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의
2. 예고의무
1) 예고방법
2) 예고기간
3. 예고수당의 지급의무
1) 예고수당과 예고기간의 관계
2) 예고수당의 법적 성질
4. 예고기간중의 근로관계
2. 예고의무
1) 예고방법
2) 예고기간
3. 예고수당의 지급의무
1) 예고수당과 예고기간의 관계
2) 예고수당의 법적 성질
4. 예고기간중의 근로관계
본문내용
않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임금의 감액과 더불어 즉시해고 될 수 있다.
예고기간 중에 근로자가 새로운 직장을 구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결근하는 경우 당해 근로자가 임금을 상실한다면 예고기간 중에 노무제공을 한 근로자측이 노무제공 없이 통상임금에 상당하는 예고수당을 받는 근로자측 보다 오히려 불리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임금 전액의 청구권을 인정해야 한다.
예고기간 중에 근로자가 새로운 직장을 구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결근하는 경우 당해 근로자가 임금을 상실한다면 예고기간 중에 노무제공을 한 근로자측이 노무제공 없이 통상임금에 상당하는 예고수당을 받는 근로자측 보다 오히려 불리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임금 전액의 청구권을 인정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