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공학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공학의 정의

2. 교수설계 이론

1) Dick & Carey의 체제 접근 교수설계 원리

2) Gagne 목표별 교수이론

3) C. M. Reigeluth 의 정교화(Elaboration theory) 이론

3. 공학적 교수법 (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본문내용

사전에 경험한 구체적인 지식을 회상시킴으로써 추상적이고 복합적인 사상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6)인지전략 활성자 (cognitive strategy activation)
학습자가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지식을 사용하도록 학습자의 인지과정을 활성화시키는것으로 기억술이나 비유 혹은 학습자에게 사전에 학습한 인지전략을 사용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7) 학습자 통제 (learner-control format)
학습자에게 수업의 내용이나 전략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대안들의 제공해 줌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를 통제할 수 있게 하는 전략
3) 정교화 이론의 교수설계 적용
1단계: 조직내용의 유형을 선정한다.(개념적, 절차적, 이론적 유형인가?)
2단계: 조직구조를 전개한다. (조직 내용의 유형에 따라 개념적 조직 구조 절차적 조직구조 이론적 구조를 고안한다.)
3단계: 조직내용을 정교화 수준별로 할당한다.(대요와 각 수준별 정교화를 결정한다.)
4단계: 각 정교화 수준에 보조내용을 할당한다.
5단계: 개벌 레슨별로 모든 내용을 할당한다.
6단계: 각 레슨내의 모든 내용을 계열화학 미시적 설계를 한다
3. 공학적 교수법 (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프로젝트 학습이란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방법과 계획을 세워 주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을 말한다. 프로젝트 학습은 1920년대부터 발전되고 사용되어진 학습 방법이다. 최근 인터넷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인터넷을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새로운 학습 방법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 특히 월드와이드웹의 여러 가지 기능을 프로젝트 학습에 적용하는 것을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라고 한다.
♧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방법
→ 일반적인 프로젝트 학습은 주제와 목표를 정하고 치밀한 계획을 세워 실행한 뒤 평가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도 크게 다르지 않는다.
주제 정하기
동아리 만들어 역할 나누기
계획서 만들어 게시판에 올리기
자료 수집하기
홈페이지 만들기
평가, 학습 결과, 소감 게시판에 올리기
3.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하면 좋은 점
사고력, 스스로 학습하는 능력, 협동하며 작업하는 능력, 정보의 수집 분석 활용 능력이 좋아집니다.
4.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할 때 주의할 점
정보 통신 윤리, 에티켓을 잘 지켜야 한다.
협동하며 학습한다.
끝까지 열심히 학습한다.
필요한 장비들을 올바르게 사용한다.
자료 수집을 할 때는 예절바르게 행동하며 안전에 주의한다
참 고 문 헌
김종문 외13(1998). 구성주의 교육학. 교육과학사.
문승한·정찬기오(1998).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특론. 교육과학사.
구평화교육학 2004년 개정판
(인터넷 사이트)
http://knky.gyeongnam.kr/edutech2/knky/jaeho/asp2002/
http://my.dreamwiz.com/car0102/main.htm
http://nongae.gsnu.ac.kr/~shmoon/htm/et03.htm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1.29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