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유물의보존처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목재유물의보존처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재유물의 정의
2. 재질 특성
2.1 목재의 구조
2.2 화학적 조성
2.3 함수율
3. 열화 요인
3.1 생물학적 요인
3.2 기상열화
3.3 열열화
3.4 화학적 열화
3.5 기계적 열화
4. 목재유물의 분류와 보존
4.1 건조목재
4.2 수침목재
4.3 약품처리방법
5. 목재유물의 보관
5.1 보관환경
5.2방충, 방부처리

본문내용

렬이 다
른 건조법에 비해 많이 일어난다.
- 진공동결건조
목재가 함유한 수분을 동결한 후 고진공상태에서 제거하는 것으로 건조과정에서 목재의 수축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40℃ 전후의 온도에서 완전히 동결시킨 후 약 1/7000기압의 고진공환경에서 건조를 시킨다.
장점: 치수의 안정화 효과가 높고 처리기간이 짧다. 목재의 자연스러운 색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전처리 약제 조절을 통한 물성 조절과 재처리가 가능하다.
단점: 고비용의 시설 투자와 전기료 등 부대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처리 후 목재의 기계적
강도 향상이 되지 않는다. 동결시 표면에 미세한 균열들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 조습건조법
대형의 유물 같이 진공동결건조법을 적용할 수 없을 때 유용한 방법으로 건조응력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간에 유물을 넣고 내부의 습도를 RH 90%이상에서 시작하여 RH 60%이하로 서서히 낮추는 건조방법이다.
장점: 대형 목조문화재에 적용이 가능하고, 자연건조법에 비해 낮은 농도의 약제함침이 가
능하다.
단점: 정확한 습도조절이 어렵고 장기간에 기기 사용으로 부대비용이 크다.
5. 목재유물의 보관
5.1 보관환경
처리가 완료된 유물의 보관은 온도 18~23°C, 상대습도 55~65% (칠기의 경우 70%)를 유지한다. 변동폭은 ±2°C, 상대습도 ±5% 이하로 적어야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방충, 방균 처리를 하여 목재유물이 해충, 균류에 의해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5.2방충, 방부처리
5.2.1 처리방법
- 훈증소독
살충을 목적으로 할 경우 기온은 25℃, 훈증시간은 24시간이지만 훈증제는 Methyl bromide 또는 Ethylene oxide와 Methyl bromide 혼합제[Methyl bromide(86%)+ Ethylene oxide(14%)]를 35-50g/㎥으로 사용하는 것을 표준으로 하고 훈증 중의 가스농도를 20g/㎥이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 이산화탄소(CO2), 질소(N2) 소독법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가스 속에서 해충을 질식 시키는 방법이다. 기존의 Ethylene oxide와 Methyl bromide를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약제의 독성이 없는 것이 장점이나 살균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며 살충소독만 가능하다.
- 냉동살충법
이 방법 역시 살충만을 목적으로 하는 소독법으로 부피가 작은 서적 등 지류문화재에 적용할 수 있다. -20℃ 이하의 온도로 대상물을 냉동하여 해충을 사멸하는 것으로 냉동 과정에서 과도 건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소독 대상물을 냉동 전에 비닐지 등으로 밀봉처리 하여야 한다.
5.2.2 방충제
주로 쓰이는 방충제로는 파라디클로로벤젠(P-dichlorobenzen), 피레스로이드(pyrethroid) 등이 있다.
파라디클로로벤젠은 휘발성 방충제중 비교적 약해가 적고 살충효력은 강하며 밀폐공간에서 15~20g/㎥으로도 충분한 효력을 나타내지만 실제적으로 공기 유통이 있으므로 40g/㎥이 표준사용량이 된다.
피레스로이드는 합성살충제를 총칭한 것이다. 이것은 모기향으로 널리 쓰이며, 인체에 독성이 매우 낮고 속효성인 동시에 살충력이 강하다. 주로 천공충에는 활성과 안정성이 있다.
5.2.3. 방균제
방균제에는 p-formaldehyde와 Thymol은 방균효과를 나타내며 유물에 대한 피해나 영향이 다른 것들에 비해 적은 약제이다.
그러나 파라포름알데하이드는 다습한 환경에서 사용하면 금속에 녹이 발생될 우려가 높고 티몰은 고온 고습조건에서 납, 구리 등의 부식을 일으키며 아마인류 같은 건성유를 용해시키므로 유화가 있는 곳에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9.21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