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논술형
① 정의와 제작원리
② 논술형 문항의 문제점
③ 논술형 문항의 방향
(2) 단답형
① 정의와 제작원리
② 단답형 문항의 문제점과 방향
(3) 괄호형과 완성형
① 정의와 제작원리
② 괄호형 문항의 문제점과 방향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논술형
① 정의와 제작원리
② 논술형 문항의 문제점
③ 논술형 문항의 방향
(2) 단답형
① 정의와 제작원리
② 단답형 문항의 문제점과 방향
(3) 괄호형과 완성형
① 정의와 제작원리
② 괄호형 문항의 문제점과 방향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ed, yellow, and ( ).
위 영문은 한글로 질문할 때는 “책의 삼원색은 빨강, 노랑, ( )이다.”가 된다. 그러므로 우리 문법에 의한 문항형태를 분류할 때 완성형 문항을 달리 구분하지 않고 괄호형 문항에 완성형 문항을 포함하는 것이 현명하다.
괄호형 문항의 제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ㄱ. 중요한 내용을 여백으로 한다.
ㄴ. 정답이 가능한 단어나 기호로 응답되도록 질문한다.
ㄷ. 교과서에 있는 문장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ㄹ. 질문의 여백 뒤에 조사가 정답을 암시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ㅁ. 여백은 질문의 후미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ㅂ. 여백에 들어갈 모든 정답을 열거한다.
ㅅ. 채점시 여백 하나를 채점 단위로 한다.
② 괄호형 문항의 문제점과 방향
괄호형 문항은 단순한 지식, 개념, 사실 등만을 측정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단답형에 비해 문항 속에 정답의 단서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고, 적용력, 분석력, 종합력과 같은 고차원적인 정신능력을 요구하는 학습 성과를 평가하기가 곤란하다.
Ⅲ.결 론
여기까지 주관식 출제문항의 문제점과 방향을 알아보았다.
주관식 출제문항에는 논술형, 단답형, 괄호형과 완성형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위 세가지 유형의 정의와 제작원리, 그리고 문제점과 방향을 알아보았다.
논술형의 문항은 종합력, 조직력, 창의력, 표현력, 비판력 등과 같이 고차적인 사고 능력을 요구하는 학습결과를 평가해야 할 경우에 적합한 형식이다.
단답형은 주로 지식과 이해력을 측정,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괄호형은 선다형 문항에서 능률적인 오답지를 만들기 어려울 때, 불완전 문장에 있는 용어나 표현을 단서로 사용하여 답을 찾아내도 무방한 경우, 단답형으로 출제하면 출제자가 요구하는 답이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고 애매한 경우 등에 적합한 형식이다.
우리는 논술형, 단답형, 괄호형을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하여 올바른 교육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Ⅳ. 참 고 문 헌
성태제(1996).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김정환(1973). 교육의 본질과 과제. 서울: 박영사.
성태제(1991a). 문항반응이론 입문. 서울: 양서원.
성태제(1993). 차별기능문항 추출을 위한 Raju 방법과 Mantel-haenszel방법의 비교연구. 교육 평가 연구. 제6권 제1호, 91-120.
임의도고종열신세호(1996). 교육목표분류학: 지적 영역. 서울: 배영사.
위 영문은 한글로 질문할 때는 “책의 삼원색은 빨강, 노랑, ( )이다.”가 된다. 그러므로 우리 문법에 의한 문항형태를 분류할 때 완성형 문항을 달리 구분하지 않고 괄호형 문항에 완성형 문항을 포함하는 것이 현명하다.
괄호형 문항의 제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ㄱ. 중요한 내용을 여백으로 한다.
ㄴ. 정답이 가능한 단어나 기호로 응답되도록 질문한다.
ㄷ. 교과서에 있는 문장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ㄹ. 질문의 여백 뒤에 조사가 정답을 암시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ㅁ. 여백은 질문의 후미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ㅂ. 여백에 들어갈 모든 정답을 열거한다.
ㅅ. 채점시 여백 하나를 채점 단위로 한다.
② 괄호형 문항의 문제점과 방향
괄호형 문항은 단순한 지식, 개념, 사실 등만을 측정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단답형에 비해 문항 속에 정답의 단서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고, 적용력, 분석력, 종합력과 같은 고차원적인 정신능력을 요구하는 학습 성과를 평가하기가 곤란하다.
Ⅲ.결 론
여기까지 주관식 출제문항의 문제점과 방향을 알아보았다.
주관식 출제문항에는 논술형, 단답형, 괄호형과 완성형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위 세가지 유형의 정의와 제작원리, 그리고 문제점과 방향을 알아보았다.
논술형의 문항은 종합력, 조직력, 창의력, 표현력, 비판력 등과 같이 고차적인 사고 능력을 요구하는 학습결과를 평가해야 할 경우에 적합한 형식이다.
단답형은 주로 지식과 이해력을 측정,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괄호형은 선다형 문항에서 능률적인 오답지를 만들기 어려울 때, 불완전 문장에 있는 용어나 표현을 단서로 사용하여 답을 찾아내도 무방한 경우, 단답형으로 출제하면 출제자가 요구하는 답이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고 애매한 경우 등에 적합한 형식이다.
우리는 논술형, 단답형, 괄호형을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하여 올바른 교육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Ⅳ. 참 고 문 헌
성태제(1996).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김정환(1973). 교육의 본질과 과제. 서울: 박영사.
성태제(1991a). 문항반응이론 입문. 서울: 양서원.
성태제(1993). 차별기능문항 추출을 위한 Raju 방법과 Mantel-haenszel방법의 비교연구. 교육 평가 연구. 제6권 제1호, 91-120.
임의도고종열신세호(1996). 교육목표분류학: 지적 영역. 서울: 배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