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돈의 개혁에 대한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돈의 개혁에 대한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1. 신돈의 『고려사』 기록에 의한 평가

2. 신돈의 개혁

3. 개혁의 적임자

4. 신돈의 숙청

5. 신돈은 성공적인 실패 개혁자?

본문내용

에 많이 쓰던 말로 토사구팽이었던 셈이다.
4. 신돈은 성공적인 실패 개혁자?
신돈의 개혁 정책이 실패한 것은 농민의 지지를 받았지만, 개혁을 추진할 정치세력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했다는 데 있다. 그것은 당시 고려 사회가 얼마나 원의 지배와 권문세족의 횡포 때문에 병들어 있었는가를 보여 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신돈의 개혁이 복고적 성격을
띠는 점이 있었기 때문에 신진세력을 규합하는 데 얼마간 장애가 되었다는 점도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의 개혁은 단호하고 과감하기는 하였지만 전망은 대단히 불투명하고 복고적이기까지 하였다. 다시 말해서 그는 권문세족의 정치적 경제적 기반을 분쇄하여 고려 사회를 전기의 번영하던 사회로 되돌리겠다는 것 이외에는 뚜렷한 전망을 보여 주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신돈이 요승으로 전해지고 있는 것은 그의 개혁이 실패하고 그가 권문세족의 손에 숙청되었기 때문이다. 또 이들은 사실을 왜곡하고 악의적인 이야기를 꾸며냄으로써 신돈을 깎아 내렸고, 그런 까닭에 신돈에 대해 올바르게 알 수 있는 기록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가 낮은 신분의 사람이었기 때문이기도 하려니와 권문세족들이 사실을 철저히 왜곡했고, 시대 상황도 공식 기록 말고는 거의 있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신돈이 공민왕의 개혁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등용된 핵심 인물인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공민왕이 방탕한 생활을 한 것은 신돈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신돈이 제거된 다음부터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신돈은 개혁을 추진해 나가다가 권문세족의 덫에 걸
려 제거된 사람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옛 말에 "이기면 관군이고, 지면 역적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현실의 투쟁에서 이기고 지느냐에 따라 평가가 달라진다는 뜻인데, 우리 역사에서 신돈 처럼 이러한 말을 실감하게 해주는 사람도 드물 것이다.
지금과 같은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개혁을 신돈의 개혁과 비교할 수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최근만 해도 소수 기득권층의 눈치만 살피다가 대다수 국민의 빈축을 산 실패한 개혁을 어디 한두 번 보아왔던가? 어느 역사 시대나 개혁은 다수의 인간을 위한 것이다.
역사에서의 진보는 이 개혁이라는 현실적 표현의 추상적 개념이다. 자신의 시대에 걸맞지 않게 한꺼번에 너무 많은 인간들을 위한 개혁을 하려고 한 신돈이 다시 봉건체제를 재강화한 조선의 이데올로그들에게 얻어맞은 거야 당연한 일이지만 말이다.
신돈의 개혁사상으로 인해 우리도 한번쯤 생각해볼 만한 일이라면, 이기면 관군이고, 지면 역적이라는 역사적 산물의 말을 깊이 묻고, 당시에 이긴 사람이 역사 속에서도 반드시 옳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듯이 역사를 왜곡한 자들이 현실의 문제도 왜곡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의 참여 정부가 어떤 개혁의 결과가 산출되더라도, 그 이전에 앞으로의 세대들에게 개혁을 이끌고 받아들일 수 있는 믿음을 먼저 상기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이 완충된다면, 이제는 더 이상 눈치만 보는 개혁이 아닌 진보적인 개혁, 비젼 적인 개혁으로 승화 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0.08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