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스트레스원(stressor)의 종류와 요인
2. 스트레스 발현이론
3. 스트레스의 기구 및 대처행위
4.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질환
5. 적응과 비적응
6. 대응전략

본문내용

심해지면 약물남용에 빠지거나 인격장애가 나타나며, 기타 여러 가지 정신병적 장애가 나타난다.
정신장애란 결국 생물학적, 심리적 및 사회적 소인들과 원인들이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적응이 잘못된 결과, 즉 비적응적 행동인 것이다.
6. 대응전략
대응이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서 넓은 의미에서 방어기제도 포함된다. 그러나 대체로 대응이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의식적이며 결과적으로 더욱 적응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의미가 강하다.
대응전략은 비교적 새로운 개념으로 방어기전에 비해 그 개념이 아직 체계적으로 기술되고 있지는 않다. 대표적인 대응전략으로서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다.
1) 사고초점의 변화
이는 의도적으로 어떤 사태에 대해 깊이 생각하거나 또는 반대로 의도적으로 생각하기를 피하는 것이다.
2) 사고형태의 변화
이는 언어적 생각을 시각적 상상으로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병으로 음식을 못 먹게 된 사람이 음식의 모양과 냄새를 상상함으로써 배고픔을 달래는 것과 같다.
다른 예로서 대형 교통사고를 당한 사람이 그가 본 참혹한 장면에 대한 감정적인 회상을 피하고 말로서만 기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3) 역할의 변화
예를 들어 질병이 생겼을 때 활동을 삼가고 의식수준을 감소시켜 잠을 많이 자거나, 일시적으로 독립적 역할을 계속하기보다 남에게 의존하는 행동이 보이는 것이다. 즉 일시적 퇴행을 하는 것으로 반드시 병적이거나 비적응적인 것만은 아니다.
어떤 큰 집단에 의존하거나 애착을 갖는 것도 이같은 대응전략의 하나이다.
4) 정보를 풍부히 함
스트레스와 관련된 사태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아는 것, 즉 지식을 풍부히 하는 것은 중요하며, 흔히 사용하는 대응전략이다. 아는 것이 힘이라는 것이다. 의사가 환자에게 병에 대해 자세히 교육시키는 것은 환자에게 공포를 주기보다 대응할 힘을 주기 위한 목적인 것이다.
5) 업무선택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는 일을 선택적으로 하는 것이다. 장기적 행복을 위해 단기적 쾌락을 희생하는 것이 그 예가 된다.
6) 사회적지지
자신에 대해 친구가 되어 주고 정보를 제공해주며, 이해를 보여주는 사람 또는 집단과 개인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다.
7) 기타
자기통제, 유머, 철학, 가치관, 신앙, 창조적 작업, 정체성의 확립, 직면, 거리를 둠, 책임을 받아들임, 문제의 회피 등 여러 가지 수단들이 대응전략으로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장남섭 외(2004). 인체생리학. 수문사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2.05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