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검사 실시과정
→ 감독자
→ 검사시간 엄수
→ 지시사항 엄수하고 잘 전달해야
→ 시험장 분위기 잘 유지
→ 검사장소의 온도, 빛, 시설이 적절해야 하며 돌발사태가 없어야 한다.
3) 피험자 요인
① 수험동기 ②수험요령 ③ 검사불안 ④ 생리적 요인 ⑤ 심리적 요인 ⑥ 시간착오
⑦ 이기착오 : 답안 작성 과정에서의 실수
4) 채점자 요인 : 채점착오, 합산착오, 이기착오
3. 타당도(Validity)
1) 의미 : 측정하고자 하는 바(목적, 내용, 특성)를 충실하게 측정하는 정도
- 신뢰도 → 정확성
타당성 → 충실성
2) 종류 : APA - 내용타당도, 준거타당도, 주간 타당도(내용타당도를 내용타당도, 목표타당도로 구분)
⇒ 내용 타당도 : 한 검사가 전집의 내용(출제 범위)을 얼마나 충실하게 측정하는 정도
⇒ 목표 타당도 : 검사가 교수목표를 충실하게 측정하는 정도(※ 목표 = 내용+행동)
Ex)
목 표
출 제
연대의 암기
지명의 암기
내용 불일치
원리의 이해
원리의 암기
행동불일치
법칙의 발견
법칙의 발견
목표타당도
높 음
의미 설명
의미 설명
⇒ 준거 타당도 : 검사가 준거(기준)을 충실하게 제어주는 정도
① 예언 타당도 : 검사가 미래 기준 행동을 예언해 주는 정도
Ex)
사범대 적성검사
(예언검사)
10년후 교장 근평
(기준 검사)


사범대 적성 검사에
예언 타당도가 높다




사범대 적성검사의
예언 타당도가 낮다


② 공인 타당도 : 검사가 이미 잘 알려진 검사와 일치하는 정도
- 어떠한 검사 방법을 만들 때 이미 잘 알려진 것과 비교해 봄으로써
Ex 1)
A
B

9
8

7
6

4
4

2
3
Ex 2)
A
B

9
3

7
4

4
6

2
8
=> B가 정확한 측정이라고 인정된 상태라면, A는 1에서는 적절한 검사, 2에서는 부적절한 검사
⇒ 구인타당도(構因)
- 구성인자(Construct)
→ 우리의 정신이나 마음을 구성하고 있다고 보는 요인들(지능, 적성, 흥미, 태도)
→ 구인타당도 : 검사가 구인을 충실하게 재어주는 정도
Ex) 지능검사 : 과연 지능을 충실하게 재어주고 있는가?
제 6장 문항분성
1. 의미 : 검사를 구성하고 있는 개개의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가 적절한 정도를 확인하는 것
- 개개 답지가 제 기능을 하고 있는지 확인
=> 신뢰도, 타당도 : 검사 전체의 양호도
=> 문항분석 : 개개 문항의 양호도
2. 절차
(1) 학생들의 답안지 : 최고점에서 최하점까지 배열
(2) 집단을 상하로 분류 : 많은 경우 상, 중, 하 적을 경우 상, 하로 구분(100명 기준)
Ex)



27%
46%
27%
25%
50%
25%
Ex)


50%
50%
(3) 문항별, 상하 집단별, 반응형태 조사
Ex)




O/S
NR
Total
상위집단
5
46
8
10
4
8
81
중간집단
20
53
28
18
10
12
138
하위 집단
16
15
18
15
8
9
81

41
114
51
43
22
29
300
※ O : Omit(제외, 생략), S : Skip, O/S(월번자) : 건너뛴 사람 수
NR : 시간이 없어 풀지 못한 이(미달자)
3. 곤란도 계산(정답율 = P)
1) O/S, NR자 모두 오답자로 간주(R(정답자 수)만 고려)
R
P=
×100
N
Ex) 114/300 × 100 = 38%
2) NR자 계산에서 제외 (O/S자만 오답자로 간주)
R
P=
×100
N-NR
Ex) 114/(300-29) × 100 = 42%
3) NR자, O/S 자 모두 제외
R
P=
×100
N-(NR+O/S)
Ex) 114/(300-29-29) × 100 = 45%
4) 추측으로 맞은 사람 수(G), NR자, O/S자 모두 제외
W
W : 오답자 수(틀린 답에 응답한 사람 수
K : 답지수(4지 선다의 경우라면 K=4)
G=
×100
K-1
Ex) P= 114-[41+51+43/(4-1))]/300-(22+29) = [(114-45) / 249] × 100 = 27%
4. 주관식 곤란도
ΣX
P=
×100
N × 문항의 만점
Ex)
개인
A
B
C
D
E
F
G
※ 10점 만점
점수
7
8
9
7
6
5
8
ΣX = 7+8+9+7+6+5+8= 50
50
P=
×100
≒ 71%
7 × 10
곤란도
40-59
보통
0-19
매우 어려움
60-79
쉬움
20-39
어려움
80-100
매우 쉬움
5. 문항 변별도
의미 : 문항이 성적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을 구별해 주는 정도
⇒ 아주 쉬워서 다 맞추거나 너무 어려워서 다 틀리는 것은 변별도가 없는 것임
⇒ 고성적자는 맞고, 저성적자는 틀려야 적정한 변별도
공식
RU-RL
RU : 상위집단 정답자 수
Di=
RL : 하위집단 정답자 수
f
f : 상위나, 하위 집단 사람 수
※ Di : Discriminaton Index
-1<= Di<=1 : 절대값이 1에 가까울수록 변별도가 높은 것이며, 0에 가까울수록 낮은 것임
=> 이론적으로는 (-)값이 나올 수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나올 수 없음
=> 1 : RU는 모두 정답, RL는 모두 오답
=> 0 : RU와 RL이 수가 같다.
P(곤란도)

Di
20
0.4
30
0.6
40
0.8
이 가장 적절하다고 함
주관식 변별도
ΣXH-ΣXL
Di=
NH(Xmax-Xmin)
ΣXH : 상위집단의 점수 합계
ΣXL : 하위집단의 점수 합계
Xmax : 최고점수
Xmin : 최하점수
NH : 상위 or 하위 집단 사람수
Ex)
상위
하위
9, 9, 9, 7, 7, 8
3, 2, 2, 3, 1, 2
ΣXH : 49
ΣXL : 13
49-13
36
Di=
=
=
0.75
6(9-1)
48
6. 답지 매력도
Ex)
A
B
C
D

50
35
20
35

50
95
20
140

50
30
90
5

50
40
70
10
=> A의 경우는 가장 이상적인 출제로 :답지가 모두 매력적인 것을 의미
=> B의 경우는 정답을 제외한 모든 답지에 고르게 몰려 있는 것으로 현실적으로 이상적
=> C의 경우는 답지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정답이 문제 소지가 다분한 것
=> D는 너무 쉽게 정답이 드러나는 경우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1.2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7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