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Ⅰ. 욕구조사
1. 욕구의 정의
1) 욕구의 개념
2. 욕구조사의 개념
3. 욕구 조사의 접근 방법
1) 클라이언트 중심의 욕구조사
2) 서비스 중심의 욕구조사
3) 지역사회 중심의 욕구조사
4. 욕구조사의 자료수집 방법
1) 지역사회 공개토론회
2) 주요 정보제공자조사
3) 사회지표조사
4) 서베이 조사
5) 델파이법의 절차
6) 이차적 자료 분석
Ⅱ. 평가조사
1. 평가조사의 개념
2. 평가조사의 목적 (사업 평가의 목적)
3. 사업평가의 종류와 내용
1) 사용목적
2) 평가주체
3) 사업평가 내용에 대한 기준
4. 사업평가조사의 절차
5. 결과(종속변수)의 측정
1) 결과 측정의 대상
2) 결과 측정의 기준
Ⅰ. 욕구조사
1. 욕구의 정의
1) 욕구의 개념
2. 욕구조사의 개념
3. 욕구 조사의 접근 방법
1) 클라이언트 중심의 욕구조사
2) 서비스 중심의 욕구조사
3) 지역사회 중심의 욕구조사
4. 욕구조사의 자료수집 방법
1) 지역사회 공개토론회
2) 주요 정보제공자조사
3) 사회지표조사
4) 서베이 조사
5) 델파이법의 절차
6) 이차적 자료 분석
Ⅱ. 평가조사
1. 평가조사의 개념
2. 평가조사의 목적 (사업 평가의 목적)
3. 사업평가의 종류와 내용
1) 사용목적
2) 평가주체
3) 사업평가 내용에 대한 기준
4. 사업평가조사의 절차
5. 결과(종속변수)의 측정
1) 결과 측정의 대상
2) 결과 측정의 기준
본문내용
황에서 어떻게 운영 되느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고 이런 변수들이 프로그램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결변수 : 실제적인 개입활동과 개입의 결과사이에서 인과적 결과의 작용을 하는 변수. 연결변수는 개입활동에서 개입의 목표사이에 중간목표를 설정되어 질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론상인과적인 연결을 갖고 있는 변수이다.
(3) 종속변수 - 실제적 개입의 결과 즉 변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
(4) 이 단계에서는 독립변수,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를 확인하고 사업평가의 목적 및 내용과 관련하여 어떤 변수를 선정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5) 이용 가능한 자료 및 측정도구의 결정
6) 새로운 측정도구의 개발
7) 적절한 조사 설계 형태의 결정
8) 조사의 수행
9) 결과의 분석 및 해석
10) 결과의 보고 및 실제적 이용
5. 결과(종속변수)의 측정
1) 결과 측정의 대상
(1) 개인에 있어서의 변화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지적 또는 감정적 상태에 있어서 변화의 정도
프로그램 참여자의 행동 또는 건강 상태에 있어서의 변화의 정도
지역사회 내에서 서비스를 받은 개인들 전체에 있어서의 변화 정도
(2) 서비스 전달 체계의 운영에 있어서의 변화 - 서비스의 접근, 계속성, 서비스의 단편성,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책임성에 관련되는 사항의 변화를 측정.
2) 결과 측정의 기준
(1) 절대적 기준(규범적 기준)
(2) 상대적 기준
(3) 측정 자료의 출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실천가
클라이언트 주위의 사람
기록된 자료
판정자 : 판정자는 자료에 대한 상당히 복잡한 판정을 하도록 요청된 자를 말한다.
연결변수 : 실제적인 개입활동과 개입의 결과사이에서 인과적 결과의 작용을 하는 변수. 연결변수는 개입활동에서 개입의 목표사이에 중간목표를 설정되어 질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론상인과적인 연결을 갖고 있는 변수이다.
(3) 종속변수 - 실제적 개입의 결과 즉 변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
(4) 이 단계에서는 독립변수, 매개변수 및 종속변수를 확인하고 사업평가의 목적 및 내용과 관련하여 어떤 변수를 선정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5) 이용 가능한 자료 및 측정도구의 결정
6) 새로운 측정도구의 개발
7) 적절한 조사 설계 형태의 결정
8) 조사의 수행
9) 결과의 분석 및 해석
10) 결과의 보고 및 실제적 이용
5. 결과(종속변수)의 측정
1) 결과 측정의 대상
(1) 개인에 있어서의 변화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지적 또는 감정적 상태에 있어서 변화의 정도
프로그램 참여자의 행동 또는 건강 상태에 있어서의 변화의 정도
지역사회 내에서 서비스를 받은 개인들 전체에 있어서의 변화 정도
(2) 서비스 전달 체계의 운영에 있어서의 변화 - 서비스의 접근, 계속성, 서비스의 단편성,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책임성에 관련되는 사항의 변화를 측정.
2) 결과 측정의 기준
(1) 절대적 기준(규범적 기준)
(2) 상대적 기준
(3) 측정 자료의 출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실천가
클라이언트 주위의 사람
기록된 자료
판정자 : 판정자는 자료에 대한 상당히 복잡한 판정을 하도록 요청된 자를 말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Hungerford의 책임있는 환경행동(REB)과 환경쟁점 조사 평가 및 행동 (IEELA)
교원평가제도 조사 보고서
[행정조사방법론] 욕구단계이론에 따른 일선경찰공무원의 의식조사
측정의 평가기준인 신뢰도 및 타당도의 제고방안 (사회복지조사론 기말고사 레포트)
[지역사회복지실천 사례조사 및 평가]
사회조사 분석 평가서 (공공부조 서비스 전달과정에 대한 수급자의 만족도 조사, 국민기초생...
[중소기업경영론] 주위의 중소기업을 하나 선정, 그곳의 마케팅전략을 조사하고 평가하라, ...
단일사례설계로 실시된 연구를 찾아 그 수행과정(문제의 확인, 변수의 선정, 측정대상, 개입...
아동복지사업과 관련해 최근 대한민국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드림스타트, 디딤씨앗통...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사업과 관련해 최근 대한민국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에 대해 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