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시 돌아가면서 집안에 그 계절이 가득하게 만들게 한다. 여름의 무성한 나뭇잎은 따가운 여름햇빛을 가려주게 한다.
방
1층
현관/계단
곡면벽을 따라 현관에 들어오면 가벼운 철골조 계단사이로 들어오는 남쪽의 밝음을 느끼게 한다. 거실, 식당, 주인침실, 지하계단,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한눈에 보인다.
식당/부엌/다용도실
식당, 부엌, 다용도실을 한덩어리로 생각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집안 곳곳을 직접 보면서 확인하고 관리하는 중심공간이 되게 한다.
주인침실/드레스룸/세면실 및 화장대/욕실
주인침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시키면서 부속시설과 하나가 되도록 만든다.
거실/손님 화장실
독립적이면서도 다른 부분과 쉽게 연결되며, 데크를 통해 직접 마당으로 통하게 한다. 천정은 목구조를 노출하고 곡면지붕이 내부 천정으로 그대로 드러나게 하며, 천정 높이차를 크게하여 볼륨있는 공간감을 극대화한다.
2층
사랑방 겸 서재/사랑마루 겸 가족거실
전망을 확보할수 있는 위치에 사랑마루 겸 가족거실을 만들고 그 옆에 사랑방을 만든다.
아들방/딸방
비슷한 크기의 자녀방을 연속하여 배치한다. 각각의 방은 별도의 전망을 갖게하고, 방의 비례를 달리한다. 박공밑 부분에 침실로 쓸수있는 다락을 만들고, 방전체는 자녀들 생활 공간으로 쓸수 있도록 한다.
복도/화장실
건물길이 전체를 느낄수 있는 기다란 복도로 만들어 깊이있는 공간으로 느끼게 만든다. 여러방향의 성질이 다른 빛, 벽, 개구부가 만드는 다양한 공간체험을 할수 있게한다. 화장실은 곡면벽 부분에 벽전체를 나누는 개구부를 만들어 곡면벽의 움직임을 화장실 내부에서 잘 느껴지게 한다.
방
1층
현관/계단
곡면벽을 따라 현관에 들어오면 가벼운 철골조 계단사이로 들어오는 남쪽의 밝음을 느끼게 한다. 거실, 식당, 주인침실, 지하계단,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한눈에 보인다.
식당/부엌/다용도실
식당, 부엌, 다용도실을 한덩어리로 생각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한다. 집안 곳곳을 직접 보면서 확인하고 관리하는 중심공간이 되게 한다.
주인침실/드레스룸/세면실 및 화장대/욕실
주인침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시키면서 부속시설과 하나가 되도록 만든다.
거실/손님 화장실
독립적이면서도 다른 부분과 쉽게 연결되며, 데크를 통해 직접 마당으로 통하게 한다. 천정은 목구조를 노출하고 곡면지붕이 내부 천정으로 그대로 드러나게 하며, 천정 높이차를 크게하여 볼륨있는 공간감을 극대화한다.
2층
사랑방 겸 서재/사랑마루 겸 가족거실
전망을 확보할수 있는 위치에 사랑마루 겸 가족거실을 만들고 그 옆에 사랑방을 만든다.
아들방/딸방
비슷한 크기의 자녀방을 연속하여 배치한다. 각각의 방은 별도의 전망을 갖게하고, 방의 비례를 달리한다. 박공밑 부분에 침실로 쓸수있는 다락을 만들고, 방전체는 자녀들 생활 공간으로 쓸수 있도록 한다.
복도/화장실
건물길이 전체를 느낄수 있는 기다란 복도로 만들어 깊이있는 공간으로 느끼게 만든다. 여러방향의 성질이 다른 빛, 벽, 개구부가 만드는 다양한 공간체험을 할수 있게한다. 화장실은 곡면벽 부분에 벽전체를 나누는 개구부를 만들어 곡면벽의 움직임을 화장실 내부에서 잘 느껴지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