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차
2. 공조장치류
3. 공조방식
4. Piping
5. Duct design
2. 공조장치류
3. 공조방식
4. Piping
5. Duct design
본문내용
도 함
5. 덕트의 분류
덕트는 주덕트와 분기덕트로 대별할 수 있다. 주덕트는 덕트배치의 간선을 이루는 것이며, 분기덕트는 주덕트에서 분기되어 각기 필요한 장소에 배치된다.
가. 배치방식에 따른 분류
1) 간선덕트방식 : 가장 간단한 것이며 설비비가 싸고 덕트 스페이스가 적어도 된다.
2) 개별덕트방식 : 취출구마다 덕트를 단독으로 설비하는 방식으로 풍량조절이 용이하며 최근 공기조화에 채용되는 멀티존 방식도 바로이 방식이다. 설비비는 높아지며 덕트 스페이스도 많이 차지한다.
3) 환상덕트방식 : 덕트 끝을 연결하여 루프를 만드는 형식, 말단 취출구의 압력조절이용이
덕트의 배치도(평면도)
나. 공기 풍속에 따른 분류
공기풍속에 다라 저속덕트방식과 고속덕트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저속덕트방식 - 덕트내의 풍속이 15m/s 이하로 일반건물에 적용된다.
2) 고속덕트방식 - 덕트내의 풍속이 15~20m/s 로 고압이며 소음이 발생한다.
소음이 문제되지 않는 공장, 창고 또는 차량, 선박, 고층발딩 등 덕트 스페이스를 크게 취할 수 없는 곳에 적용된다.
6. 덕트 부속품
가. 풍량조절댐퍼(volume damper) : 풍량조절댐퍼는 덕트내를 흐르는 풍량을 조절 또는 폐쇄하기 위해 쓰이는 부속품
1) 단익댐퍼 : 버터플라이 댐퍼라고도 하며 소형덕트에 사용된다
2) 다익댐퍼(루버댐퍼) : 2개 이상의 날개를 가진 것으로 대형덕트에 사용된다.
3) 스플릿댐퍼 : 덕트의 부기부에서의 풍량조절에 사용된다.
나. 방화댐퍼(fire damper) : 방화댐퍼는 화재발생시 덕트를 통하여 다른 실로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쓰이는 것이며 덕트내의 공기 온도가 72 정도 이상이면 댐퍼날개를 지지하고 있던 가용편이 녹아서 자동적으로 댐퍼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다. 방연댐퍼(smoke damper) : 연기감지기로 연기를 탐지하여 방연댐퍼로 덕트를 폐쇄하여 다른 구역으로 연기침투를 방지한다.
라. 가이드베인(터닝베인) : 덕트의 구부러진 구분의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
가이드 베인은 덕트의 구부러진 안쪽으로 촘촘히 붙임
마. 챔버(chamber) 및 소음엘보
공조기와 덕트의 접속부분, 취출구 직전에 설치하여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이며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침버내부에 흡음재를 붙인 소음챔버, 소음엘보 등도 있다.
에어챔버(air chamber) 및 소음엘보
7. 취출구
가. 베인(vane)격자형 취출구 : 4각형의 틀에 베인을 붙인 것으로 날개를 붙인 방행에 따라 가로형, 세로형, 가로세로형이 있다.
1) 그릴 : 풍량조절이 불가능한 것
2) 레지스터 : 그릴이나 셔터나 댐퍼를 부착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 날개는 1개의 샤프트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음, 그릴 대신 가동 날개를 지닌 것도 있음
베인격자형 취출구
그릴 및 레지스터의 조립형식
나. 에니모스탯(annemostat) : 콘(cone)이라 불리는 여러개의 도심원추 또는 각추형의 날개로 되어 있으며 풍량을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공기분포가 균일하므로 천정 부착용 취출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확산반경이 크고 도달거리가 짧다.
에니모스탯형 천장취출구
다. 팬(pan)형 취출구 : 애니모스탯형의 콘 대신 원판 모양의 팬을 붙인 것
소음이 적다.
팬형 추출구
라. 노즐(nozzle)형 취출구 : 도달거리가 길기 때문에 벽이나 높은 천장등에 설치
마. 펑커(punka)형 취출구 : 기류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열부하가 많은 주방, 공장 등 사람이 있는 제한된 방향으로만 취출할 때 사용
노즐형취출구와 펑커형취출구
바. T-라인형 취출구 : 천장이나 rscnranf의 구조체에 바-프레임(bar frame)인 T-바(T-bar)를 고정하고 그 틈 사이에 취출구를 끼운다.
취출기류의 방향은 취출구내에 있는 베인의 고정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바꿀 수 있으며 댐퍼의 기능도 갖고 잇다.
T-라인형 취출구는 내부존이나 외부존 모두 사용된다.
사. 브리즈라인형 취출구 : 취출부분에 홈(slot)이 있어 선의 개념을 통하여 이녀리어 디자인에서 미적 감각을 살릴 수 있다. 외부존의 천장 또는 창틀위에 설치하며 출입구의 에어커튼 역할을 한다.
아. 캄 라인형 취출구 : 가느다란 선형취출구가 있으며 뒤쪽에는 디플렉터가 있어 정류(整流)작용을 한다. 내외부존에 모두 쓰이며 출입구 부근의 에어커튼용으로도 접합하고 선형이므로 인테리어 디자인에도 적당하다.
자. 라이트 트로퍼형 취출구 : 라이트-트로퍼의 양족에 취출구를 갖고 있으며 중앙에 형광등을 갖추어 조명등의 외관으로 취출구 까지 겸함.
※ 이외에도 M-라인형 취출구, 다공판형 추출구, 웨이형 취출구 등이 있다.
8. 흡입구
가. 격자형 흡입구 : 4각형의 틀(프레임)에 루버나 그리드를 부착시킨 것으로 벽이나 천정에 설치된다.
나. 머쉬룸(mushroom) 흡입구 : 바닥 밑에서 직접 배기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버석모양
※ 이 외에도 펀칭메탈형 흡입구나 화장실비개용 그릴 등이 있다.
9. 송풍기의 종류
가. 다익형 송풍기(sirocco fan)
날개가 회전방향으로 굽은 저곡형으로 다른 형에 비하여 많은 유량과 정압을 얻을 수 있으므로 환기설비나 공조기의 리턴팬 등 저속덕트용 송풍기로 많이 쓰인다. 그러나 효율이 낮으므로 동력, 소음은 크다.
나. 터보 송풍기(turbo fan)
날개가 회전방향의 뒤로 굽은 휴곡형으로 효율은 가장 높다. 250mmAq 정도의 고압도 가능하므로 현재는 고속덕트용으로 쓰인다.
turbo fan의 일종으로 silent fan이라 불리우는 것은 특히 소음이 적다.
다. 익형 송풍기(air foll fan)
효율이나 강도를 올려 소음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익형의 날개를 쓰고 있다.
공조기의 급기(SA)팬으로 많이 사용한다.
라. reverse 익형 송풍기(limit load fan)
날개차가 전곡과 후곡을 조합한 형을 하고 있어, 그 성능도 다익형과 터보형의 중간적인 것을 갖고 있다.
마. 축류형 송풍기
기후의 방향이 회전축과 같은 방향의 것으로 환기팬, 소형냉각탑 등에 사용
저압, 대풍량에 적당하며 대체로 같은 성능의 경우에는 원심송풍기보다 소음이 큼
5. 덕트의 분류
덕트는 주덕트와 분기덕트로 대별할 수 있다. 주덕트는 덕트배치의 간선을 이루는 것이며, 분기덕트는 주덕트에서 분기되어 각기 필요한 장소에 배치된다.
가. 배치방식에 따른 분류
1) 간선덕트방식 : 가장 간단한 것이며 설비비가 싸고 덕트 스페이스가 적어도 된다.
2) 개별덕트방식 : 취출구마다 덕트를 단독으로 설비하는 방식으로 풍량조절이 용이하며 최근 공기조화에 채용되는 멀티존 방식도 바로이 방식이다. 설비비는 높아지며 덕트 스페이스도 많이 차지한다.
3) 환상덕트방식 : 덕트 끝을 연결하여 루프를 만드는 형식, 말단 취출구의 압력조절이용이
덕트의 배치도(평면도)
나. 공기 풍속에 따른 분류
공기풍속에 다라 저속덕트방식과 고속덕트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저속덕트방식 - 덕트내의 풍속이 15m/s 이하로 일반건물에 적용된다.
2) 고속덕트방식 - 덕트내의 풍속이 15~20m/s 로 고압이며 소음이 발생한다.
소음이 문제되지 않는 공장, 창고 또는 차량, 선박, 고층발딩 등 덕트 스페이스를 크게 취할 수 없는 곳에 적용된다.
6. 덕트 부속품
가. 풍량조절댐퍼(volume damper) : 풍량조절댐퍼는 덕트내를 흐르는 풍량을 조절 또는 폐쇄하기 위해 쓰이는 부속품
1) 단익댐퍼 : 버터플라이 댐퍼라고도 하며 소형덕트에 사용된다
2) 다익댐퍼(루버댐퍼) : 2개 이상의 날개를 가진 것으로 대형덕트에 사용된다.
3) 스플릿댐퍼 : 덕트의 부기부에서의 풍량조절에 사용된다.
나. 방화댐퍼(fire damper) : 방화댐퍼는 화재발생시 덕트를 통하여 다른 실로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쓰이는 것이며 덕트내의 공기 온도가 72 정도 이상이면 댐퍼날개를 지지하고 있던 가용편이 녹아서 자동적으로 댐퍼가 닫히도록 되어 있다.
다. 방연댐퍼(smoke damper) : 연기감지기로 연기를 탐지하여 방연댐퍼로 덕트를 폐쇄하여 다른 구역으로 연기침투를 방지한다.
라. 가이드베인(터닝베인) : 덕트의 구부러진 구분의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
가이드 베인은 덕트의 구부러진 안쪽으로 촘촘히 붙임
마. 챔버(chamber) 및 소음엘보
공조기와 덕트의 접속부분, 취출구 직전에 설치하여 기류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이며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침버내부에 흡음재를 붙인 소음챔버, 소음엘보 등도 있다.
에어챔버(air chamber) 및 소음엘보
7. 취출구
가. 베인(vane)격자형 취출구 : 4각형의 틀에 베인을 붙인 것으로 날개를 붙인 방행에 따라 가로형, 세로형, 가로세로형이 있다.
1) 그릴 : 풍량조절이 불가능한 것
2) 레지스터 : 그릴이나 셔터나 댐퍼를 부착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 날개는 1개의 샤프트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음, 그릴 대신 가동 날개를 지닌 것도 있음
베인격자형 취출구
그릴 및 레지스터의 조립형식
나. 에니모스탯(annemostat) : 콘(cone)이라 불리는 여러개의 도심원추 또는 각추형의 날개로 되어 있으며 풍량을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공기분포가 균일하므로 천정 부착용 취출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확산반경이 크고 도달거리가 짧다.
에니모스탯형 천장취출구
다. 팬(pan)형 취출구 : 애니모스탯형의 콘 대신 원판 모양의 팬을 붙인 것
소음이 적다.
팬형 추출구
라. 노즐(nozzle)형 취출구 : 도달거리가 길기 때문에 벽이나 높은 천장등에 설치
마. 펑커(punka)형 취출구 : 기류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열부하가 많은 주방, 공장 등 사람이 있는 제한된 방향으로만 취출할 때 사용
노즐형취출구와 펑커형취출구
바. T-라인형 취출구 : 천장이나 rscnranf의 구조체에 바-프레임(bar frame)인 T-바(T-bar)를 고정하고 그 틈 사이에 취출구를 끼운다.
취출기류의 방향은 취출구내에 있는 베인의 고정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바꿀 수 있으며 댐퍼의 기능도 갖고 잇다.
T-라인형 취출구는 내부존이나 외부존 모두 사용된다.
사. 브리즈라인형 취출구 : 취출부분에 홈(slot)이 있어 선의 개념을 통하여 이녀리어 디자인에서 미적 감각을 살릴 수 있다. 외부존의 천장 또는 창틀위에 설치하며 출입구의 에어커튼 역할을 한다.
아. 캄 라인형 취출구 : 가느다란 선형취출구가 있으며 뒤쪽에는 디플렉터가 있어 정류(整流)작용을 한다. 내외부존에 모두 쓰이며 출입구 부근의 에어커튼용으로도 접합하고 선형이므로 인테리어 디자인에도 적당하다.
자. 라이트 트로퍼형 취출구 : 라이트-트로퍼의 양족에 취출구를 갖고 있으며 중앙에 형광등을 갖추어 조명등의 외관으로 취출구 까지 겸함.
※ 이외에도 M-라인형 취출구, 다공판형 추출구, 웨이형 취출구 등이 있다.
8. 흡입구
가. 격자형 흡입구 : 4각형의 틀(프레임)에 루버나 그리드를 부착시킨 것으로 벽이나 천정에 설치된다.
나. 머쉬룸(mushroom) 흡입구 : 바닥 밑에서 직접 배기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버석모양
※ 이 외에도 펀칭메탈형 흡입구나 화장실비개용 그릴 등이 있다.
9. 송풍기의 종류
가. 다익형 송풍기(sirocco fan)
날개가 회전방향으로 굽은 저곡형으로 다른 형에 비하여 많은 유량과 정압을 얻을 수 있으므로 환기설비나 공조기의 리턴팬 등 저속덕트용 송풍기로 많이 쓰인다. 그러나 효율이 낮으므로 동력, 소음은 크다.
나. 터보 송풍기(turbo fan)
날개가 회전방향의 뒤로 굽은 휴곡형으로 효율은 가장 높다. 250mmAq 정도의 고압도 가능하므로 현재는 고속덕트용으로 쓰인다.
turbo fan의 일종으로 silent fan이라 불리우는 것은 특히 소음이 적다.
다. 익형 송풍기(air foll fan)
효율이나 강도를 올려 소음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익형의 날개를 쓰고 있다.
공조기의 급기(SA)팬으로 많이 사용한다.
라. reverse 익형 송풍기(limit load fan)
날개차가 전곡과 후곡을 조합한 형을 하고 있어, 그 성능도 다익형과 터보형의 중간적인 것을 갖고 있다.
마. 축류형 송풍기
기후의 방향이 회전축과 같은 방향의 것으로 환기팬, 소형냉각탑 등에 사용
저압, 대풍량에 적당하며 대체로 같은 성능의 경우에는 원심송풍기보다 소음이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