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에 관한 실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조에 관한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BSTRACT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1-1. 실험 목적
1-2. 이 론
1-2-1. 건 조
1-2-2. 건조의 방법 과 종류
1-2-3. 건조속도
1-2-3-1. 항률 건조 속도
1-2-3-2. 감률 건조 속도

2. EXPERIMENTAL
2-1 기구 및 시약
2-2 실험 절차

3. RESULTS & DISCUSSION
3-1 Raw Data
3-2. RESULTS
3-2. DISCUSSION

4. REFERENCES

본문내용

··10-4)
0
4.2
0.0132
4.5
0.0142
1
2.4
0.00756
71.4
2.9
0.00916
63.5
2
1.9
0.00599
19.8
2.5
0.00789
15.9
3
1.5
0.00473
15.9
2.1
0.00664
15.9
4
1.2
0.00378
11.9
1.9
0.00600
7.9
5
1.0
0.00315
7.9
1.7
0.00534
7.9
6
0.7
0.00221
11.9
1.4
0.00442
11.9
7
0.6
0.00189
3.9
1.3
0.00411
3.9
8
0.3
0.00095
11.9
1.1
0.00348
7.9
9
0.2
0.00063
3.9
1.1
0.00348
0
10
0.2
0.00063
0.0
1.1
0.00348
0
11
0.1
0.00032
3.9
1.0
0.00316
3.9
12
0
0
3.9
0.8
0.00253
7.9
13
-
-
-
0.7
0.00221
3.9
14
-
-
-
0.7
0.00221
0
15
0.6
0.00189
3.9
16
0.5
0.00158
3.9
17
0.3
0.00095
7.9
18
0.2
0.00063
3.9
19
0.2
0.00063
0
20
0.1
0.00032
3.9
21
0.0
0
3.9
22
0.0
0
0
23
-
-
-
24
-
-
-
Table 3. 45℃에서의 습기량(X')과 R 값
Table 3.에서는 45℃에서의 액체의 무게와 습기량, R값을 계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7. 45℃에서 20~30mesh의 습기량(X')과 시간 그래프.
Fig.8. 45℃에서 30~50mesh의 습기량(X')과 시간 그래프.
Fig.7.과 Fig.8. 에서는 45℃에서의 모래의 습기량(X')과 시간간의 관계를 알수 있는데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습기량이 낮이 짐을 알 수 있다.
Fig.9. 45℃에서 20~30mesh의 습기량(X')과 R 그래프.
Fig.10. 45℃에서 30~50mesh의 습기량(X')과 R 그래프.
Fig.9.과 Fig.10.에서는 45℃에서의 모래의 습기량(X')과 R간의 관계를 알 수 있는데 들쑥날쑥 하기는 하지만 습기량(X')이 작아질수록 R의 값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3-2-2. 50℃에서의 습기량(X')과 R 값 계산
* 액체의 무게 = 젖은 모래의 무게-건조모래의 무게
* 습기량(X') =액체의 무게/건조모래의 무게
* R(g/min ··10-4)=감소된 액체의 양(g)/시간(min)·Tray 면적()
Table 4. 50℃에서의 습기량(X')과 R 값
20~30mesh
30~50mesh
시간
액체의 무게(g)
습기량(X')
R(g/min ··10-4)
액체의 무게(g)
습기량(X')
R(g/min ··10-4)
0
1.5
0.00472
2.4
0.00756
1
0.7
0.00220
31.7
1.2
0.00378
47.6
2
0.4
0.00126
11.9
0.8
0.00252
15.8
3
0
0
15.9
0.5
0.00157
11.9
4
-
-
0.3
0.00094
7.9
5
-
-
0.2
0.00063
3.9
6
0.2
0.00063
0
7
0.1
0.00031
3.9
8
0.0
3.9
9
0.0
0
10
-
-
Table 4.에서는 50℃에서의 액체의 무게와 습기량, R값을 계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11. 50℃에서 20~30mesh의 습기량(X')과 시간 그래프.
Fig.12. 50℃에서 30~50mesh의 습기량(X')과 시간 그래프.
Fig.11.과 Fig.12. 에서는 50℃에서의 모래의 습기량(X')과 시간간의 관계를 알수 있는데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습기량이 낮이 짐을 알 수 있다.
Fig.13. 50℃에서 20~30mesh의 습기량(X')과 R 그래프.
Fig.14. 50℃에서 30~50mesh의 습기량(X')과 R 그래프.
Fig.13.과 Fig.14.에서는 50℃에서의 모래의 습기량(X')과 R간의 관계를 알 수 있는데 Fig.13의 경우는 금방 건조가 되어서 인지 Fig.9.과 Fig.10.에서 보여지는 관계는 보이지 않았고 Fig.14.에서는 Fig.9.과 Fig.10.에서와 같이 들쑥날쑥 하기는 하지만 습기량(X')이 작아질수록 R의 값이 작아짐을 알 수 있다.
3-3. DISCUSSION
이번 실험은 일정한 조건에서 건조기를 사용하여 모래의 크기와 온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습기량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측정하고, 건조속도와 습기량을 그래프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론에서 나와 있는 이론상의 항률 건조 속도와 감률 속도와의 비교는 구해보려 노력했으니 능력부족으로 인하여 알아내지는 못하였다. 우리가 실험했던 Raw data로만 습기량과 R값을 구해내어 그들의 관계만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것도 건조기의 조작 미숙 탓인지 온도의 오차는 약 ±3℃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R의 값은 둘쑥날쑥 한 값을 가지게 되게 나왔다. 그리고 건조기을 열고 무게를 재고 다시 넣는 과정에서도 온도의 차이가 생겨 일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가 되어서 오차는 발생하기 마련이였다. 건조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고정되어있다면 오차의 범위는 줄어들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 하나의 오차를 생각해본다면 고르지 않았던 모래의 높이와 골고루 적시지 못했던 수용액의 차이로 건조가 되는 부분의 차이를 느끼기도 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습기량과 건조속도 R의 구하는 방법을 숙지하였으나. 이론값을 제대로 알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많았던 실험이였다.
4. REFERENCES
1. 화학공학실험 Ⅱ, 김기주 저, 전북대학교공과대학화학공학부, p.18~p.22
2. http://www.cheric.org/ippage/d/ipdata/2002/02/file/d200202-13.hwp
3. http://myhome.naver.com/drytech
4. http://ct.or.kr/~chem/page/study/experiment/exp_chem/chem_pro....
5. http://www.samjinuc.com/pro1/p14.htm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11.2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