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친일파의 형성배경
-친일파 형성
-종교침략과 친일파
-경제침략과 친일파
2)일제시기 친일파의 행동
-3.1운동무렵의 친일파
-일제 문화운동에 동원된 거물급 민족주의자
-내선일체의 기수들
3)친일파의 해방이후
-해방직후의 친일파
-제1공화국과 친일세력
-민족운동가로 둔갑한 친일파
4)친일파의 척결이유
-친일파는 민족왜곡의 주범
◎결론
◎본론
1)친일파의 형성배경
-친일파 형성
-종교침략과 친일파
-경제침략과 친일파
2)일제시기 친일파의 행동
-3.1운동무렵의 친일파
-일제 문화운동에 동원된 거물급 민족주의자
-내선일체의 기수들
3)친일파의 해방이후
-해방직후의 친일파
-제1공화국과 친일세력
-민족운동가로 둔갑한 친일파
4)친일파의 척결이유
-친일파는 민족왜곡의 주범
◎결론
본문내용
와서 식민지로 전락했고 해방 이후에는 역사상 처음으로 남북이 분단되는 상황을 맞이했다. 최근에는 많이 나아졌지만 남북간에는 극단적인 증오가 있어서 우리 사회에는 북녘의 겨레를 같은 민족으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너무나 많았고 비뚤어진 반공교육으로 북한을 도깨비나 이상한 사람들이 사는 지역으로 생각하기까지 했다. 그러니까 분단도 보통의 분단이 아니라 서로를 증오하고 없애버리려고 하는 극단적인 형태의 민족분열 양상을 보였던 것이 해방 이후의 정치상황이었다.
이처럼 근대와 현대라는 가장 소중한 시기에 식민지가 되고 분단이 되어서 서로간에 증오하는 상태가 된 큰 원인은 기본적으로는 제국주의의 침략과 미소의 냉전정책 때문이지만 그것이 한국인들과 완전히 무관한 상태에서 일어났는가 하면 그렇다고만은 할 수 없다.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로 몰고 갈 때 일제의 앞잡이가 되어 "한국이 식민지가 되는 것이 오히려 한국인을 위하여 행복한 일이다. 한국이 자본주의적 발전, 곧 근대화되려면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것이 오히려 좋은 일이다."라고 하며 오히려 일제의 한국 침략을 요구하는 한국인들이 있었다. 이른바 친일개화파라는 존재가 그들이다. 그리고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했을 때는 그 식민지지배에 빌붙어 관리가 되거나 친일경찰이 되거나 헌병보조원이 되어 민중을 탄압하고 애국자를 때려잡으면서 일제에 갖은 아부와 충성을 다하던 제 나라 말조차 쓰지 않고 일본말을 쓰던 한국인들이 다수 있었다. 이런 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일제가 한국을 지배하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마찬가지로 해방 이후에는 친일파들이 '이제 신세 망쳤구나, 일본이 망했으니 우리도 망했다, 우리가 살려면 미국을 등에 업고 단독정부를 수립하는 길밖에 없지 않느냐, 왜냐하면 통일된 나라가 선다면 친일파 처단이 가장 중요한 민족적 과제이기 때문에 우리들이 처단될 것이 아니냐, 그렇게 되기보다는 차라리 반동강이라도 우리 친일파가 두 다리 쭉 뻗고 살 수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방된 지 불과 한두 달 후부터 갖게 된 자들이 준동 하기 시작하였고, 그런 것이 씨앗이 되어 분단에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을 간과할 수 없다. 한국에 극우 반공체제가 40년 이상 그렇게 극단적인 형태로 존재했던 것도 역시 친일파라는 존재와 땔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친일파는 바로 한국 민족문제를 잘못되게 이끌고, 일대 혼탁한, 그리고 거꾸로 된 역사를 만든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는 친일 했던 일제하의 행위가 아니라 참회와 반성이 없었다는 해방 후의 현실이 문제다. 이 문제에 대한 뼈를 깍는 고통과 노력을 통한 시정이 없는 한 우리의 민족사회의 기강은 헛말이다. 민족사에서 우리는 부끄러운 조상임을 면할 길이 없게 되는 것이다.
◎결론
이와 같이 친일파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이미 지나간 과거의 문제를 새삼 끄집어내어 문제를 일으키냐고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친일파 문제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아직도 우리 사회 속에 뿌리박혀 있는 현재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 당시 친일 행각을 했던 대다수 사람들은 지금은 땅속에 묻혀 법률적으로 심판할 수 없겠지만 이제 우리는 역사 속에서 그들을 심판하여 그것을 교훈으로 삼아 우리의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현재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하는 일본과도 우리는 풀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다. 자꾸만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독도문제라든가 아니면 위안부 문제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다. 그러기 위해선 우리 사회 속에 자리잡고 있는 친일파 문제부터 해결하고 나서부터 국민의 여론과 지지 속에 저들과 싸워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참 고 문 헌>
강만길,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김학민.정운현, 친일파 죄상기, 학민사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 99인 ②, 돌배개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 그 과거와 현재, 아세아문화사
임종국, 실록 친일파, 돌베개
임종국, 일제침략과 친일파, 청사출판사
◇목차
◎서론
◎본론
1)친일파의 형성배경
-친일파 형성
-종교침략과 친일파
-경제침략과 친일파
2)일제시기 친일파의 행동
-3.1운동무렵의 친일파
-일제 문화운동에 동원된 거물급 민족주의자
-내선일체의 기수들
3)친일파의 해방이후
-해방직후의 친일파
-제1공화국과 친일세력
-민족운동가로 둔갑한 친일파
4)친일파의 척결이유
-친일파는 민족왜곡의 주범
◎결론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와서
“친일파에 대한 재조명”
이처럼 근대와 현대라는 가장 소중한 시기에 식민지가 되고 분단이 되어서 서로간에 증오하는 상태가 된 큰 원인은 기본적으로는 제국주의의 침략과 미소의 냉전정책 때문이지만 그것이 한국인들과 완전히 무관한 상태에서 일어났는가 하면 그렇다고만은 할 수 없다.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로 몰고 갈 때 일제의 앞잡이가 되어 "한국이 식민지가 되는 것이 오히려 한국인을 위하여 행복한 일이다. 한국이 자본주의적 발전, 곧 근대화되려면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것이 오히려 좋은 일이다."라고 하며 오히려 일제의 한국 침략을 요구하는 한국인들이 있었다. 이른바 친일개화파라는 존재가 그들이다. 그리고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했을 때는 그 식민지지배에 빌붙어 관리가 되거나 친일경찰이 되거나 헌병보조원이 되어 민중을 탄압하고 애국자를 때려잡으면서 일제에 갖은 아부와 충성을 다하던 제 나라 말조차 쓰지 않고 일본말을 쓰던 한국인들이 다수 있었다. 이런 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일제가 한국을 지배하는 것이 가능했던 것이다. 마찬가지로 해방 이후에는 친일파들이 '이제 신세 망쳤구나, 일본이 망했으니 우리도 망했다, 우리가 살려면 미국을 등에 업고 단독정부를 수립하는 길밖에 없지 않느냐, 왜냐하면 통일된 나라가 선다면 친일파 처단이 가장 중요한 민족적 과제이기 때문에 우리들이 처단될 것이 아니냐, 그렇게 되기보다는 차라리 반동강이라도 우리 친일파가 두 다리 쭉 뻗고 살 수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방된 지 불과 한두 달 후부터 갖게 된 자들이 준동 하기 시작하였고, 그런 것이 씨앗이 되어 분단에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을 간과할 수 없다. 한국에 극우 반공체제가 40년 이상 그렇게 극단적인 형태로 존재했던 것도 역시 친일파라는 존재와 땔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친일파는 바로 한국 민족문제를 잘못되게 이끌고, 일대 혼탁한, 그리고 거꾸로 된 역사를 만든 가장 기본적인 요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는 친일 했던 일제하의 행위가 아니라 참회와 반성이 없었다는 해방 후의 현실이 문제다. 이 문제에 대한 뼈를 깍는 고통과 노력을 통한 시정이 없는 한 우리의 민족사회의 기강은 헛말이다. 민족사에서 우리는 부끄러운 조상임을 면할 길이 없게 되는 것이다.
◎결론
이와 같이 친일파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이미 지나간 과거의 문제를 새삼 끄집어내어 문제를 일으키냐고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친일파 문제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아직도 우리 사회 속에 뿌리박혀 있는 현재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 당시 친일 행각을 했던 대다수 사람들은 지금은 땅속에 묻혀 법률적으로 심판할 수 없겠지만 이제 우리는 역사 속에서 그들을 심판하여 그것을 교훈으로 삼아 우리의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는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현재 가깝고도 먼 나라라고 하는 일본과도 우리는 풀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다. 자꾸만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독도문제라든가 아니면 위안부 문제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일들이 많이 있다. 그러기 위해선 우리 사회 속에 자리잡고 있는 친일파 문제부터 해결하고 나서부터 국민의 여론과 지지 속에 저들과 싸워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참 고 문 헌>
강만길, 한국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김학민.정운현, 친일파 죄상기, 학민사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 99인 ②, 돌배개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 그 과거와 현재, 아세아문화사
임종국, 실록 친일파, 돌베개
임종국, 일제침략과 친일파, 청사출판사
◇목차
◎서론
◎본론
1)친일파의 형성배경
-친일파 형성
-종교침략과 친일파
-경제침략과 친일파
2)일제시기 친일파의 행동
-3.1운동무렵의 친일파
-일제 문화운동에 동원된 거물급 민족주의자
-내선일체의 기수들
3)친일파의 해방이후
-해방직후의 친일파
-제1공화국과 친일세력
-민족운동가로 둔갑한 친일파
4)친일파의 척결이유
-친일파는 민족왜곡의 주범
◎결론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와서
“친일파에 대한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