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로마인의 의생활
2.로마인의 식생활
3.로마인의 주생활
Ⅲ. 결론
Ⅱ. 본 론
1.로마인의 의생활
2.로마인의 식생활
3.로마인의 주생활
Ⅲ. 결론
본문내용
주사하고, 그의 생명이 소멸되어 가는 상황을 서기에게 필기시키다가 죽었다.
로마의 공중 목욕탕은 거창한 규모와 상이한 시설의 조합이라는 점에서 현대 미국의 쇼핑 센터와 비교된다. 다신교를 신봉했던 로마인이 진짜로 숭배한 최고신은 바로 신체였고, 공중 목욕탕은 그 예배당이 되었다. 카라칼라의 목욕탕은 그 거대한 규모나 장식 면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이 대목욕탕은 냉탕실, 온탕실, 한증실 외에 1천6백명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대단한 사교장이었다. 목욕탕은 사람들이 잡담을 하고 음식을 먹는 곳이며, 때로는 남녀가 탕 속에 잠겨 서로 밀애를 즐기는 장소가 되었다.
Ⅲ . 결론
지금까지 로마인들의 의식주생활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았는데, 단지 로마인의 일상 생활에 대한 ‘그림 같은’서술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내가 자료를 수집하고 여러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그리스 없는 로마 문명은 도저히 상상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그리스 문명이 로마인에게 끼친 영향은 실로 지대하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로마인의 의식주생활과 가정 생활에서 모두 예외 없이 그리스인의 숨결이나 체취, 사고 방식이 물씬 배어나고 있다. 그리하여 그리스를 무력으로 정복한 것은 로마인이었으나, 그리스의 ‘문화적 식민주의’에 의해 역으로 지배당한 것은 오히려 정복자인 로마인이었다. 그러나 로마인들 역시 식민지적 부의 확장에 의한 국력 신장에만 신경 쓰고 자신들보다 우월한 타 종족의 문화를 맹목적으로만 따랐던 것이 아니었다. 만약 그랬다면 중국의 만주족이 세웠던 원나라가 결국 문화 적으로 우월한 한족의 명나라에 종속되었듯이 그 광대하고 엄청난 로마 대제국은
없었을 것이다. 결국 로마는 다른 우월한 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그 자신들 나름대로 독자적이고 실용적으로 개발해 나감으로 대제국이라는 로마를 건설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에 여기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은 우리도 남의 나라 문화라는 그 자체만으로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배척하지 말고, 선택적으로 구별하여 수용하여 우리들만의 독특하고 독자적인 문화로 개발해 나간다면 더 좋은 나라, 더 좋은 사회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참 고 문 헌 -
김 복 래, 서양 생활 문화사, 대한교과서, 1999
양 재 열, 서양 역사와 문화 기행, 서림출판사, 2004
멈퍼드(루이스) / 김영기 옮김, 『역사 속의 도시 (The City in History)』,명보문화사 1990
로마의 공중 목욕탕은 거창한 규모와 상이한 시설의 조합이라는 점에서 현대 미국의 쇼핑 센터와 비교된다. 다신교를 신봉했던 로마인이 진짜로 숭배한 최고신은 바로 신체였고, 공중 목욕탕은 그 예배당이 되었다. 카라칼라의 목욕탕은 그 거대한 규모나 장식 면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이 대목욕탕은 냉탕실, 온탕실, 한증실 외에 1천6백명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대단한 사교장이었다. 목욕탕은 사람들이 잡담을 하고 음식을 먹는 곳이며, 때로는 남녀가 탕 속에 잠겨 서로 밀애를 즐기는 장소가 되었다.
Ⅲ . 결론
지금까지 로마인들의 의식주생활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았는데, 단지 로마인의 일상 생활에 대한 ‘그림 같은’서술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내가 자료를 수집하고 여러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그리스 없는 로마 문명은 도저히 상상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그리스 문명이 로마인에게 끼친 영향은 실로 지대하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다. 로마인의 의식주생활과 가정 생활에서 모두 예외 없이 그리스인의 숨결이나 체취, 사고 방식이 물씬 배어나고 있다. 그리하여 그리스를 무력으로 정복한 것은 로마인이었으나, 그리스의 ‘문화적 식민주의’에 의해 역으로 지배당한 것은 오히려 정복자인 로마인이었다. 그러나 로마인들 역시 식민지적 부의 확장에 의한 국력 신장에만 신경 쓰고 자신들보다 우월한 타 종족의 문화를 맹목적으로만 따랐던 것이 아니었다. 만약 그랬다면 중국의 만주족이 세웠던 원나라가 결국 문화 적으로 우월한 한족의 명나라에 종속되었듯이 그 광대하고 엄청난 로마 대제국은
없었을 것이다. 결국 로마는 다른 우월한 문화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그 자신들 나름대로 독자적이고 실용적으로 개발해 나감으로 대제국이라는 로마를 건설 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에 여기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은 우리도 남의 나라 문화라는 그 자체만으로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배척하지 말고, 선택적으로 구별하여 수용하여 우리들만의 독특하고 독자적인 문화로 개발해 나간다면 더 좋은 나라, 더 좋은 사회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 참 고 문 헌 -
김 복 래, 서양 생활 문화사, 대한교과서, 1999
양 재 열, 서양 역사와 문화 기행, 서림출판사, 2004
멈퍼드(루이스) / 김영기 옮김, 『역사 속의 도시 (The City in History)』,명보문화사 199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