한 메시지로 다가온다.
Ⅳ.닫는 글
지금까지 황석영이 쓴 《바리데기》가 어떤 주제를 지니고 있고 그 주제를 어떤 형식과 내용을 통해 이 책에 드러났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이 책이 고전무가 〈바리데기〉와 비교하여 어떠한 서사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통해 작가가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바리데기》는 고전무가의 서사구조를 그대로 차용한 매우 실험적인 작품이다. 하지만 앞의 실험적인 작품들이 그렇듯 《바리데기》 또한 매우 성공적이고 대단한 작품임에 틀림없다. 고전무가인 〈바리데기〉는 무당이 굿을 하면서 영혼들의 아픔을 치유시켜주는 무가의 한 종류이다. 이 소설 《바리데기》 또한 이러한 무가의 구조를 취함으로써 현대 세계의 병폐를 어루만져주는 소설로 쓰였다. 하지만 두 이야기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라면 고전무가는 영혼을 위한 것인 반면, 소설은 그늘 속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 작품이 전하는 메시지는 단 하나뿐이다. 그것은 포용이다. 북한 사람들을 위하여, 더 나아가 세계의 주변부의 사람들을 위하여, 더 나아가 종교끼리도 서로를 포용하고 인정하며, 서로의 아픔을 보듬어주자는 것이다. 그것은 바리가 무당으로써 세계의 주변부 사람들과 함께 하며, 그들을 위해 생명수를 찾아 가는 것을 통해 잘 드러난다. 또한 서사무가에서 바리데기가 무장승과 결혼을 하는 것은 자신의 반쪽을 찾아 완전한 모습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뜻하는데 김영민, <「바리데기」무가의 신화비평적 연구>, 『한국언어문학』 제 58호, 2006, p181-182
, 바리가 무슬림인 알리와 결혼을 하는 것은 서구사회와 반목을 통하여 대립하고 있는 이슬람으로 대표되는 변두리의 모든 사람들을 포용하는 것만이 이 세상이 온전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바리가 생명수를 찾지 못한 것은 바리 한 사람만의 노력만으로는 세계의 화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대신 작가는 바리의 몸 안에 있던 순이의 입을 빌어 우리 모두에게 서로를 포용하고 용서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Ⅴ.참고문헌
김영민, <「바리데기」무가의 신화비평적 연구>, 『한국언어문학』 제 58호, 2006
오세란, <황석영의 『바리데기』연구>, 문예시학회, 2007
황석영,《바리데기》,창작과 비평,2008
고춘심, <한국신화에 나타난 물의 상징성 연구>, 전남대 교육대학원, 2004,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10.04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04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