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과 부엌 인테리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식당(Dining room)
1-1 식당의 기능
1-2 식당의 규모와 유형
1-3 식당의 가구
1-4 식당의 세부계획

2. 부엌(Kitchen)
2-1 부엌의 위치 및 크기
2-2 부엌의 유형
2-3 부엌의 동선과 규모
2-4 작업대
2-5 부엌의 세부계획

본문내용

수 납하는 장, 주택 전체의 규모, 가족의 수, 접객빈도, 식생활 패턴 등에 의해 결정한다.
2-4 작업대
작업대는 부엌에서 취사가 행해지는 곳으로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가 기능적이다.
- 준비대 : 조리에 앞서, 계량, 분류, 기록 등이 행해지는 작업대이다.
- 개수대 : 식품, 식기, 기구 등을 세척하는 작업대이다.
- 조리대 : 음식을 자르고 혼합하는 곳으로 조미료, 식기, 시품, 조리기구등이 위치한다.
- 가열대 : 식품을 끓이거나 구울 수 있는 레인지나 오븐등의 가열기가 놓인다.
- 배선대 : 조리된 음식을 담고 식탁으로 서비스하기 위힌 작업대이다
작업대의 배치에 의한 유형은 일렬형, 병렬형, L자형, ㄷ자형으로 나누어지며 각 유형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일렬형 : 작업대를 일렬로 한 벽면에 배치한 형태이다. 부엌의 폭이 좁은 경우나 공간의 여유가 없을 경우에 적용되며 총 길이는 3000mm을 넘지 않도록 한다.
(2) 병렬형 : 양쪽 벽면에 작업대를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형태이다. 동선이 짧아 효과적이나 돌아보는 동작이 많아 쉽게 피로해지므로 적절한 통로 폭을 취해야 한다. 작업통로는 최소 700mm이며 1000mm 전후가 적당하나 1200mm 이하가 되도록 한다.
(3) L자형 : 작업대를 인접한 양면에 L자형으로 배치하여 동선의 흐름이 자연스러운 형태이다. 꺾어진 중심에 섰 을 때 작업대의 배치가 양손의 동작범위 안에 들어와야 편리한 작업대 배치이다. 일반적으로 여유공간에 식탁 을 배치하면 다이닝 키친이 되므로 공간사용에 효과적이다.
(4) ㄷ자형 : 인접한 세 벽면에 작업대를 배치한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에 개수대를 두고 좌우에 조리대, 가열 대를 배치한다. 가장 편리하고 능률적인 배치형태로 작업대의 통로 폭은 1200∼1500mm 정도가 적당하다.
대규모의 부엌에서 많이 사용한다.
<그림> 작업대의 배치유형
<그림> 작업대의 수납
2-5 부엌의 세부계획
(1) 조명계획 : 전체조명과 작업대 위를 비추는 국부 조명이 필요하다. 광원이 시선안에 놓일 경우 차광판이 있는 조명기구를 사용하거나 선반의 앞판을 내려서 차광한다.
(2) 색채계획 : 피로감을 덜어주고 밝고 청결한 분위기를 형성하는 색채가 바람직하다. 바닥, 벽, 천장은 연한 동 색계로 계획하며 바닥과 천장은 안정감이 있도록 약간 어두운 색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3) 마감재료 : 바닥은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내수성, 내마모성이 있어야 하며 청소하기 용이해야 한다.
- 바닥재는 비닐계 시트, 목재 플로링, 아스 타일, 비닐 타일, 코르크 타일 등이 많이 사용된다.
- 벽은 내수성, 내화성, 내열성, 내유성이 강해야 하며 물로 청소가 가능해야 한다. 벽 재료로는 타일, 비닐 벽 지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 천장은 내화성, 내습성이 강한 알루미늄, 석면판, 금속판과 같은 재료가 적당하나 일반적으로 비닐벽지가 많 이 사용된다. 그리고 작업대는 스테인리스 스틸, 멜라민 수지판, 대리석 등으로 계획한다.
<그림> 작업대의 조명방법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1.23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47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