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신공공관리론의 의의 및 평가
3.거버넌스이론과의 비교
4.신공공관리론과 거버넌스의 보완방안
5.결론
2.신공공관리론의 의의 및 평가
3.거버넌스이론과의 비교
4.신공공관리론과 거버넌스의 보완방안
5.결론
본문내용
즉 NPM의 근거인 공리주의의 지나친 이기적 합리주의가 공익적 공등의 이해해결을 위한 제도로서는 미비하므로 참여주의에 의한 보완이 필요하다.
(2) 구체적 방안-정책의 기능과 과제에 다른 역할 분담
1) 참여주의는 갈등조정업무, 기능조정업무, 미래계획 등 정책의 결정과 이해관계의 조화를 위한 영역에 사용한다.
2) 시장주의는 행정서비스의 집행의 효율성이 요구되는 업무에 국한시킨다.
Ⅴ. 結
신공공관리론은 세계적으로 새로운 정부 혁신의 기풍을 급속히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아직도 이론적 체계와 엄밀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며, 일론의 이면에 자리잡고 있는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PM등을 통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구체적 방안-정책의 기능과 과제에 다른 역할 분담
1) 참여주의는 갈등조정업무, 기능조정업무, 미래계획 등 정책의 결정과 이해관계의 조화를 위한 영역에 사용한다.
2) 시장주의는 행정서비스의 집행의 효율성이 요구되는 업무에 국한시킨다.
Ⅴ. 結
신공공관리론은 세계적으로 새로운 정부 혁신의 기풍을 급속히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아직도 이론적 체계와 엄밀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며, 일론의 이면에 자리잡고 있는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PM등을 통한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인사행정 개혁의 계획과 실제
공무원청렴성제고방안
노사정위원회의 설립배경, 취지, 활동현황, 성과 분석 및 나아갈 방향 제언
[인사행정 개혁][인사행정 혁신][인사행정]인사행정 개혁(인사행정 혁신)의 쟁점, 교훈과 과...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과정
독도문제에 대한 거버넌스적인 접근
뉴거버넌스 정부혁신
거버넌스의 분류) 국가중심, 시장중심, 시민사회 중심의 거버넌스
공무원(공직자)의 유형, 공무원(공직자)의 고용현황, 공무원(공직자)의 근로자성, 공무원(공...
[행정학][행정학 위기론][행정학 미래][행정학 현상학적 연구][행정학 개혁방안]행정학 역사,...
새만금 간척사업의 타당성
환경거버넌스의 의의와 성과내용 및 환경거버넌스 체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환경거버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