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불상의 정의
Ⅱ 불상의 기원
Ⅲ 불상의 형식
1. 32길상(吉相), 80종호(種好)
2. 광배(光背)
3. 대좌(臺座)
4. 자세
5. 손가짐(印契)
6. 의복
Ⅳ 불상의 종류
1. 형태에 따른 분류
2. 교리에 따른 분류
Ⅱ 불상의 기원
Ⅲ 불상의 형식
1. 32길상(吉相), 80종호(種好)
2. 광배(光背)
3. 대좌(臺座)
4. 자세
5. 손가짐(印契)
6. 의복
Ⅳ 불상의 종류
1. 형태에 따른 분류
2. 교리에 따른 분류
본문내용
형상화한 것이다. 대승불교가 나타나면서 등장하면서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하여 여러 종류의 부처가 등장하고 석가모니불, 비로자나불, 아미타불, 약사불, 미륵불 등과 천불이나 3천불 등의 시간불, 53불이나 만불 같은 다불 그리고 4방불, 5방불 등의 방위불이 만들어졌다.
1) 석가불상(釋迦佛像)
석가불은 불교를 창시한 교주이다. 인도 초기의 불상은 거의가 석가불이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시대나 석가불이 가장 많이 만들어졌다.
*종파: 법화경에 의한 범화, 천태사상의 본존불
*수인(手印): 석가 5인을 모두 지을 수 있으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 별인(別印)이다.
*협시보살(脇侍菩薩): 문수(文殊)ㆍ보현(普賢)보살, 관음(觀音)ㆍ미륵(彌勒)보살등
*봉안(奉安)된 불전: 대웅전(大雄殿)
2) 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
현상세계에 나타난 화신(化身) 부처님의 원래모습으로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가 비로자나불이다. 그래서 진신(眞身) 또는 법신(法身)이라 말하고 있다. 비로자나는 범어로 'vairocana'인데 한문으로는 '遍一切處, 光明遍照, 遍照’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즉 부처의 광명이 어디에나 두루 비친다는 뜻이다.
*종파: 화엄종의 주존불, 선종과 밀교의 주불
*수인: 지권인(智券印)
*협시보살: 문수ㆍ보현보살
*봉안된 불전: 대광명전(大光明殿) (혹은 대적광전(大寂光殿))
3) 아미타불상(阿彌陀佛像)
아미타불은 영원한 수명과 무한한 광명을 보장해주는, 즉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영원한 부처님이라는 뜻으로 서방극락(西方極樂)을 주재하면서 뭇 중생들에게 자비를 베푸는 분이다. 말하자면, 어떤 중생이라도 착한 일을 하고 아미타불을 지극 정성으로 부르면 서방극락의 아름다운 정토로 맞아 가는 그런 부처님이다. 아미타불은 신분의 고하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보다 평안한 삶과 안락한 정토세계를 보장해주는 부처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특히 하층민들에게는 구세주로 절대시되었다. 따라서 불상으로 가장 많이 조형화 되었다.
*수인: 아미타정인(阿彌陀定印), 9품인(九品印)
*협시보살: 관음ㆍ세지(勢至)보살, 관음ㆍ지장(地藏)보살 또는 아미타 8대 보살(관음, 세지(또는 허공장), 문수, 보현, 금강장, 제장애, 미륵, 지장보살)
*봉안된 불전: 무량수전(無量壽殿), 극락전(極樂殿), 아미타전(阿彌陀殿)
4) 약사불상(藥師佛像)
불교가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질병의 고통을 없애주는 의사격인 부처도 크게 요구되었는데, 여기에 부합해서 출현한 부처가 바로 약사불이다.
*수인: 약기인(藥器印)
*협시보살: 일광보살(日光菩薩), 월광보살(月光菩薩), 약사 12지신상
*봉안된 불전: 약사전(藥師殿)
5) 미륵불상(彌勒佛像)
메시아로 널리 알려진 미래불(未來佛). 사회가 불안하고 나라가 혼란할 때는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지상낙원을 꿈꾸게 되는데,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복음적인 부처가 바로 미륵불이다.
*종파: 법상종의 주존불
*수인: 사유인(思惟印)
*협시보살: 청광보살(靑光菩薩), 신광보살(神光菩薩)
*봉안된 불전: 용화전(龍華殿)
1) 석가불상(釋迦佛像)
석가불은 불교를 창시한 교주이다. 인도 초기의 불상은 거의가 석가불이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시대나 석가불이 가장 많이 만들어졌다.
*종파: 법화경에 의한 범화, 천태사상의 본존불
*수인(手印): 석가 5인을 모두 지을 수 있으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 별인(別印)이다.
*협시보살(脇侍菩薩): 문수(文殊)ㆍ보현(普賢)보살, 관음(觀音)ㆍ미륵(彌勒)보살등
*봉안(奉安)된 불전: 대웅전(大雄殿)
2) 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
현상세계에 나타난 화신(化身) 부처님의 원래모습으로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가 비로자나불이다. 그래서 진신(眞身) 또는 법신(法身)이라 말하고 있다. 비로자나는 범어로 'vairocana'인데 한문으로는 '遍一切處, 光明遍照, 遍照’등으로 번역되고 있다. 즉 부처의 광명이 어디에나 두루 비친다는 뜻이다.
*종파: 화엄종의 주존불, 선종과 밀교의 주불
*수인: 지권인(智券印)
*협시보살: 문수ㆍ보현보살
*봉안된 불전: 대광명전(大光明殿) (혹은 대적광전(大寂光殿))
3) 아미타불상(阿彌陀佛像)
아미타불은 영원한 수명과 무한한 광명을 보장해주는, 즉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영원한 부처님이라는 뜻으로 서방극락(西方極樂)을 주재하면서 뭇 중생들에게 자비를 베푸는 분이다. 말하자면, 어떤 중생이라도 착한 일을 하고 아미타불을 지극 정성으로 부르면 서방극락의 아름다운 정토로 맞아 가는 그런 부처님이다. 아미타불은 신분의 고하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보다 평안한 삶과 안락한 정토세계를 보장해주는 부처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특히 하층민들에게는 구세주로 절대시되었다. 따라서 불상으로 가장 많이 조형화 되었다.
*수인: 아미타정인(阿彌陀定印), 9품인(九品印)
*협시보살: 관음ㆍ세지(勢至)보살, 관음ㆍ지장(地藏)보살 또는 아미타 8대 보살(관음, 세지(또는 허공장), 문수, 보현, 금강장, 제장애, 미륵, 지장보살)
*봉안된 불전: 무량수전(無量壽殿), 극락전(極樂殿), 아미타전(阿彌陀殿)
4) 약사불상(藥師佛像)
불교가 대중화되기 시작하면서 질병의 고통을 없애주는 의사격인 부처도 크게 요구되었는데, 여기에 부합해서 출현한 부처가 바로 약사불이다.
*수인: 약기인(藥器印)
*협시보살: 일광보살(日光菩薩), 월광보살(月光菩薩), 약사 12지신상
*봉안된 불전: 약사전(藥師殿)
5) 미륵불상(彌勒佛像)
메시아로 널리 알려진 미래불(未來佛). 사회가 불안하고 나라가 혼란할 때는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지상낙원을 꿈꾸게 되는데,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복음적인 부처가 바로 미륵불이다.
*종파: 법상종의 주존불
*수인: 사유인(思惟印)
*협시보살: 청광보살(靑光菩薩), 신광보살(神光菩薩)
*봉안된 불전: 용화전(龍華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