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경기의 운동역학적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육상경기의 운동역학적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6장 육상경기 (뜀뛰기)
1. 멀리뛰기(Long Jump)
2. 세단뛰기(Triple Jump)
3. 높이뛰기(High Jump)
4. 장대높이뛰기(Pole Vault)

제 17장 육상경기(던지기)
1. 투포환
2. 투원반
3. 투창
4. 투해머

본문내용

본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 투포환에서 사용되어지는 것과 같은 정통적인 반전과 회전할 때와 던질 째부터 남아있던 각 운동량을 흐트러뜨리기 위해 오른발의 ball로 1∼2번 이상의 회전을 하는 회전반전 등이 그 것이다.
3. 투창
1) 개요
기본요인들은 속도, 높이, 창이 던져진 각도, 비행에 영향을 주는 기체 역학적인 요인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비행중인 기체 역학적인 투창의 성질에 관해 폭넓은 불확실성이 있지만 적어도 다음과 같은 몇 가지에 대한 지시와 몇 가지 점에 있어서는 의견의 일치를 본 것 같다.
① 던지는 속도는 던지는 거리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단일 요인이다.
② 최적의 던지는 각은 사용되는 창 형태의 기능이다.
③ 창을 던진 순간의 최적의 공격 각이나 최적의 자세 각에 대하여 설명 한 것은 거의 없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던지는 각과 자세 각을 같은 것으로 여겼다.
④ 수준급 이상들이 초당 16∼24회전으로 창의 기축에 주어진 회전은 보통 유익하고 안정된 효과를 가지게 된다고 생각된다.
2) 기술
(1)파지법
보통 세 가지 형태의 파지법이 사용된다.
①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잡는 법
② 엄지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잡는 법
③ 집게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으로 잡는 법
위의 세 가지 중 세 번째 것이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이다.
(2)운반
앞으로 나아가는 동안 창은 보통 경기자의 다리동작과 일치하여 그의 손을 앞뒤로 움직여서 가까이 한 채 over the shoulder 자세로써 운반한다.
(3)달리기
달리기에서 던질 때까지의 몸의 자세를 바꾸는 동안과 던질 때 바로 그 시간동안 선수가 조절할 수 있는 최대의 속도를 얻기 위해서 대부분의 훌륭한 선수들은 10∼2보의 도움닫기를 사용한다.
(4) 전환 던지기 원상복귀
수준급 선수들에 의해 수행된 연속동작은 4가지로 주목된다.
-움츠림 : 마지막 던지는 자세에 도달하기 전 경기자의 오른발이 5보 정도가 지면에 닿게될 때 창의 움츠림은 시작된다.
-횡보 : 경기자가 마지막 던지는 자세를 조정하는 이 스텝은 초기의 기술에 있어서 다리가 실제로 한 다리 앞에 다른 다리가 엇갈린 자세였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주어졌다.
-횡보의 마지막에서 착지 : 경기자는 수평면과 커다란 각도를 가지고 그의 도통을 뒤로 기울인 채 그의 오른 발꿈치를 지면에 착지한다. 몸통을 더욱 꼿꼿하게 세우는 자세와 비교하면 이렇게 뒤로 기울인 것은 경기자에게 창이 던져져야 하는 지점에 도착하기 전에 차에 힘을 작용하는 시간을 더 많이 준다.
-경기자의 무게 중심은 오른발을 지나 앞쪽으로 지나가며 오른다리의 강력한 확장은 엉덩이를 밀어내기 시작한다. 몸통과 던지는 팔은 전과 똑 같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어 창의 던지는 속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4. 투해머
1) 개요
다른 던지기 경기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경기자가 확신할 수 있는 수평거리는 언제나 그러하듯 경기규칙을 지키며 수행할 때 ①속도 ②높이 ③ 던질 때의 각도 ④ 비행 중에 생기는 공기저항 등에 의해 좌우된다.
(1)던진 속도
해머가 회전하고 축을 선이 통과하도록 안쪽으로 작용한다면 이 힘은 구심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힘은 몸이 움직이고 있는 방향을 바꾸어 놓는데 기여한다. 만약 해머의 선이 축과 해머 헤드론 연결시킨 선의 각과 일직선을 이룬다면 선을 따라 작용된 힘을 구심적 요소와 접선적 요소를 가지게 된다. 던진 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식을 사용하여 순전히 운동학적 견지에서 생각되어질 수 있다.
u=wr
이 공식으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지을 수 잇다.
① 만약 각 속도가 변하지 않는다면, 반지름이 크면 클수록 해머의 선 속도는 커진다.
② 만약 반지름이 일정하다면, 해머가 회전하는 각 속도가 크면 클수록 선 속도는 더욱 커진다.
③ 어떤 경우라도 가장 큰 선 속도는 각 속도와 반지름이 최대가 될 때 얻어진다.
(2) 던지는 높이
던지는 높이는 주로 던지는 순간의 몸 자세와 선수의 체격에 달려 있다. 그러나 한 번 던지기와 두 번 이상 던지기의 차이 또는 한 선수와 다른 선수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일반적으로 너무 적어서 실질적인 의미는 거의 없다.
(3)던지는 각도
해머는 일반적으로 어깨높이가 떨어지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5피트 높이에서 던져지기 때문에 최적의 투사각도는 45°보다 약간 적다
(4) 공기의 저항
해머던지기에서 던진 거리에 작용하는 공기저항의 효과는 일반적으로 무시해도 된다.
2) 기술
다음 사항들을 주목해야 한다.
① 예비적 스윙으로 처음 자세에 있어서 선수는 자기의 발을 자신의 어깨넓이보다 약간 넓게 벌리고 원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발을 둔다. 양발은 구부려 몸무게는 오른발에 중심을 두고 상체는 오른쪽으로 대략 90°비튼다. 양팔은 해머 선과 일치하게 하여 뒤로 뻗치게 한다. 이 위치에서 무게 중심을 왼발로 옮기고 몸통을 똑바로 서게 한 자세로 하면서 해머를 앞쪽으로 스쳐 지나가게 한다.
② 돌리기 : 두 번째 돌리기는 첫 번째 돌리기와 똑같은 패턴으로 하는데 다만 몸 자세에 있어서 약간의 조정을 필요로 하고 해머의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던지는 사람에게 작용하는 원심력이 증가된다.
③ 첫 번째 회전 : 해머 헤드가 스윙의 최저 점을 통과한 직후 던지는 사람은 왼쪽 발뒤꿈치와 오른발 앞 꿈치를 축으로 하여 첫 번째 회전을 시작한다.
④ 두 번째 회전 : 첫 번째 회전의 완료와 두 번째 회전의 시작은 오른발이 선수의 엉덩이와 몸통을 다시 한 번 왼쪽으로 움직이게 함에 따라서 서로 유연하게 이어진다. 이 동작은 다리와 몸통을 강하게 들어 올려주는 동작을 수반하는데 이 동작은 해머가 낮은 점을 통고하여 상승하기 시작할 때 해머를 더욱 가속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⑤ 세 번째 회전 : 선수가 받기 쉬운 원심력이 증가할 때 몸의 평행을 유지하려고 몸의 자세를 수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세 번째 회전의 몸 동작은 앞의 두 회전에서와 근본적으로 같다.
⑥ 투구 : 투구하는 동안 해머의 현저한 가속은 해머가 세 번째 회전의 최고점을 통과할 때 시작되며 엉덩이와 몸통이 강한 회전을 할 때도 계속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10.27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14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