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채권질권의 설정방식
Ⅲ. 채권질권의 효력( 질권자의 추심권능과 환가권)
Ⅳ. 결론
Ⅱ. 채권질권의 설정방식
Ⅲ. 채권질권의 효력( 질권자의 추심권능과 환가권)
Ⅳ. 결론
본문내용
문제가 되며, 이는 채권의 종류가 채권자가 특정되어 있는 지명채권이다.
제3채무자인 A의 질권설정자 B에 대한 변제는 질권자 C에게 효력이 없으며, C의 청구에 의해 B에 대한 변제와는 별도로 300만원을 다시 변제하여야 한다.(제353조)
또한 A는 B에게 입질채권액인 500만원을 제외하고 C에게 변제한 300만원의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제3채무자인 A의 질권설정자 B에 대한 변제는 질권자 C에게 효력이 없으며, C의 청구에 의해 B에 대한 변제와는 별도로 300만원을 다시 변제하여야 한다.(제353조)
또한 A는 B에게 입질채권액인 500만원을 제외하고 C에게 변제한 300만원의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