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제주축산업의 발전 방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제주도의 현 축산여건
제주 축산업의 발전방향

결론

본문내용

설 보완에 필요한 자금은 지속 지원하고 신규정화처리방류시설 자금은 지원을 중단한다. 간벌목활용 등 수분조절제인 톱밥생산을 확대하되, 농협 RPC 팽연왕겨 제조시설비지원등 톱밥대체 수분조절제 공급을 확대한다. 퇴비 품질 향상을 통한 상품성 제고, 축분퇴비 유통센터 활성화 등을 통한 경종농가의 수요를 확대한다. 퇴비화의 한계 극봅을 위한 축산분뇨액비화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친환경관련사업, 지역특화사업 및 농협작목반과 연계하여 액비화시설자금을 지원한다.
♥♥환경영향과 연계한 환경기준의 적극적 적용 및 강화가 필요한다. 환경영향이 큰지역에 대해서는 지자체별 계획을 수립 축산분뇨처리 능력에 상응한 가축사육 두수를 제한한다. 유기축산농가의 육성으로 축산분뇨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한다.
♥♥미생물제재 등의 적극적 활용과 분뇨로 인한 냄세제거를 통한 축사환경을 개선한다. 냄세제거 미생물제재 활용촉진을 위해 지방비 확보 조건으로 국고를 지원한다.
♥♥ 중장기적으로 방역, 위생관리와 연계한 환경친화적 축산체계를 구축한다. 선진축산 용역결과를 토대로 장기대책을 수립한다.
결론 : 다가오는 축산업의 미래는 넓은 시장수요의 확대와 과학적 기술을 통한 생산성 효율 확대에도 불구하고 장밋빛 낙관을 약속하지 않는다. 많은 축산물 수출 국가들이 이제는 거리와 축산물의 종을 불문하고 치열한 경쟁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격랑의 파고 속에서 제주 축산업이 나가야 할 방법들을 모색해봄으로써 경쟁력 제고에 한 틀을 마련하였다. 더 많은 연구와 투자, 그리고 정부와 축산인들의 협동으로 다가오는 21세기를 슬기로우면서도 풍요롭게 이겨나가자.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1.16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