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예술과 문화
1)미학의 기능과 과제
2)미학의 이론과 실천
2.미학의 성립
1)미학이라는 학명의 유래
2)미학사상의 이론적 형성
3)미학이라는 학명의 세례
4)미학의 정초
3.미학연구의 방법
1)철학적 방법
2)과학적 방법
3)현상학적 방법과 분석학적 방법
4.미학연구의 대상
1)자연미와 예술미
2)인간미
5.미학, 예술비평, 예술사
1)예술비평의 의미
2)예술사와 예술비평
3)미학, 예술비평, 예술사의 관계
1)미학의 기능과 과제
2)미학의 이론과 실천
2.미학의 성립
1)미학이라는 학명의 유래
2)미학사상의 이론적 형성
3)미학이라는 학명의 세례
4)미학의 정초
3.미학연구의 방법
1)철학적 방법
2)과학적 방법
3)현상학적 방법과 분석학적 방법
4.미학연구의 대상
1)자연미와 예술미
2)인간미
5.미학, 예술비평, 예술사
1)예술비평의 의미
2)예술사와 예술비평
3)미학, 예술비평, 예술사의 관계
본문내용
이렇게 볼 때 예술미와 자연미 그리고 인간미가 그 현상영역은 다르지만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5. 미학·예술비평·예술사
비평, 가치, 규준, 평가, 역사
미학의 연구대상인 예술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는 예술비평(Art Criticism)과 예술사(Art History)가 있으며, 여기에서 이들의 의미와 그 관계를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하겠다.
1) 예술비평의 의미
예술비평과 관련하여 볼 때, 비평활동이란 인간의 다양한 활동 가운데 널리 보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평이란 어떤 결점을 찾아내어 비난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원래 비평하다(criticize)의 어원인 그리스어 크리노(krino, )는 판별하다, 선별·추출하다 라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비평의 일반적 의미는 대상의 가치판별이며, 예술비평이란 예술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비평을 말한다. 그런 만큼 예술비평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예술작품의 가치판정, 즉 작품의 우열을 판정하는 것이다.
드레스드너(A. Dresdner)는 《예술비평의 성립》(1915)에서 예술비평과 예술판단을 구별했다. 그에 의하면 예술판단(Kunsturteil)은 예술창작과 마찬가지로 고대로부터 존재해 왔고, 이것이 역사의 어느 시점에서 고유한 문학적 형식을 채용함으로써 새로운 문학적 장르로 성립되었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예술비평(Kunstkritik)인 것이다. 결국 예술비평이란 작품의 평가와 그 이유가 언어적 문서적 형식으로 조직화된 것을 말한다. 그런데 비평가가 작품의 가치를 판정하는데 일정한 규준(criterion)이 요구된다. 비평가는 미적 가치의 규준에 입각하여 평가를 내리는데, 그는 해당 작품의 열등한 점과 훌륭한 점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평가의 이유 또는 근거를 설명하는 것이다.
2) 예술사와 예술비평
예술비평과 친근한 학문의 영역으로 예술사를 들 수 있다. 현대의 예술사는 주로 개별적인 작품이나 작가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고, 개개 작품의 정확한 이해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예술비평과 상통한다. 말하자면 비평과 예술사는 작품의 객관적 해석을 통해 상호접근하고 있다. 한편 벤투리(L. Venturi, 1885-1961)는 《예술비평사》에서 예술비평에 역사적 지식은 불가결하며, 예술사에도 평가가 개입된다는 근거에서 예술비평과 예술사의 동일성을 주장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비평가는 작품을 역사적으로 연구하지 않고서는 작품을 이해할 수 없고 이해하지 않고서는 판단할 수 없는 반면에, 예술사가는 작품을 판단하지 않고서는 이해할 수 없다.
3) 미학·예술비평·예술사의 관계
미학과 예술비평 및 예술사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지만, 과제는 서로 다르다. 즉 미학은 미적 가치 그 자체를 추구한다. 따라서 보편을 지향한다. 따라서 개개 작품을 떠나 가치일반 혹은 보편적인 미 그 자체를 추구한다. 예술비평은 개별적인 작품을 평가하는 만큼 개별을 지향하며 개개 작품의 구체적인 가치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예술비평의 대상은 평가가 행해지지 않은 현재의 작품이며, 그것은 '이러해야 한다'라는 미래지향성을 지니고 있다. 말하자면 비평가는 미래의 무엇인가를 내포하고 있는 예술을 지지하는 만큼 미래를 예견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예술사는 개별 작품을 연구하여 작품 상호간의 역사적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런데 예술사의 대상은 예술비평의 대상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과거의 작품이며, '그것은 이러했다' 라는 과거를 향하고 있다. 결국 미학이란 미적 가치를 규명하는 것이고, 예술비평이란 규준에 의해 예술작품을 평가하는 것이며, 예술사란 개개 작품 상호간의 역사적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5. 미학·예술비평·예술사
비평, 가치, 규준, 평가, 역사
미학의 연구대상인 예술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는 예술비평(Art Criticism)과 예술사(Art History)가 있으며, 여기에서 이들의 의미와 그 관계를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하겠다.
1) 예술비평의 의미
예술비평과 관련하여 볼 때, 비평활동이란 인간의 다양한 활동 가운데 널리 보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평이란 어떤 결점을 찾아내어 비난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원래 비평하다(criticize)의 어원인 그리스어 크리노(krino, )는 판별하다, 선별·추출하다 라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비평의 일반적 의미는 대상의 가치판별이며, 예술비평이란 예술작품을 대상으로 하는 비평을 말한다. 그런 만큼 예술비평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예술작품의 가치판정, 즉 작품의 우열을 판정하는 것이다.
드레스드너(A. Dresdner)는 《예술비평의 성립》(1915)에서 예술비평과 예술판단을 구별했다. 그에 의하면 예술판단(Kunsturteil)은 예술창작과 마찬가지로 고대로부터 존재해 왔고, 이것이 역사의 어느 시점에서 고유한 문학적 형식을 채용함으로써 새로운 문학적 장르로 성립되었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예술비평(Kunstkritik)인 것이다. 결국 예술비평이란 작품의 평가와 그 이유가 언어적 문서적 형식으로 조직화된 것을 말한다. 그런데 비평가가 작품의 가치를 판정하는데 일정한 규준(criterion)이 요구된다. 비평가는 미적 가치의 규준에 입각하여 평가를 내리는데, 그는 해당 작품의 열등한 점과 훌륭한 점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평가의 이유 또는 근거를 설명하는 것이다.
2) 예술사와 예술비평
예술비평과 친근한 학문의 영역으로 예술사를 들 수 있다. 현대의 예술사는 주로 개별적인 작품이나 작가의 연구에 주력하고 있고, 개개 작품의 정확한 이해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예술비평과 상통한다. 말하자면 비평과 예술사는 작품의 객관적 해석을 통해 상호접근하고 있다. 한편 벤투리(L. Venturi, 1885-1961)는 《예술비평사》에서 예술비평에 역사적 지식은 불가결하며, 예술사에도 평가가 개입된다는 근거에서 예술비평과 예술사의 동일성을 주장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비평가는 작품을 역사적으로 연구하지 않고서는 작품을 이해할 수 없고 이해하지 않고서는 판단할 수 없는 반면에, 예술사가는 작품을 판단하지 않고서는 이해할 수 없다.
3) 미학·예술비평·예술사의 관계
미학과 예술비평 및 예술사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지만, 과제는 서로 다르다. 즉 미학은 미적 가치 그 자체를 추구한다. 따라서 보편을 지향한다. 따라서 개개 작품을 떠나 가치일반 혹은 보편적인 미 그 자체를 추구한다. 예술비평은 개별적인 작품을 평가하는 만큼 개별을 지향하며 개개 작품의 구체적인 가치를 찾아내는 것이다. 그리고 예술비평의 대상은 평가가 행해지지 않은 현재의 작품이며, 그것은 '이러해야 한다'라는 미래지향성을 지니고 있다. 말하자면 비평가는 미래의 무엇인가를 내포하고 있는 예술을 지지하는 만큼 미래를 예견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예술사는 개별 작품을 연구하여 작품 상호간의 역사적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런데 예술사의 대상은 예술비평의 대상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과거의 작품이며, '그것은 이러했다' 라는 과거를 향하고 있다. 결국 미학이란 미적 가치를 규명하는 것이고, 예술비평이란 규준에 의해 예술작품을 평가하는 것이며, 예술사란 개개 작품 상호간의 역사적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영화평론] 8월의 크리스마스 미학적 분석
변강쇠가 (작품분석, 특징, 상징적 의미, 미학적 특질)
[예술][예술 미학적 의의][예술 미학적 특성][예술 미학적 향유][건축예술 미학][예술 지향 ...
고전소설의 미학, 고전소설의 민족미학, 미학적 영웅소설, 미학적 역사소설, 염상섭 소설의 ...
[영화미학][영화미학 출발][영화미학 문제점][영화미학 수용 사례][크라카우어 영화미학]영화...
[상품미학][상품미학의 의미][상품미학과 가상성][상품미학과 대중문화][상품미학에 대한 비...
[미학][미학의 역사][미학의 통일성][마르크스주의 미학][슈투름운트드랑의 미학][아방가르드...
[미학][미학의 유래][미학의 의의][한국전통의 미학][탈춤의 미학][서예의 미학][역사소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