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사정
2. 영역별 사정
3. 가족 사정
4. 간호 처치
5. 약물
6. 품행장애 설명
7. 받는 치료 요법
8. 간호과정
9. 그 외 약물과 정신 질환 설명 추가
2. 영역별 사정
3. 가족 사정
4. 간호 처치
5. 약물
6. 품행장애 설명
7. 받는 치료 요법
8. 간호과정
9. 그 외 약물과 정신 질환 설명 추가
본문내용
<간호과정 적용>
간호진단#1
역할 수행 장애
관련요인: 지지체계 부족, 가치관/신념의 차이, 감정조절 능력 부족
객관적 자료: 가출을 자주 한다. 학교 출석을 많이 빠진다. 귀가 시간이 매우 늦다.
주관적 자료: ”어차피 학교 가도 공부하는 것두 아닌데 뭐”””그냥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살지 뭐””
간호목표: 환자는 자기의 역할을 인식하고 말로 표현한다.
환자는 역할갈등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가족내, 사회내에서 환자의 역할을 사정한다.
•역할 수행 장애가 생기게 된 원인을 파악한다.
•환자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관련집단(특히 가족)의 상호작용(대화) 기회를 늘린다.
•자신의 역할에 대해 명확하게 정보를 제공한다.
•역할 수행이 잘 못되었을 경우 확실한 피드백을 주고 자신의 역할 미수행을 시인하고 긍정적인 대응 전력을 규명하도록 지지한다.
간호중재: •가족내, 사회내에서 환자의 역할을 사정한다. (ㅇ)☞ 집안에서 아들로서 할 일과 학교에서 학생으로서의 본분에 대한 이상 모델을 제시하였다.
•역할 수행 장애가 생기게 된 원인을 파악한다. (ㅇ) ☞ 자신의 현 상태에서 가장 문제점이 무엇인지 의견을 들어보고 그것과 역할 수행 장애와의 관련성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다.
•환자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ㅇ)☞최대한 본인의 의견을 존중해주고 이해해주는 듯한 표정과 말투를 일관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 가능한 한 본인의 의견을 많이 표현할 수 있게 해주었다.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관련집단(특히 가족)의 상호작용(대화) 기회를 늘린다. (ㅇ) ☞고민이나 어려움이 있을 시 부모님과 가족은 항상 너를 도울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해주고 “너는 아직 어리니깐 부모님께 의지하고 기대어도 된다. 부모님도 그것을 바라시고 앞으로 더욱 더 너를 이해하려고 애쓰실것이다”라고 이야기해 주었다.
•자신의 역할에 대해 명확하게 정보를 제공한다. (ㅇ)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및 문제해결기술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간호진단#1
역할 수행 장애
관련요인: 지지체계 부족, 가치관/신념의 차이, 감정조절 능력 부족
객관적 자료: 가출을 자주 한다. 학교 출석을 많이 빠진다. 귀가 시간이 매우 늦다.
주관적 자료: ”어차피 학교 가도 공부하는 것두 아닌데 뭐”””그냥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살지 뭐””
간호목표: 환자는 자기의 역할을 인식하고 말로 표현한다.
환자는 역할갈등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가족내, 사회내에서 환자의 역할을 사정한다.
•역할 수행 장애가 생기게 된 원인을 파악한다.
•환자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관련집단(특히 가족)의 상호작용(대화) 기회를 늘린다.
•자신의 역할에 대해 명확하게 정보를 제공한다.
•역할 수행이 잘 못되었을 경우 확실한 피드백을 주고 자신의 역할 미수행을 시인하고 긍정적인 대응 전력을 규명하도록 지지한다.
간호중재: •가족내, 사회내에서 환자의 역할을 사정한다. (ㅇ)☞ 집안에서 아들로서 할 일과 학교에서 학생으로서의 본분에 대한 이상 모델을 제시하였다.
•역할 수행 장애가 생기게 된 원인을 파악한다. (ㅇ) ☞ 자신의 현 상태에서 가장 문제점이 무엇인지 의견을 들어보고 그것과 역할 수행 장애와의 관련성에 대해 이야기 해보았다.
•환자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한다. (ㅇ)☞최대한 본인의 의견을 존중해주고 이해해주는 듯한 표정과 말투를 일관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 가능한 한 본인의 의견을 많이 표현할 수 있게 해주었다.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관련집단(특히 가족)의 상호작용(대화) 기회를 늘린다. (ㅇ) ☞고민이나 어려움이 있을 시 부모님과 가족은 항상 너를 도울 준비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해주고 “너는 아직 어리니깐 부모님께 의지하고 기대어도 된다. 부모님도 그것을 바라시고 앞으로 더욱 더 너를 이해하려고 애쓰실것이다”라고 이야기해 주었다.
•자신의 역할에 대해 명확하게 정보를 제공한다. (ㅇ)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및 문제해결기술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담관낭종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박테리아성 뇌수막염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뇌내출혈 ICH(Intracerebral hemorrhage)
[간호학]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대상자 case
성인간호학 외과 실습 신생물 간호과정 neoplasm case study
울혈성심부전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컨퍼런스 만점 자료
치매(알츠하이머형치매) case study / 정신과 실습 컨퍼런스
유방암 case study [여성병동 실습 컨퍼런스] - 여성간호학 실습 유방암 컨퍼런스
성인간호학 실습 응급실(ER)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늑골골절, 다발성 골절, 폐쇄성 골절, ...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간호진단 2개(질...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ER case study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직장암 case study
지역사회간호학 산업장실습 A+받은 Case study입니다.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 pneumonia unspecified Asthma unspecifie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