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Polya의 문제 해결 전략을 이용한 문장제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해설
Ⅱ. 저해요소 추출
1. 평가에서 문장제 문항에 대한 선호도 조사
2. 문장제 문항의 저해요인은?
3. 지금까지 문장제 해결을 위한 학습 교재는 적절한가?
4. 문장제 해결을 위하여 수업시간에 수학선생님의 강의에 대한 이해 수준은?
Ⅲ. 이론적 배경
Polya의 문제 해결 전략 과정
Ⅳ. 연구의 실행 목표
Ⅴ. 연구의 방법
Ⅵ. 연구의 실행
가. 목표 1의 실행
나. 실행 목표 2의 실행
1) 소집단 구성
2) 소집단 토의학습
3) Polya 문제해결과정의 적용방법
Ⅶ. 연구의 결과 및 비교 분석
1. Polya의 이론과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 조사
2. 수학 학습 습관 조사
가. Polya의 이론과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 결과 분석
나. 수학 학습 습관조사에 대한 비교분석
1. Polya의 문제 해결 전략을 이용한 문장제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해설
Ⅱ. 저해요소 추출
1. 평가에서 문장제 문항에 대한 선호도 조사
2. 문장제 문항의 저해요인은?
3. 지금까지 문장제 해결을 위한 학습 교재는 적절한가?
4. 문장제 해결을 위하여 수업시간에 수학선생님의 강의에 대한 이해 수준은?
Ⅲ. 이론적 배경
Polya의 문제 해결 전략 과정
Ⅳ. 연구의 실행 목표
Ⅴ. 연구의 방법
Ⅵ. 연구의 실행
가. 목표 1의 실행
나. 실행 목표 2의 실행
1) 소집단 구성
2) 소집단 토의학습
3) Polya 문제해결과정의 적용방법
Ⅶ. 연구의 결과 및 비교 분석
1. Polya의 이론과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 조사
2. 수학 학습 습관 조사
가. Polya의 이론과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 결과 분석
나. 수학 학습 습관조사에 대한 비교분석
본문내용
야 할까?
·학생의 사고과정을 직접 설명시켜 본다.
반성
·수직선을 긋고 관계를 알아본다.
·속도를 미지수로 놓고 푼다.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경우를 질문을 해보고 이 문 제가 무엇을 묻는 문제인지 질문을 해본다.
<문 10>
단계
교수 학습 활동
비고
문제
이해
·문제를 크게 읽는다.
·삼각형의 종류는?
·매번의 규칙은 무엇인가?
·구하고자 하는 것은?
해결 계획
단 계
·1회 실행 후 흰색 삼각형 개수와 검은색 삼각형 개 수는?
·2회 실행 후 흰색 삼각형 개수와 검은색 삼각형 개 수는?
·3회 실행 후 흰색 삼각형 개수와 검은색 삼각형 개 수는?
·규칙은?
실행
·계획을 세워 풀어 봅시다.
반성
·그림을 여러 번 그려보면서 관계식을 세운다.
·곱하기를 이용해 관계를 살피는 것이 더 풀이하기 쉽다.
·시행때마다 규칙을 발견해 본다.
·다른 풀이 방법이 없는지 학생들에게 질문해 보고 있다면 다른 풀이 방법으로 풀이해 본다.
Ⅶ. 연구의 결과 및 비교 분석
1. Polya의 이론과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 조사
설문 내용
응답 내용
실험반
증감 비율(%)
4월
(336)
비율
12월
(336)
비율
1) Polya의
이론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이해도
① 이해가 아주 잘 된다.
② 잘 된다.
③ 종전과 같다.
④ 종전보다 이해하기 어렵다.
⑤ 모르겠다.
54
67
128
54
33
16%
20%
38%
16%
10%
108
94
67
27
40
32%
28%
20%
8%
12%
+16
+8
-18
-8
+2
2) Polya의
이론에 대한
흥미도
① 아주 재미있다.
② 재미있다.
③ 보통이다.
④ 흥미가 없다.
⑤ 전혀 흥미가 없다.
47
60
94
88
47
14%
18%
28%
26%
14%
115
108
47
33
33
34%
32%
14%
10%
10%
+20
+14
-14
-16
-4
3)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① 아주 이해가 잘 된다.
② 이해 잘 된다.
③ 보통이다.
④ 종전보다 이해하기 어렵다.
⑤ 전혀 이해가 안 된다.
47
74
121
54
40
14%
22%
36%
16%
12%
81
114
40
54
47
24%
34%
12%
16%
14%
+10
+12
-24
0
+2
4)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흥미도
① 아주 재미있다.
② 재미있다.
③ 보통이다.
④ 마지못해 한다.
⑤ 하기 싫다.
33
114
101
95
33
10%
22%
30%
28%
10%
81
142
47
33
33
24%
42%
14%
10%
10%
+14
+20
-16
-18
0
2. 수학 학습 습관 조사
설문 내용
응답 내용
실험반
증감 비율(%)
4월
(336)
비율
12월
(336)
비율
1) 수학수업에
대한 이해도
① 모두 이해한다.
② 대부분 이해한다.
③ 보통이다.
④ 이해가 잘 안 된다.
⑤ 전혀 이해가 안 된다.
33
61
61
94
87
10%
18%
18%
28%
26%
108
114
40
40
34
32%
34%
12%
12%
10%
+22
+16
-6
-16
-16
2)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도
① 아주 재미있다.
② 재미있다.
③ 보통이다.
④ 마지못해 한다.
⑤ 하기 싫다.
54
74
67
81
60
16%
22%
20%
24%
18%
108
121
40
40
27
32%
36%
12%
12%
8%
+16
+14
-8
-12
-10
3) 수학교과
학습량
① 매일한다.
② 시험이 있을 때만 한다.
③ 수업이 있는 날만 한다.
④ 일주일 한 번 정도 한다.
⑤ 거의 하지 않는다.
74
60
88
54
60
22%
18%
26%
16%
18%
114
40
81
40
61
34%
12%
24%
12%
18%
+12
-6
-2
-4
0
4) 수학문제의
해결방법
① 담당 교과 선생님께 질문한다.
② 스스로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③ 친구들에게 질문한다.
④ 참고서에 의존한다.
⑤ 노력하지 않는 편이다.
101
60
94
54
27
30%
18%
28%
16%
8%
67
168
67
20
14
20%
50%
20%
6%
4%
-10
+32
-8
-10
-4
가. Polya의 이론과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 결과 분석
1) Polya의 이론에 대한 수학 수업에 대한 이해도
① 이해가 아주 잘 된다가 18%에서 30%로 12%가 증가되었다. 이는 4월초에는 문장제 문장, 즉 수학외적문제에 대한 문제해결에서 상당한 저항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11월에는 문장제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력이 신장되었다고 생각한다.
2) Polya 이론에 대한 흥미도는 아주 재미있다와 재미있다, 16%에서 33%로 17%의 증가는 되었다. 이는 바로 Polya의 이론은 문제해결력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어진다.
3)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에서 아주 잘 된다와 이해 잘 된다가 18%에서 29%, 11%의 증가되었다. 이는 바로 그 당시의 수업분위기만 잘 파악하고 지도교사가 관심 있는 수업만 진행한다면, 종전의 일제학습보다 소집단 토의학습은 학생들의 이해도에 많은 도움이 된다.
4)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흥미도에서 아주 재미있다와 재미있다에서 16%에서 33%로 17%가 증가되었다.
나. 수학 학습 습관조사에 대한 비교분석
1) 수학수업에 대한 이해도 ①모두 이해한다와 ②대부분 이해한다 14%. 33%로 19% 증가는 소집단 토의 학습에 대한 이해도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되어진다.
2)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도 ① 아주 재미있다와 ② 재미있다가 19%에서 43%로 24% 증가에서 지속적인 일제 수업에서 탈피한 소집단 토의 학습이 수업에 대한 흥미도 있었다고 본다.
3) 수학교과 학습량 ① 매일한다와 ② 시험이 있을 때만 한다가 20%에서 33%로 13% 증가하였다. 이는 바로 수학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도가 예전보다 향상되었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생각되어지며 이는 바로 사고력 신장이 많이 신장되었다고 생각한다.
4) 수학문제의 해결방법은 담당 교과 선생님께 질문한다와 스스로 해결하려고 노력한다가 24%에서 35%, 9%가 증가한 것은 수학에 대한 과제 집착력이 향상되었고 사고력 신장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되어진다.
·학생의 사고과정을 직접 설명시켜 본다.
반성
·수직선을 긋고 관계를 알아본다.
·속도를 미지수로 놓고 푼다.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경우를 질문을 해보고 이 문 제가 무엇을 묻는 문제인지 질문을 해본다.
<문 10>
단계
교수 학습 활동
비고
문제
이해
·문제를 크게 읽는다.
·삼각형의 종류는?
·매번의 규칙은 무엇인가?
·구하고자 하는 것은?
해결 계획
단 계
·1회 실행 후 흰색 삼각형 개수와 검은색 삼각형 개 수는?
·2회 실행 후 흰색 삼각형 개수와 검은색 삼각형 개 수는?
·3회 실행 후 흰색 삼각형 개수와 검은색 삼각형 개 수는?
·규칙은?
실행
·계획을 세워 풀어 봅시다.
반성
·그림을 여러 번 그려보면서 관계식을 세운다.
·곱하기를 이용해 관계를 살피는 것이 더 풀이하기 쉽다.
·시행때마다 규칙을 발견해 본다.
·다른 풀이 방법이 없는지 학생들에게 질문해 보고 있다면 다른 풀이 방법으로 풀이해 본다.
Ⅶ. 연구의 결과 및 비교 분석
1. Polya의 이론과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 조사
설문 내용
응답 내용
실험반
증감 비율(%)
4월
(336)
비율
12월
(336)
비율
1) Polya의
이론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
대한 이해도
① 이해가 아주 잘 된다.
② 잘 된다.
③ 종전과 같다.
④ 종전보다 이해하기 어렵다.
⑤ 모르겠다.
54
67
128
54
33
16%
20%
38%
16%
10%
108
94
67
27
40
32%
28%
20%
8%
12%
+16
+8
-18
-8
+2
2) Polya의
이론에 대한
흥미도
① 아주 재미있다.
② 재미있다.
③ 보통이다.
④ 흥미가 없다.
⑤ 전혀 흥미가 없다.
47
60
94
88
47
14%
18%
28%
26%
14%
115
108
47
33
33
34%
32%
14%
10%
10%
+20
+14
-14
-16
-4
3)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① 아주 이해가 잘 된다.
② 이해 잘 된다.
③ 보통이다.
④ 종전보다 이해하기 어렵다.
⑤ 전혀 이해가 안 된다.
47
74
121
54
40
14%
22%
36%
16%
12%
81
114
40
54
47
24%
34%
12%
16%
14%
+10
+12
-24
0
+2
4)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흥미도
① 아주 재미있다.
② 재미있다.
③ 보통이다.
④ 마지못해 한다.
⑤ 하기 싫다.
33
114
101
95
33
10%
22%
30%
28%
10%
81
142
47
33
33
24%
42%
14%
10%
10%
+14
+20
-16
-18
0
2. 수학 학습 습관 조사
설문 내용
응답 내용
실험반
증감 비율(%)
4월
(336)
비율
12월
(336)
비율
1) 수학수업에
대한 이해도
① 모두 이해한다.
② 대부분 이해한다.
③ 보통이다.
④ 이해가 잘 안 된다.
⑤ 전혀 이해가 안 된다.
33
61
61
94
87
10%
18%
18%
28%
26%
108
114
40
40
34
32%
34%
12%
12%
10%
+22
+16
-6
-16
-16
2)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도
① 아주 재미있다.
② 재미있다.
③ 보통이다.
④ 마지못해 한다.
⑤ 하기 싫다.
54
74
67
81
60
16%
22%
20%
24%
18%
108
121
40
40
27
32%
36%
12%
12%
8%
+16
+14
-8
-12
-10
3) 수학교과
학습량
① 매일한다.
② 시험이 있을 때만 한다.
③ 수업이 있는 날만 한다.
④ 일주일 한 번 정도 한다.
⑤ 거의 하지 않는다.
74
60
88
54
60
22%
18%
26%
16%
18%
114
40
81
40
61
34%
12%
24%
12%
18%
+12
-6
-2
-4
0
4) 수학문제의
해결방법
① 담당 교과 선생님께 질문한다.
② 스스로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③ 친구들에게 질문한다.
④ 참고서에 의존한다.
⑤ 노력하지 않는 편이다.
101
60
94
54
27
30%
18%
28%
16%
8%
67
168
67
20
14
20%
50%
20%
6%
4%
-10
+32
-8
-10
-4
가. Polya의 이론과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 결과 분석
1) Polya의 이론에 대한 수학 수업에 대한 이해도
① 이해가 아주 잘 된다가 18%에서 30%로 12%가 증가되었다. 이는 4월초에는 문장제 문장, 즉 수학외적문제에 대한 문제해결에서 상당한 저항을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11월에는 문장제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력이 신장되었다고 생각한다.
2) Polya 이론에 대한 흥미도는 아주 재미있다와 재미있다, 16%에서 33%로 17%의 증가는 되었다. 이는 바로 Polya의 이론은 문제해결력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되어진다.
3)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이해도에서 아주 잘 된다와 이해 잘 된다가 18%에서 29%, 11%의 증가되었다. 이는 바로 그 당시의 수업분위기만 잘 파악하고 지도교사가 관심 있는 수업만 진행한다면, 종전의 일제학습보다 소집단 토의학습은 학생들의 이해도에 많은 도움이 된다.
4) 소집단 토의학습에 대한 흥미도에서 아주 재미있다와 재미있다에서 16%에서 33%로 17%가 증가되었다.
나. 수학 학습 습관조사에 대한 비교분석
1) 수학수업에 대한 이해도 ①모두 이해한다와 ②대부분 이해한다 14%. 33%로 19% 증가는 소집단 토의 학습에 대한 이해도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되어진다.
2)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도 ① 아주 재미있다와 ② 재미있다가 19%에서 43%로 24% 증가에서 지속적인 일제 수업에서 탈피한 소집단 토의 학습이 수업에 대한 흥미도 있었다고 본다.
3) 수학교과 학습량 ① 매일한다와 ② 시험이 있을 때만 한다가 20%에서 33%로 13% 증가하였다. 이는 바로 수학에 대한 이해도와 흥미도가 예전보다 향상되었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생각되어지며 이는 바로 사고력 신장이 많이 신장되었다고 생각한다.
4) 수학문제의 해결방법은 담당 교과 선생님께 질문한다와 스스로 해결하려고 노력한다가 24%에서 35%, 9%가 증가한 것은 수학에 대한 과제 집착력이 향상되었고 사고력 신장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되어진다.
추천자료
(아동복지)결손아동에 대한 이해와 복지현황 및 문제점 해결방안
동북아(한중일)의 관광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A+평가 레포트]고령화 사회와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 방안
우리나라 세금제도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6)도덕-통일 한국을 향하여-통일과정과 통일 이 후 예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환경문제에 대한 목회적 해결방안 - 환경문제에 대한 교회의 태도
[청소년복지] 청소년복지 전달 체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노사갈등 해결 방안]우리은행 노사 갈등 발생배경과, 원인, 쟁점, 해결과정, 문제점, 시사점...
유아들은 과학 과정기술을 토대로 유아들 스스로가 문제를 제기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문...
[생명과 환경 공통] 인류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지, 자신의 견해를 A4용지 5...
[보건행정체계] 보건행정의 원리(보건문제의 해결과정, 보건행정의 기술적 원칙 및 행정적 원...
현대사회는 다양한 가족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중 한부모가족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